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리티지:역사와 과학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제46권1호
- /
- Pages.160-175
- /
- 2013
- /
- 3022-8085(pISSN)
DOI QR Code
장승의 기원과 옹중석
The Origin of Changseung and Ongjung Stone
- 정승모 (지역문화연구소)
- Chung, Seung Mo (The Reserch Center of Regional Culture)
- 투고 : 2012.09.26
- 심사 : 2012.11.20
- 발행 : 2013.03.30
초록
우리가 '장승'이라고 부르는 조형물들은 그 기원이나 역사, 또는 기능이 서로 달라 엄밀한 구별이 필요하다. 이 글은 장승의 기원과 함께 역사적인 변화과정을 더듬어 이 구조물이 갖는 두 가지 다른 측면을 구분하고 이에 기초하여 소위 '석장승'의 다양한 기원과 기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고려시기에 사찰에서는 장생, 또는 관련 석물을 세웠는데, 이 중 '통도사국장생석표'는 석표(石標)라기보다는 석비(石碑)의 기능을 갖는다. 석비에 음각된 명문을 보면 이전의 판아(判兒)처럼 다시 세우라고 하였는데, 판아란 역귀(疫鬼)를 쫓는다는 종규(鍾郡)를 말한다. 명문 내용은 통도사의 영역을 장생으로 표시하였다는 것이다. 허목의 "월악기(月嶽記)"에 실려 있는 한준겸(韓浚謙)의 기사를 보면 도갑사 국장생의 규모가 매우 커서 이러한 추정을 가능케 하며 '국장생'이나 '황장생'이라고 새긴 입석은 장생이 아니라 표석, 즉 장생표(長生標)임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이정(里程) 기능을 하는 후를 장생으로 부르게 되었는데 이는 사찰 장생과는 달리 나무로 만들어 사찰 장생의 생(生) 자에 나무 목(木) 변을 붙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요즈음과는 달리 조선시기에는 비보 성격을 갖는 사찰 석상이나 읍성풍수물을 장승이라고 부른 경우는 찾을 수 없다. 예를 들면 제주도 '돌하르방'을 두고 장승이라고도 불렀다는 역사적 근거는 없다. "탐라기년(耽羅紀年)"에 의하면 제주목사 김몽규(金夢奎)가 성문 밖에 옹중석(翁仲石)을 세웠다고 했는데, 옹중석은 대개 고대 제왕(帝王)이나 대신(大臣)의 능묘 앞에 세운 석인상(石人像)을 지칭하는 말이다. 옹중석은 엽승[壓勝]을 위한 풍수물로도 나온다. "광주읍지(光州邑誌)"(1899년간)에는 수구(水口)를 만들고 석옹중 2기를 마주 세워 그 기를 진압하였다는 기사가 나온다. 전라북도 부안읍치의 동쪽과 서쪽에 각각 2기씩 세워진 석물에는 '상원주장군(上元周將軍)'과 '하원당장군(下元唐將軍)'이라는 명문이 있는데, 읍성풍수물인 이것 역시 석장생이나 장승, 또는 당산으로 불릴 이유는 없다. 도교적인 개념인 상원(上元)과 하원(下元)이 붙은 주장군이나 당장군은 이후 사찰 석상의 명문으로 자주 등장하고, 이후에는 이표 장승에도 붙는다. 사모를 쓴 북한산성 옹중석을 지금은 볼 수 없는 것처럼 많던 옹중석들은 어딘가에 묻혔을 것이다. 그 와중에도 제주의 옹중석과 부안 읍성의 석상은 위치 이동이 적어 옹중석의 기능을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이 시기에 설립된 석상들은 고려시기에 조성된 장생(長生)과 기능상 가장 관련이 깊은 듯하다. 즉, 과거의 장생처럼 18세기 초중반의 석상들은 읍성, 또는 사찰의 비보물이면서 동시에 경계를 표시하는 기능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사찰 석상의 설립시기는 양전사업이 전국적으로 실시된 때이기도 하지만 속세에서는 산송(山訟)이 활발해지는 때라 사찰에서는 비보와 함께 영역 표시를 위해 석상들을 세웠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장승으로 통칭되는 목인과 석상들은 각자가 서로 다른 시대에 서로 다른 이유로 세워진 것들이다. 그 출발은 고려시기 사찰의 장생(長生)으로 비보물이면서 동시에 사찰의 영역을 표시하는 석물, 또는 석상이었다.
There is the need to make a sharp distinction as regards JANGSEUNGs (Korean traditional totem poles) that are different in origin, history and function.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unctions of the figures, as well as to trace stone JANGSEUNGs to their origins. In this regard, researched were conducted into the origins of JANGSEUNGs and their changes in history. There was a tradition in the GORYEO Dynasty (an ancient dynasty in the Korean Peninsula) that it erected JANGSAENGs (the archaic name of JANGSEUNGs) or allied stone figures within temples; especially, 'TONGDOSA GUKJANGSAENG SEOKPYO (a stone JANGSAENG that was erected by the royal command and is at the entrance of TONGDO Temple located in YANGSAN, South GYEONGSANG Province, South Korea)' functions as a stone monument rather than as a stone sign. In the engraved inscription, it is written that it should be erected in the form of PANA as before. 'PANA' refers to 'ZHONGKUI', a god in Chinese Taoism believed to exorcise devils that spread diseases. The inscription is to define the territory of TONGDO Temple. The article on HAN JUN GYEOM in a book 'WORAKGI (a travelogue on WORAK Mountain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South Korea)' written by HEO MOK makes it possible to guess the scale of GUKJANGSAENGs erected in DOGAP Temple. The stones, on which 'GUKJANGSAENG' or 'HWANGJANGSAENG' were engraved, are not JANGSAENGs but are demarcation posts. In the JOSEON Dynasty (the last dynasty in the Korean Peninsula) JANGSAENGs functioned as signposts. Unlike JANGSAENGs in temples, they were made of wood. At first, the word 'JANGSAENG' was written '長生' in Chinese characters, but in the JOSEON Dynasty another character '木 (wood)' was added to them, and thus the orthography was likely to change into 'JANGSEUNG.' In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optative or geomantic figures were not called 'JANGSEUNG.' Historically, for instance, there has been no case where 'DOL HARBANGs (stone figures found only in JEJU ISLAND, South Korea)' are called 'JANGSEUNG.' In a book 'TAMRA GINYEON (a historical record on JEJU Island, South Korea)' it is written that KIM MONG GYU, JEJU governor, erected ONGJUNG Stones outside the fortress gate. ONGJUNG Stones usually refer to stone statues erected in front of ancient kings or dignitaries' mausoleums. Moreover, they were geomantic figures erected to suppress miasma. A magazine 'GWANGJUEUPJI (a journal on old GWANGJU, South Korea, 1899)' shows that two two ONGJUNG Stones were so erected that they might look at each other to suppress miasma from a pathway through which lucks lose. On the two stone figures located in BUAN-EUP, North JEOLLA Province, South Korea, inscriptions 'SANGWON JUJANGGUN' and 'HAWON DANGJANGGUN' were engraved. The words are to identify the figures' sexes. They are a kind of optative geomantic figures, and therefore there is no reason to call them 'JANGSAENG' or 'JANGSEUNG' or 'DANGSAN.' The words 'SANGWON' and 'HAWON'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aoism. Since then, the words have been widely used as inscriptions on stone figures in temples, and subsequently are used for JANGSEUNGs. A hatted ONGJUNG Stone, found in BUKANSAN Fortress, disappeared and other ones may be being buried somewhere. Meanwhile, ONGJUNG Stones in JEJU Island and stone figures in BUAN-EUP have hardly been displaced and thus have properly functioned. Stone figures, made in those days, seem to be most similar in function to JANGSAENGs made during the GORYEO Dynasty. Specifically, like earlier JANGSAENGs, stone figures made during the early to mid-18th century were likely to function not only as optative figures but as boundary stones. Most of stone figures in temples were made whenever the land us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out the nation, but given that at the same period of time, the commonalty filed many lawsuits against grave sites, temples might erect many stone figures to mark their territories. Currently, wooden or stone figures are commonly called 'JANGSEUNG', but they were erected in different epochs and for different reasons. Their origins are to be sought in stone figures that functioned not only as optative figures in temples but as boundary stones during the GORYEO Dynas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