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Research Trend Related to Private Security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활용한 민간경비 분야의 연구 경향

  • 양승돈 (김포대학교 경찰행정과)
  • Received : 2013.07.25
  • Accepted : 2013.08.28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This study is aim to research trend of private security and to suggest direction of improvement to sector of private security. This study has been to analyzed to be useful social network analysis(particularly Degree Centrality and Clossness Centrality) for using typical research method about trend of academic subject. As a result of Degree Centrality and Clossness Centrality, Individual factors such a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private security are more keyword than institutional factors and policy factors such as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and training for Private Security guards. It means that research trend of private security are to study Individual factors rather than institutional factors and policy factors. But, this study is a limit as follows; First, An object of study is only to searching article in National Assembly Liberary. A follow-up studies are need to expand the range of an object of study for private security.

이 연구는 민간경비 분야에 대한 연구 경향을 살펴봄으로써 민간경비 분야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경향을 살펴보는데 있어 특정 학문이나 대상의 경향을 분석하는 대표적인 연구방법인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 중 연결중앙성과 인접중앙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결중앙성과 인접중앙성의 경우에서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와 같은 개인적인 요소들이 경비업법이나 경비원의 교육훈련과 같은 민간경비의 제도적 정책적 문제보다 더 많이 키워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 볼 때, 민간경비 분야 연구 경향에 있어 제도적 정책적 연구보다는 민간경비원의 개인적 요소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의 연구 대상이 국회도서관 내 검색된 연구결과물들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일반화하기엔 한계가 있으며, 추후 그 연구 대상을 확대하여 좀 더 보완 확대할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police.go.kr
  2. 이강문, 송영남, "한국 민간경비 실태분석을 통한 운영체제 발전방안",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11 권, 제1호, pp.101-125, 2012.
  3. 박동균, 이민형, "한국 민간경비 제도의 현황 및 발전방안",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17권, pp.11-41, 2011.
  4. 최영출, 박수정,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보, 제45권, 제1호, pp.123-139, 2011.
  5. 조민상, 명도현, 박한호, "한국민간경비학회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14권, pp.195-210, 2009.
  6. S. Wassetman and K. Faust,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The Press Syndicate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 1994.
  7. B. Downe-Wamboldt, "Content analysis: Method, applications, and issues,"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Vol.13, No.1, pp.313-321, 1992. https://doi.org/10.1080/07399339209516006
  8. G. A. Barnett and J. Woelfel, Reading in Galileo system: Theory, methods and applications, Dobuque, IA: Kendall/ Hunt, 1988.
  9. 김수연, 김대욱, 최명일, "한국 광고홍보학 연구경향 언어 네트워크 분석", 한국광고홍보학회, 제15 권, 제1호, pp.59-85, 2013.
  10. 손동원, 사회 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2005.
  11. 김용학, 사회연결망분석(제3판), 박영사, 2005.
  12. 안황권, 김상진, "한국 경호경비학의 연구경향 분석:한국경호경비학회지 기고논문(1997-2007)을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15권, pp.191-210, 2008.
  13. 권대봉, 김재현, 이형민, 이윤수, "아웃플레이스먼트(Outplacement) 연구의 경향분석: 2000년대 이후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HRD연구, 제14 권, 제3호, pp.1-23, 2012.
  14. 정병수, 류상일, 김화수, "산업보안의 연구경향 분석: 학술연구정보서비스(2000년-2011년)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제9권, 제2호, pp.195-215, 2012.
  15. 주상현, 정인진, "한국자치행정학보 연구경향의 실증적 분석: 최근 4년(2005-2008)간 한국자치행정학보 기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3권, 제1호, pp.411-432, 2009.
  16. 박수정, "교육감 선거 관련 신문사설에 대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제18권, 제 2호, pp.183-203, 2011.
  17. 문인수, 박수경, "리더십 연구 경향 분석 및 제언: 국내 행정학 분야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0권, 제2호, pp.21-40, 2009.
  18. 송종길, 황성연, "방송통신융합 시대 미디어 연구의 경향: 2000년 이후 기존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제68권, pp.110-132, 2009.
  19. 하소연,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십 연구경향 분석",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2호, pp.201-223, 2012.
  20. 이민창, "우리나라 자원봉사 연구의 경향분석", 지방정부연구, 제12권, 제1호, pp.151-175, 2008.
  21. 박한우, Loet Leydesdorff,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6권, 제5호, pp.1377-1387, 2004.
  22. L. C. Freeman,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Vol.1, No.3, pp.215-239, 1979.

Cited by

  1.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Density of the Joint Research Network between Countries on Technology Diffusion: focusing on the case of secondary battery and the electric vehicle field vol.14, pp.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582
  2. Research topics and trends in medical education by social network analysis vol.18, pp.1, 2018, https://doi.org/10.1186/s12909-018-1323-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