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icient Planning of Defense Weapon System Test & Evaluation

국방무기 시험평가시스템 효율화방안 연구

  • Received : 2013.05.14
  • Accepted : 2013.05.27
  • Published : 2013.05.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rovement of Weapon System T&E(Test and Evaluation) correspond to future environment by analyzing restrictions such as change of future weapon system procurement environment, and present T&E management system, organization and resource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id of produ ction dicision making by timely risk management through early identification of deficiency on the process of weapon system development, and suitability of combat determination.

본 연구는 미래 무기체계 획득환경의 변화와 현재의 무기체계 시험평가 업무수행 체계, 시험평가 조직, 시험평가 기반 등 제반 제한사항을 분석하여 미래환경에 부합된 시험평가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험평가의 역할은 무기체계 개발간 조기에 결함을 식별하여 해소하여 적시적인 위험관리를 하고, 전투용 적합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전력화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기체계 개발과정에서 결함을 조기에 식별하여 적시적인 위험 관리를 하고, 전투용 적합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전력화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게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방부, '국방전력발전업무훈령', 국방부 훈령, 2012.2.3
  2. 방위사업청, '방위사업관리규정', 방위사업청 훈령, 2012.8.1
  3. 육군본부, '전력발전업무규정', 육군규정 010, 2012. 8.1
  4. 방위사업청, '방위사업법.시행령.시행규칙', 방위사업청, 2011
  5. 육군본부, '시험평가지침서', 육군본부, 2010,
  6. 육군본부, '시험평가 교훈집', 육군본부, 2012
  7. 육군교육사, '작전운용성능 설정기준', 육군교육사, 2003
  8. 방위사업청, '무기체계 시험평가 실무가이드북', 2012, '개발시험평가 안내서', 2007
  9. 정연택.이윤주, "국방획득관리의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 무기획득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4권 2호, 한국자치경찰경비학회, 2007.
  10. 한국국방연구원, '미래 바람직한 운용시험평가 방안', 한국국방연구원, 2011,
  11. 한국국방연구원, '시험인프라 종합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2008
  12.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무기체계 시험표준화법 연구보고서', 한국산업기술연구원, 2011
  13. 국방대, 'MIL-HDBK-338B, MIL-HDBK-470A', 국방대 2012 합참, '전력기획업무지침서, 합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