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Security Guards

민간경비원의 신체활동 참여가 신체조성과 심혈관계 인자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3.05.07
  • Accepted : 2013.05.29
  • Published : 2013.05.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security guards. The subjects consisted of twenty security guards who are working to the security company in Seoul, physical activity group of 10 people and control group of 10 people in 2012.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or body compos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body fat, also significant increases in fat free mass(p<.05).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TG, elevated HDL-C was observed with physical activity group(p<.05). It is concluded that physical activity program might make beneficial effect such as increasing fat free mass, it also produces lower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during 12 weeks in security guards.

본 연구는 신체활동 프로그램 적용이 민간경비원의 신체조성과 심혈관계 인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2년 현재 서울지역에 소재한 민간경비업체에서 근무하는 민간경비원 20명을 선정하였으며, 신체활동군 10명, 통제군 10명으로 구분하였다. 신체조성에서, 신체활동군은 통제군과 비교하여 체지방률의 유의한 감소 및 제지방량 증가의 결과를 가져왔다(p<.05). 중성지방은 신체활동군이 통제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HDL-C는 유의한 증가를 가져왔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12주간의 신체활동의 참여는 민간경비원에게 제지방량 증가의 유익한 효과를 발생시키고, 혈중지질의 개선효과로 심혈관질환의 발생률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태, 이창한(2010). 경호업 종사자의 직무형태와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신체구성, 대사적 변인, 혈액성분의 차이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2, 1-14
  2. 김진환, 이인열, 곽윤길(2009). 민간 경호원들의 전공무도별에 따른 체력요인 분석. 무도연구소지. 20(1), 137-145.
  3. 문희복, 박준석, 이현희(2009). 민간경비원의 경호무도 수련유형이 자아탄력성과 직무수행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무도연구소지. 20(1), 147-156.
  4. 민왕식, 박준석, 오세광(2009). 무도수련과 경호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4, 73-127.
  5. 박수현, 한태경, 이신호, 강유철, 강현식(2007). 12주 걷기 운동 프로그램의 운동강도가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복부지방, 심폐체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6(1), 1-10.
  6. 박준석, 정성숙, 김현, 홍준혁(2005). 경호원의 일반적 특성과 경호무도 수련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무도연구소지. 16(1), 25-41.
  7. 박준석, 최현식, 김경태, 김상균(2007). 민간경비원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3, 193-206.
  8. 서진석(2002). 민간경비의 개념 정의와 새로운 경향에 관한 이론적 고찰. 21세기 질서행정, 성석정진환교수 정년기념논총간행위원회, 331-336.
  9. 윤규태, 최기수, 강현주(2004). 노인의 대사성 증후군의 위험 요인에 체구성, 심폐기능 및 근력과의 상관관계. 순천향자연과학연구. 10(2), 447-452.
  10. 이은혜(2009). 남자 대학생의 심폐체력과 신체활동수준에 따른 비만과 대사증후군 비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지영, 박수현, 한태경, 이신호, 이상화, 강현식(2007). 유산소성 운동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ACE 유전자 다형성과 폐경전 중년여성의 비만과 심혈관위험인자의 상관성. 운동영양학회지, 11(1), 23-30.
  12. ACSM(2006).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Seventh Edition.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5-269.
  13. Boorsma, W., Snijder, M. B., Nijpels, G., Guidone, C., Favuzzi, A. M., Mingrone, G., Kostense, P. J., Heine, R. J., & Dekker, J. M. (2008). Body composition, insulin sensitiv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profile in healthy Europeans. Obesity, 16(12), 2696-2701. https://doi.org/10.1038/oby.2008.433
  14. Brock, C. M., King, D. S., Wofford, M.R., & Harrell, T. K. (2005). Exercise, insulin resistance, and hypertension: a complex relationship.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Disorders, 3(1), 60-5. https://doi.org/10.1089/met.2005.3.60
  15. Eisenmann, C. J., Welk, J. G., Ihmels, M., and Dollman, J. (2007). Fatness, Fitnes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9(8), 1251-1256. https://doi.org/10.1249/MSS.0b013e318064c8b0
  16. Eric, T. P., Roman, V. D., Walter, F. D., Matin, B., and Philip, A. A. (2000).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and endurance training in insulin sensitivity in nonobese, young women; a controlled randomized trial.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85, 2463-2468.
  17. Georgy, A. B. (2004). Office Management of Obesity. SAUNDERS, 12-13.
  18. Janicka, A., Wren, TAL., & Sanchez, M. M(2007). Fat mass is not beneficial to bone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92(1), 143-147. https://doi.org/10.1210/jc.2006-0794
  19. Kodama, S., Tanaka, S., Saito, K., Shu, M., Sone, Y., and Onitake, F. (2007). Effect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serum levels on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 meta-analysi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7(10), 999-1008. https://doi.org/10.1001/archinte.167.10.999
  20. Soriguer, F., Rojo Martinez, G., Esteva, I., Ruiz De Adana, M. S., Catala, M., Merelo, M, J., Tinahones, F., Cardona, F., Dobarganes, C., Cuesta, A. L., Beltran, M., Garcia Almeida, J. M., Gomez Zumaquero, J. M., Morcillo, S., & Garcia Fuentes, E. (2003). Physical activity and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general population. Medicina Clinica, 121(15), 565-9. https://doi.org/10.1016/S0025-7753(03)74018-4
  21. Taaffe, D. R. (2006). Sarcopenia-exercise as a treatment strategy. Aust Fam Physician. 35(3), 130-4.
  22. Vaughan, C., Schoo, A., Janus, E. D., Philpot, B., Davis-Lameloise, N., Lo, S. K., Laatikainen, T., Vartiainen, E., & Dunbar, J. A. (2009). The association of levels of physical activity with metabolic syndrome in rural Australian adults. BMC Public Health, 31, 273-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