Features and Issues of an Urban Community by Analysing Residents' Awareness and Attitude

주민의 인식과 태도로 본 도시 공동체의 현황과 과제 - 대구 동구 안심지역을 사례로 -

  • 이영아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4.07.24
  • Accepted : 2014.08.21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Urban communities have been recently highlighted as an alternative idea in the field of urban regeneration, social economy and so on. Urban communitie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n ideal, but the way urban communities work in reality also should be analysed. This paper aims to find out what urban communities really mean and who are involved in urban communities. The paper explores the features and issues of unban communities by surveying residents in Ansim area, Dong-gu, Daegu city. The paper analyses the 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and community features: residents' socio-economic features, residence features, social relationship with their neighbours and the sense of community. The survey outcome shows that middle income, higher educated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 complex are relatively more involved in community activities. Moreover, those who have more relationship with their neighbours have participated in community activities more than those who do not have any. As a consequence, this paper carefully states that the urban community is middle class-oriented and such feature could cause other residents' limited opportunities to access information about their own community and lead to social ex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urban community groups need 'soft solidarity' between social classes.

최근 도시재생 및 사회적 경제 등의 분야에서 도시 공동체가 주목받고 있다. 지금까지는 도시 공동체의 이상적 대안적 성격에 관심이 있었으나, 도시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서는 현실의 공동체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과제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 공동체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사회경제적 특성, 지역사회에 대한 공동체 의식, 지역에서 이웃과 맺고 있는 관계와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것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도시 공동체의 현황과 과제를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이 지역에서는 중산층, 고학력, 아파트 거주자들이 주로 참여하였으며, 이웃과 사회적 관계를 활발히 맺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참여가 활발하였다. 이러한 공동체 활동의 특정 계층 지향성은 다른 주민의 정보 접근을 제한하고 이는 참여 제한으로 이어지며 배제가 일어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계층 간 보다 개방적인 느슨한 연대가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