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orean Movie Users' Media Usages and Motivation in N-screen Ages: The Comparison Among Koreans, Japanese and Chinese

'N스크린 시대 한국영화콘텐츠 이용자의 이용매체 및 이용동기 차이 분석: 한·중·일 이용자 비교

  • Received : 2013.10.14
  • Accepted : 2013.11.18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The Korean film has not been on the board of Korean waves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media accessibility. However, N-screen gives Korean films the chance of being on the board of Korean waves, especially in Asian country which have shared cultural codes.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Korean films in asia based on the analysis of Korean film viewers' motivation and media usage. For this purpose the 330 data were collected among Korean, Japanese and Chinese from Feb, 23rd through April, 5th in 2013. The results show the followings; 1) Korean viewers have the strong preference of cinema theater to other media such as PC, VCR/DVD player, tablet PC and mobile phones. Whereas, Japanese viewers prefer VCR or DVD players and Chinese viewers prefer PC and mobile phones. 2) In terms of viewing motivation, social utility is most important to Korean viewers while diversion to Japanese and Chinese viewers.

한류의 물결에 영화가 편승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매체 접근성이 다른 영상콘텐츠보다 낮다는 것이다. 그러나 N-스크린 시대에서, 영화는 매체 접근성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으며 오히려 판권 부가시장의 확장으로 인한 새로운 기회를 맞이할 것이다. 특히 N-스크린 기술은 문화코드를 공유하는 아시아 지역에서 한국 영화콘텐츠의 한류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수용자 분석이 선행 되어야 하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중일 수용자들의 영화소비 양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설문 조사는 2013년 2월 23일부터 4월 5일까지 일본인, 중국인 그리고 한국인 각각 110명씩을 분석대상으로 표집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국, 중국, 일본 관객들의 영화 관람 시 이용하는 매체와 이용 동기에서 있어서 분명한 차이가 있다. 한국 관객들의 영화 관람 동기는 사교적 목적, 즉 친구 또는 가족들과 함께 영화를 보는 것이며, 다른 매체에 비해 월등히 영화관 이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인은 영화 자체가 가지고 있는 재미나 취미로 영화를 관람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일본과 중국 관객들에게는 "기분전환"이라는 동기가 중요시되며, 일본인은 VCR/DVD 플레이어, 중국인은 PC나 핸드폰 등 보다 손쉽고 개인적인 스크린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국이나 일본, 특히 일본에서는 영화 콘텐츠 제작이 반드시 빅 스크린용으로 국한될 필요가 없다는 함의를 가지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영화진흥위원회, 2011영화산업결산, 2012.
  2. 최세경, "N스크린 시대에 TV비즈니스의 전망과 대응 전략-콘텐츠 유통과 소비 패러다임의 변화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제22권, 제2호, pp.7-36, 2010.
  3. OECD, "Policy Consideration for Audio-visual Content Distribution in a Multi-platform Environment," 2007.
  4. 김윤화, "N스크린 전략 및 추진 동향 분석", 방송통신정책, 제22권, 제20호, pp.1-23, 2010.
  5. 이재현, "모바일 미디어와 모바일 콘텐츠: 멀티플랫포밍 이론의 구성과 적용", 방송문화연구, 제18권, 제2호, pp.285-317, 2006.
  6. 최세경, "N스크린 시대에 TV비즈니스의 전망과 대응 전략-콘텐츠 유통과 소비 패러다임의 변화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제22권, 제2호, pp.7-36, 2010.
  7. Capgemini, Reinventing Television: the Future of Television Drama, 2008.
  8. E. Yterberg, "Extended liveness and eventfulness in multiplatform reality formats," New Media & Society, Vol.11, No.4, pp.467-485, 2009. https://doi.org/10.1177/1461444809102955
  9. 오경수, "N스크린 서비스 잠재적 수용자의 수용의도 영향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80-92, 2012.
  10. 백형근, 전범수, 이동기, "대학생들의 N-스크린 유료 서비스 이용의도 결정요인", 한국방송학보, 제27권, 제1호, pp.94-130, 2013.
  11. 윤용필, 김흥규, "모바일 N스크린 수용자 연구", 주관성연구, 제25권, pp.95-119, 2012.
  12. 김동우, 이영주, "스크린 서비스의 이용행태, 콘텐츠, 기능, 비용이 이용 만족도와 지속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공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pp.749-757, 2013. https://doi.org/10.5909/JBE.2013.18.5.749
  13. 임소혜, 이영주,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자의 이용 동기와 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99-10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099
  14. 이수범, "DMB 이용자 특성에 따른 모바일 미디어 이용과 광고 태도에 대한 연구", 옥외광고연구, 제8권, 제1호, pp.107-130, 2011.
  15. A. M. Rubin, "Television uses and gratifications : The interactions of viewing patterns and motivations," Journal of Broadcasting, Vol.27, pp.37-51,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