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irection of Promote and Acquisition Program of Human Strength(Focus on US Army)

육군 홍보 및 모병 방향에 관한 연구 -미 육군의 홍보 및 모병 전략을 중심으로-

  • 이정훈 (영남이공대학교.경찰계열)
  • Received : 2013.05.07
  • Accepted : 2013.05.27
  • Published : 2013.05.30

Abstract

This thesis is the study of the analysis about Direction of Promote and Acquisition Program of Human Strength. Now we have question 'How we should develop the human resources program to gain human strength in the strategic environment of the future?' We know that if we don't estimate our project precisely, then we can't get good human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 that how to gain excellent human resources now and in the future.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o study US military Acquisition system. Korean military strategy in the situation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in the situation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and the way of constructing the military strength for the future. To improve Acquisition Program of Human Strength, we must develope and assess the future strategic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Acquisition Program of Human Strength.

국방개혁과 안보환경의 변화, 저출산으로 인한 병역자원 부족 등으로 우리도 병역체계 변화를 준비해야 할 시기가 도래하고 있다. 이에 선진국의 병역체계를 연구하여 우리의 실정에 맞는 제도를 갖춰 나가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다. 미 육군의 경우는 통합된 입대절차를 보장하기 위해 교육사 예하에 입대사령부를 창설하였으며, 그 예하에 모병사령부, 후보생사령부, 육군훈련소를 두고 있으며, 한국 육군은 인사사령부를 창설하여 현행 인사관리와 병력 획득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한국도 미국이 시행착오를 범하면서 지나온 과정을 겪고 있다. 현재 우리는 사회적 정치적 이슈의 변화와 신세대의 요구 등에서 모병환경이 변하고 있다. 최근의 변화요소들 중에 모병에 유리할 것은 청년인구와 젊은이들이 공무원이나 안정된 직업을 원하고 있다는 것과 실업률 증가, 대학 학기상승과 관련한 재정적인 부담, 아프가니스탄 및 이라크 등 전쟁관련 국민의 관심 증대, 다양한 군복무 지원정책의 개발 등이 있다. 미 육군의 모병업무는 기본적으로 경영학적 모델을 연구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모병 홍보전략을 풍부한 재정적 뒷받침 하에 수립하고, 연방정부로부터 각종 통계자료와 D/B를 제공받아 활용하면서 많은 대학, 연구소들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군과도 긴밀히 관계를 유지하며 적극적으로 모병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우리도 과학적인 체계를 구축하여 통합된 모병을 해야하는 시점에 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류정홍, '모병제 시행시 일반병 처우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ⅲ, 2008.
  2. 국방부, '2010국방백서', 2011.
  3. 신현태.유근환, "AHP를 활용한 군의 모병 홍보전략 수립 방향 연구: 해병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1권 제4호, pp. 459-460, 2011.
  4. 국방부, '국방개혁 2020', 2006.
  5. 국방부, '국방개혁 2020', 2006.
  6. Kalevi J. Holsti, 'State, War and State of War', England : Cambridge University, pp. 81-83, 1997.
  7. 김근혜, '닉슨 행정부의 모병제 도입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21-23, 2011.
  8. 남궁곤.김근혜, "미국의 모병제 도입 연구: 닉슨행정부의 수정병역법(1971) 입법적 성공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33집 2호, pp. 123-125, 2012.
  9. Kalevi J. Holsti, 'State, War and State of War', England : Cambridge University, pp. 81-83, 1997.
  10. 합동참모본부, '아프간 전쟁 종합분석 : 항구적 자유작전', pp. 38, 2002.
  11. 국방부, '21세기를 지향하는 한국의 국방', pp. 75. 2001.
  12. Washhinton D. C. Headquarter, Department of Army, 'The Army Modular Force', pp. 178. 2008.
  13. 육군본부, '중장기 발전계획', pp. 34, 2004.
  14. KIDA, '지식정보시대의 국방인력 발전방향', pp. 54, 2003.
  15. Washhinton D. C. Headquarter, Department of Army, 'The Army Modular Force', pp. 136. 2008.
  16. 육군본부, '유급 지원병제 운영계획', pp. 63,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