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Regards to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영유아권리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 이영애 (숭의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 곽정인 (숭의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3.09.09
  • Accepted : 2013.11.07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and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the rights. The survey covered 525 students attending six three-year-course colleges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do, Chonra-do, Gyeongsang-do, and Jeju-do, Korea. They were in their freshmen, sophomore, and junior year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rstly, the research foun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towards the importance children's rights was relatively high. The higher grade they were, the better perception for the importance of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they had. Additionally, the teachers who were registered for courses related to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rights especially well. Secondl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ighl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Compared to the freshmen and sophomores, the juniors had higher awareness levels about the necess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ights. On the other hand, being in a related course or not made no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for the necess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ights. Lastly,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had greater concern for the necessity of education rights rather than the importance of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영유아권리의 중요성 및 권리교육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서울, 경기, 충청, 전라, 제주도의 3년제 전문대학 6곳의 유아교육과 1, 2, 3학년 5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영유아 권리의 중요성을 비교적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은 학년이 높을수록 영유아의 권리를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권리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들이 영유아권리가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영유아의 권리교육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1, 2학년보다 3학년이 영유아의 권리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권리관련 과목 수강여부에 따라서는 영유아 권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영유아 권리의 중요성 보다 권리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 과정 교사용 지침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2.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한국교육개발원, 2012.
  3. 김경희, 안소영, 한지숙,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 경험에 대한 아동의 인식연구", 아동과 권리, 제17권, 제2호, pp.175-204, 2013.
  4. 김숙자, 김현정, 변선주,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제12권, 제4호, pp.299-323, 2008.
  5. 김승권, 강민지, 이지영, 이성범, 송민정, UN아동 권리협약 이행 모니터링 사업보고서, 보건복지부․한국아동권리모니터링센터, 2011.
  6. 김윤정, 발달단계에 따른 아동권리에 대한 기초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7. 김진숙,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의미와 실행수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8. 김진숙, 서영숙, 서혜정, "아동권리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권리 인식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제14권, 제6호, pp.35-60, 2010.
  9. 나 정, 현 교원정책의 쟁점과 교육의 질 방향- 교육이론과 실천.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1.
  10. 류수정, 아동권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아동권리 보장 실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1. 박은미, "예비 유아교사들의 교직관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제12권, 제4호, pp.71-89, 2008.
  12. 박은혜, 유아교사론, 창지사, 2009.
  13. 배송희, 유아권리 교육을 통한 보육교사의 성찰과 영유아의 이미지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4. 백상수, "교생실습 후 예비유아특수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교사양성기관에 대한 제안", 유아특수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pp.103-128, 2011.
  15. 법제처, 영유아보육법, 법제처, 2005.
  16. 보건복지부, 표준보육과정의 구체적 보육내용 및 교사지침, 보건복지부, 2011.
  17. 서영숙, 서혜정, 김진숙, "유아권리와 권리교육에 대한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분석", 유아교육․ 보육행정연구, 제13권, 제3호, pp.215-232, 2009.
  18. 서영숙, 서혜정, 김진숙, "유아에게 참여 기회를 주려는 교사의 노력과 그 경험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제22권, 제6호, pp.111-137, 2012.
  19. 신지현,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아동권리 인식 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0. 안동현, "아동과 보육교사의 권리", 2010 추계 보육관련 학회 통합 학술대회, pp.141-148, 2010.
  21. 양심영, "아동인권에 대한 인식", 아동인권교육 포럼․한국아동단체협의회, 2003.
  22. 양옥승, "재개념론적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과정 탐구", 한국영유아보육학, 제22권, 제3호, pp.139-170, 2004.
  23. 유니세프한국위원회, 어린이는 어떤 권리를 가졌을까요? 게임으로 알아보는 아동의 권리협약, 유니세프한국위원회, 1995.
  24. 유해미, 김은설, 황옥경, 김재원, 육아지원기관에서의 아동권리 실태와 증진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1.
  25. 이기숙, 창의적이고 전인적인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유아교육 혁신, 교육인적자원부 유아교육정책과제 2001-24, 2001.
  26. 이미숙, "예비 유아교사와 예비 초등교사의 유아 교사 역할 인식", 교육연구, 제23권, 제2호, pp.63-80. 2007.
  27. 이미숙, 영유아 인권 및 인권교육에 대한 실태 및 교사 인식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8. 이미식, "아동의 인권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인권교육 프로그램 연구", 열린교육연구, 제5권, 제1호, pp.185-212, 2007.
  29. 이배근, "아동권리증진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아동권리연구, 제1권, 제1호, pp.35-46, 1997.
  30. 이용교, 황옥경, 김영지, 김형욱, 이중섭, 박경희, 한국의 아동․청소년 권리, 인간과 복지, 2005.
  31. 이은하, 고은경,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이미지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6호, pp.145-177, 2008.
  32. 이재연, 강성희, "권리에 대한 아동의 인식", 아동권리연구, 제1권, 제1호, pp.65-83, 1997.
  33. 이재연, 황옥경, 김효진, "아동과 권리", 아동학회지, 제20권, 제6호, pp.153-165, 2009.
  34. 이지영, 영아의 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5. 이혜경, 예비유아교사의 양성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6. 임은정, 이성균, 정미림, "동료 유아교사 평가척도 개발 및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7호, pp.438-447, 2010.
  37. 정순원, 교사인권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8. 조복희, 아동발달, 교육과학사, 2006.
  39. 주한수, 초등학교 아동의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40. 쯔모리 마코토, 어린이와 함께 크는 교사(박향아 역), 중앙적성출판사, 2000.
  41. 차영숙, 강민정, 유희정,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육 실습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긍정적 경험", 유아교육학논집, 제15권, 제3호, pp.369-394, 2011.
  42. 한국 NPO연대, 아동권리협약 민간보고서, 2010.
  43. 한국보육시설 연합회, 육아정책연구소, 보육시설 장 교사 윤리강령 개발 연구, 2010.
  44. J. Agee, "Readers becoming teachers of literature,"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Vol.29, No.3, pp.397-431, 1997. https://doi.org/10.1080/10862969709547966
  45. G. S. Connella, 유아교육이론 해체하기: 비판적 접근(유혜령 역), 창지사, 2002.
  46. General Comment No.7, Implementing child rights in early childhood,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November, 2005.
  47. S. N. Hart and M. Zeidner, "Children's rights perspectives of youth and education: Early findingd of a cross national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ren's Right, Vol.1, pp.165-199, 1993. https://doi.org/10.1163/157181893X00043
  48. B. Mayall, Towards a sociology for childhood: thinking from children's lives, Open University Press, 2002.
  49. B. A. Reardon, Education for Human Dignity: Learning about Right and Responsibiliti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p.206-220. 1995.
  50. R. S. Steinberg and L. J. Kincheloe, Kinderculture: the corporate construction of childhood, second edition, Westview Press,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