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Retirement Pathways for Military Personnel

직업군인의 노후대비실태에 관한 고찰

  • Received : 2013.05.07
  • Accepted : 2013.05.23
  • Published : 2013.05.30

Abstract

Military personnel work in high stress situations and carry great responsibilites, leaving them little time to plan effectively for their retirement; typically, they tend to assume that their employer (the government) will do that planning for them. Focussing intensely on their jobs, retirement often finds them ill-prepared, and this in spite of the recent increase in discussion in society at large about retirement and how to deal with it. Government therefore needs to be more proactive in assisting these occupational groups in their exit from the workforce, especially because, as the baby-boomers age, the rate of retirements will increase dramatically. As well, whereas in the past, an average retirement extended for roughly a decade, today, a retirement could last as long as twenty-five to thirty years, with attendant cost pressures on retirement funds. This in turn will increase the burden on the rising generation, who will have to pay for those pensions. But while government has a role to play, retirees also have to be more active in planning for their retirement, and in particular, planning for second careers, rather than simple retirement. Government can assist here by developing programs to help military personel find a second career, thus reducing their reliance on pension funds, and reducing financial pressures too. As well, such planning would emphasize and enhance self-reliance, which can only be to the good of the larger society.

베이비부머들의 대량 퇴직은 우리사회를 급속한 고령화 사회를 만들고 이를 부양하는 젊은 세대들에게 부담을 주는 원인이 되고 있다. 그중 군인 퇴직자들은 국가에만 너무 의존하지 말고 자구책을 강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평균 수명 80세인 현실을 감안하면 연금만 가지고 생활하기에는 너무 긴 생이고 이에 대한 국가 부담도 크다. 따라서 50-60대인 군인 퇴직자들은 아직 일할 수 있는 시기임을 인식하여 경제활동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국가에서는 군인연금에 의존하는 기간을 짧게 하면서 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방안들을 연구할 필요성 대두되었다. 국가를 위해 헌신한 군인 퇴직자들에 대한 노후 일자리 제공 등 경제활동에 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이들에게 군인연금 의존도를 낮추고 건전한 인생 2막을 펼칠 수 있도록 현실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육군본부, '제대군인 삶의 실태 조사결과', 육군본부, 2005.
  2. 국가보훈처. '제대군인 지원계획', 국가보훈처, 2007.
  3. 송경훈. "제대군인의 취업 증대에 대한 실태와 대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강릉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10.
  4. 전창득. "제대군인 지원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5. 손수태. "장기복무 후 전역간부지원정책의 지향점", 한국군사학회, 군사논단, 제35호, 제36호.pp. 42-43. 2003.
  6. 최길성. "한국군 복지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p.12, 2009.
  7. 이성희, 임웅환, 전성현. "제대군인 집단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04.
  8. 육군본부. "21세기 한국 제대군인 복지", 육군본부, 2002.
  9. 김재형. "연금의 진화와 미래" 논형, 2010.
  10. 양안나.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직업전환과정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1. 김용희. "직업군인의 노후복지제도 개선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12. 한국고용정보원. '제대군인 직업정보시스템의 구축 방안', 한국고용정보원, 연구보고서. 2007.
  13. 김은묵. "전역직업군인의 재취업 결정요인과 유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대학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