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easure to Maximize the Effects of Functional Games in Relation to the Changes in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s

시각 및 청각 자극 변화에 따른 기능성 게임의 효능 극대화 방안 연구

  • Received : 2012.12.13
  • Accepted : 2013.08.01
  • Published : 2013.07.30

Abstract

Functional game, which is the combination of play and learning and a futuristic tool, can minimize the dysfunction and maximize the proper functions, and furthermore, has taken root as a new alternative that can change the game industry and game culture. Recently, the focus of game and education markets is shifting to the development of more advanced learning contents, rather than emphasizing the self-control and motivation of users. Along with that, the game market has excluded the socially dysfunctional elements, such as the addiction and learning disabilities, and has witnessed a diversification into the human-friendly entertainment business that emphasizes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and pursues scientific educational effects. In addition, functional games are expanding its reach from the professional sectors - such as medical aide/medical learning, military simulation, health, auxiliary tools, special education and learning tools - to the realm of routine education, mental health, etc., and has seen a steady growth. However, most functional games, which are being currently planned and developed to cope with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 have not undergone accurate scientific assessment of their functions and have not proven their effectiveness. An overwhelming proportion of the functional games are being developed based on the intuition and experience of game developers. Moreover, the type of games, which involve the repetition of simple tasks or take the form of simple puzzles, cannot effectively combine the practically interesting factors and the learning effects. Most games incorporate unscientific methods leading to the vague anticipation of improvement in functions, rather than the assessment of human functions. In this paper, a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measures that could maximize the effects of functional games in relation to the changes in the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s of functional games, i,e., the immersion and concentration. To compare the degree of effects arising from the visual stimulation, the functional game contents made in the form of 2D and 3D were utilized. In addition. ultra sound and 3-dimensional functional game contents were utilized to compare the degree of effects resulting from the changes in the auditory stimulation. The brainwave of the users were measured while conducting the experiments related to the response to the changes in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s in 3 steps,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compared.

기능성 게임은 놀이와 학습의 결합 형태이며 미래 지향적 도구로, 기존의 게임이 가지고 있는 역기능을 최소화하고 순기능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게임 산업 및 게임 문화를 바꿀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의 게임 및 교육시장은 사용자의 자율성과 동기를 강조하는 보다 진보된 형태의 학습 콘텐츠 개발로 이동하고 있다. 이와 맞물려 게임 시장 또한 게임 중독 및 학업 부진과 같은 사회 역기능적인 요소를 배제하며, 정신과 육체의 건강을 중시하고 과학적인 교육 효과를 추구하는 인간 친화적 형태의 엔터테인먼트 사업으로의 확장을 다각화하고 있다. 또한, 기능성 게임은 의료보조 및 의료학습, 군사 시뮬레이션, 건강. 보조도구, 특수교육 및 학습 도구같은 전문적인 영역에서 일상적인 교육 및 정신 건강 등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시장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장 특수성에 부응하여 현재 기획 및 개발되고 있는 기능성 게임의 대부분은 그 기능에 대한 정확한 과학적 측정과 효과 검증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대부분 게임 개발자의 직관과 경험에 의존하여 개발되고 있다. 또한, 전반적으로 단순한 과제를 반복하거나 간단한 퍼즐 형태의 게임으로 실제적 재미 요소와 학습의 효과를 효과적으로 결합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인간기능의 측정보다는 막연한 기능 증진을 기대하는 비과학적인 방법의 게임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각 및 청각 자극 변화에 따른 기능성 게임의 몰입도 및 집중도 변화를 분석하여 기능성 게임의 효과적인 시청각 자극 제시 방안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2D 형태의 기능성 게임(가청 주파수 대역의 게임 음향), 3D 형태의 기능성 게임(가청 주파수 대역의 게임 음향), 3D 형태의 기능성 게임(가청 주파수 대역의 게임 음향 및 초음파 영역 게임 보조 음향)을 활용한 3단계의 시각 및 청각 자극 변화 실험 수행하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 및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훈, "기능성 게임의 시장동향", 전자정보센터, 2009
  2. 박상진 "게임구성요소와 몰입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2006 한국콘텐츠학회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2, 2006
  3. 이상민, 신정훈 "2D/입체 3D 기반의 기능성 게임의 몰입도 비교 분석 실험 설계", 한국 신호처리 시스템 학회 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12, No.2, pp.309-311, 2011
  4. 조승주, "기능성 게임을 통한 학습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집중력 훈련 게임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2007
  5. 문선모, "기억력과 집중력 향상 기술", 원미사, 2008
  6. 채규진, 조영희, 양성경 "온라인게임이용자의 몰입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06년 4월 8일, pp.441-457, 2006
  7. 최정원, 이영호, 주의 집중력 향상 전략, 학지사, 2006
  8. 에버하르트호이엘, 전재민, 집중력 10배 올리는 방법, 북폴리오, 2006
  9. 김성희, "온라인 게임에서의 플로우(Flow)경험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0. Clarke, S.G. & Rubin, A.M., "Flow experience in the daily lives of sixth from college student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Vol.85, No.4, pp.511-523, 1994 https://doi.org/10.1111/j.2044-8295.1994.tb0253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