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toration Model for Culture Contents of the Man-Heo-Jeong in Ulsan

울산 만회정의 문화콘텐츠를 위한 복원 모델

  • 이창업 (울산과학대학교 공간디자인학부)
  • Received : 2013.10.02
  • Accepted : 2013.10.29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Man-heo-Jeong, which wa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Sibri bamboo grove near by Tae-hwa river in Ulsan, was a Jeong-ja(a kind of pavilion) by Park Chui-moon, both a military officer and a nationwide town chief. Now we can presume the appearance of Man-heo-Jeong, referring to the old map describing old Ulsan districts and to old literatures of Park Chui-moon's family describing downtown of Ulsan of that times. It is estimated that the size of Manheo-Jung was constructed three-bay in front view, one point half-bay in side view and terrace in the fore front. Its space composition was designed likewise one-bay was both sides and in the middle there was one-bay Maru called joong-dang-hyeob-sil type. Such a structure made people to enter from the back entrance of gazabo and look the front view dramatically.

울산 태화강변 십리대숲의 가운데에 위치하였던 '만회정'은 울산 출신의 무관인 박취문이 조성한 정자였다. 울산읍지와 고문헌 및 고지도를 참고해 보면, 조선후기 당시 만회정의 모습을 어느 정도 유추해 볼 수 있는데, 만회정의 규모는 정면 3~4칸, 측면 1.5칸 정도로 추정되며, 전면부에 누마루(테라스)를 둔 것을 알 수 있다.공간의 구성은 양쪽에 방 한 칸씩을 두고, 가운데에 마루 한 칸을 둔 중당협실형인데, 이와 같은 형식은 정자의 뒤에서 진입하게 하여 전면의 경관을 극적으로 보게 한 구성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만회정은 태화강과 십리대숲을 충분히 이해하여 구성된 정자라고 할 수 있으며, 문화콘텐츠 요소로 활용하기에 손색 없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鶴城誌(1749년 편찬), 蔚山府輿地圖新編邑誌 (1786년 편찬), 蔚山府邑誌(1832년 간행)
  2. 울산문화원, 울산울주향토사, 울산문화원, 1977.
  3. 울산문화원, 내고장의 전통, 울산시, 1982.
  4. 이유수, 울산지명사, 울산문화원, 1986.
  5. 송수환, 태화강에 배 띄우고- 울산경승 한시 선집, 울산광역시, 1999.
  6. 성범중, 한문학 속에 남아 있는 울산지역의 풍광과 풍류, UUP, 2005.
  7. 이재현, 이창업, "울산지역 누정의 공간구성과 형태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