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tructure Composition and Joining Methods of Pyungjwa-Floor in Nine Floor Wooden Stupa of HWANGYONGSA Temple

황룡사구층목탑 가구 및 결구기법에 관한 추론적 고찰

  • Received : 2012.05.31
  • Accepted : 2012.11.19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The wooden stupa of Hwangyongsa temple - which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by master craftsman Abigi of the Baekje Dynasty during the Silla Dynasty between the 12th year of Queen Seondeok (AD 643) and AD 646 - can be regarded as a typical Korean wooden stupa. However, it was destroyed by fire during an invasion by the Mongolians in AD 1238 during the Koryo Dynasty. In spite of progress in research for the restoration of the wooden stupa, there are some remains to be re-considered in regard to ruins, relics and literature previously discovered. In particular, research conducted on frame construction and structure can be considered an important basis for restoration. However, previous studies seem to have not attempted to establish structural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wooden stupa based on the indigenous techniques and styles of traditional Korea, b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wooden stupa biased toward cultural interchange with neighbouring countries. As such, in this study the frame construction and structure of the wooden stupa of Hwangyongsa temple were analysed and considered in detail based on the re-interpretation of literature which can be a clue about the structure of the stupa, related ruins of the 7th century period, and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this paper supposed and presented a model picture for the plane arrangement of pillars, structural methods for Dwibburi (뒤뿌리) of Haangjae (하앙재), Shimju (심주), and other key areas.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contributes substantially to research on the wooden stupa of ancient Korea and to the establishment of construction and structural methods.

황룡사구층목탑은 신라시대에 백제인 아비지(阿非知)에 의해 설계 시공된 우리나라 최고(最高)의 목탑으로 선덕왕 12년(643)에 시작되어 646년에 완성된 후 1238년 고려시대 몽고의 침입으로 소실될 때까지 오랫동안 한국 목탑의 전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황룡사구층목탑의 복원에 관한 기존 연구에도 불구하고, 이미 발굴된 유구와 유물, 문헌적 자료를 통하여 새롭게 고찰될 부분이 있다. 특히 황룡사구층목탑의 가구구조와 결구에 관한 연구는 복원을 위한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음에도 그동안 우리나라 전통기법과 양식에 바탕을 둔 목탑의 구조적 조형적 특성을 규명하기보다는 관련 주변 국가와의 교류를 고려하여 목탑의 보편적 특성 규명에 치우쳐 왔다는 생각마저 든다. 이에 본고에서는 구조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해당 목탑에 관한 문헌의 재해석과 건립 당시인 7세기 전후 국내의 관련 유구 및 선학의 연구를 바탕으로, 황룡사구층목탑의 가구구조와 결구의 기법을 구체적으로 분석 고찰하였다. 즉, 평면의 기둥배치 모형도, 중요부위별 결구방식, 하앙재 및 추녀 뒤뿌리의 결구방식, 사천주 및 심주의 결구방식 등을 추정 제시하였다. 본인은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한국 고대목탑건축의 연구자료에 활용함은 물론 구조기법과 결구기법의 실체에 한 걸음 더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