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tents Analysis of Vocabulary Learning Game Application on Smart-Phone and Tablet PC for Young Children's Language Learning

유아 언어학습용 단어게임 애플리케이션 분석

  • 현은자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연혜민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 장주연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이은영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Received : 2013.07.23
  • Accepted : 2013.09.17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rstly, to evaluate the contents of vocabulary game applications for young children's language learning. and secondly,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word games in terms of the evaluation score. For this purpose, the word game applications in smart phone and tablet PC were analyzed, which included 30 Korean word games and another 30 English ones. The criteria to evaluate the contents were developed based on Children's Software Evaluation Instrument developed by CTR, the multimedia evaluation standard by Hee Sook Park, Young Joo Lee, and mobile contents evaluation standard by Soo Ui Choi. As a result, the educational value got the highest score whereas the design characteristics area got the lowest score in the whole evaluation analysis. And English word game applications mostly got higher score than Korean ver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suggest the way to evaluate educational game applications in use an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educational game contents aimed at young children's language learning.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사용되는 유아 언어학습용 단어게임 애플리케이션의 내용 및 수준을 평가하고, 한글과 영어 단어 게임 애플리케이션 간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센터에서 제공하는 유아 언어학습용 단어게임 애플리케이션으로 영어단어게임 애플리케이션, 한글단어게임 애플리케이션 각 30개씩이다. 분석도구는 CTR(Children's Technology Review)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평가 도구(Children's Software Evaluation Instrument), 박희숙, 이영주(2007)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평가 준거, 최수의(2003)의 모바일 콘텐츠 평가 준거를 참고로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수정 보완한 평가 준거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단어게임 애플리케이션의 분석결과는 평가영역별 중 교육적 가치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디자인의 특성에서는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한글 영어 단어게임 애플리케이션 간의 비교에서는 영어단어게임 애플리케이션이 한글단어게임 애플리케이션보다 전체적으로 모든 영역의 점수가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를 위한, 발달적으로 적합한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년 스마트폰 이용실태조사 최종보고서,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pp.77, 2013.
  2.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 w.html?artid=201306252201515&code=930201
  3. 박인곤, 신동희,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이용과 충족, 의존도, 수용자 혁신성이 스마트폰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4호, pp.192-225, 2010.
  4. http://www.songpa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353
  5. 박희연, 김현석, 남고은,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아동 한글 교육 : 한국의 아동용 한글 교육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제1호, pp.386-388, 2012.
  6. 은혜영, 김현석, "스마트폰을 활용한 새로운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에 관한 연구",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제1호, pp.695-698, 2011.
  7. L. Johnson, R. Smith, H. Willis, A. Levine, and K. Haywood, The 2011 Horizon Report, The New Media Consortium, pp.12, 2011.
  8. 김은정, 박성덕, 김경철, "학습관련 인지이론에 기반한 유아용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분석",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pp.163-174, 2011.
  9. 이위현, 스마트 TV의 교육 콘텐츠 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생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46-47, 2010.
  10. 이주연,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앱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5, 2011.
  11. 이원석, 성영화,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어머니의 인식", 육아정책연구논문지, 제6권, 제1호, pp.20-38, 2012.
  12. M. Hashemi and B. Ghasemi, "Using mobile phones in language learning / teaching,"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15, pp.2847-2951, 2011.
  13. 하성보, 강승묵, "스마트폰의 이용형태와 이용환 경이 갖는 사회문화적 함의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pp.89-99,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7.089
  14. S. Upadhyay and N. Upadhyay, "Mobile Language Class: Language Learning through Mobile Gaming," Instructional Technology & Distance Learning, Vol.4. No.9, 2007.
  15. 최경숙, 아동발달심리학, 교문사, pp.205-215, 2006.
  16. 이하원, 박희숙, 원선아, 언어지도, 창지사, pp.35-36, 78-84, 2012.
  17. 이차숙, 유아언어교육의 이론적 탐구, 학지사, pp.584-586, 2004.
  18. 박성원, "영어 학습을 위한 교육용 게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제4권, 제22호, pp.165-174, 2010.
  19. M. Alessi and R. Trollip, Computer-Based Instruction: Method and Development(2 Sub editon), Prentice Hall College, pp.204, 1991.
  20. 박성원, 이상엽, "영어 학습을 위한 컴퓨터 카드 게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2권, 제23호, pp.141-150, 2010.
  21. 김지윤, "유치아동을 위한 영어교육용 멀티미디어 게임 개발", 한국디자인포럼, 제9권, pp.145-161, 2004.
  22. 이지선, 최재혁, "학습자 요구 분석에 따른 스마트폰 어휘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의 구현",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15권, 제1호, pp.43-53, 2012.
  23. 유구종, "유아교육용 인터넷 콘텐츠 평가척도 개발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6권, 제5호, pp.287-306, 2006.
  24. 유구종, 김민경, 김은아, "유아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내용 및 인터페이스 상호작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논문지, 제17권, 제1호, pp.169-194, 2012.
  25. http://eto.co.kr/news/view.asp?code=20120904102831574
  26. 김은정, 박성덕, 김경철, "학습관련 인지이론에 기반한 유아용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분석",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제11권, 제4호, pp.163-174, 2011.
  27. 유소연, 김회광, 신재욱, "유아교육용 어플리케이션에서 표현 모티브에 따른 캐릭터 선호도 분석 :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학습하는 만3-6세의 유아를 대상으로",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제35권, pp.95-104, 2012.
  28. 이한나, 스마트폰을 통한 창의적 유아율동 어플리케이션 매체 개발 : 아이폰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48-49, 2011.
  29. 박은영, 이경아, "음성인식을 적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방안 : 교육용 유아영어 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1권, 제1호, pp.111-120, 2013.
  30. 원혜민, 이경미,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한 유아 대상의 체감형 게임 설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3호, pp.116-127,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3.116
  31. 유재권, 이경옥, 이경미, "만 3-5세 유아의 한국어 음성 데이터베이스 구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52-5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052
  32. 심윤진, 모바일 게임 앱의 활용이 한국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74-76, 2013.
  33. 전주성, 임진호, 김소영, "영어단어학습용 온라인 교육게임이 학습자의 영어단어학습에 대한 태도, 자아효능감, 전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 제39권, 제1호, pp.85-105, 2008.
  34. 김승준, 김갑수, "형태초점교수법 기반 초등학교 영어단어학습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223-231, 2012.
  35. 이승훈, 스마트 기기 기반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이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82-88, 2013.
  36. 강귀연, CSR 유아용 소프트웨어 평가척도의 타당화 연구,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46-48, 2001
  37. 박희숙, 이영주, 유아교육과 멀티미디어, 공동체, pp.59-80, 2002.
  38. 최수의, 어린이를 위한 모바일 에듀테인먼트 컨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디지털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24-129, 2003.
  39. 이인숙, 송기상, 이영민, 모바일 학습의 탐구, 문음사, pp.259-260, 2006.
  40. 장은지, 박용석, 임걸, "학습자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활용 만족요인과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 8호, pp.471-483,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8.471
  41. 최은주, 학습장애아를 위한 디지털 콘텐츠 상호 작용성 설계 전략,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76-78, 2009.
  42. 이경화, 조순옥, 김정원, 심은희, 이연규, 이문정, 영유아를 위한 언어교육, 창지사, pp.53-66, 2009.

Cited by

  1. Analysis of Applications for Preschoolers’ Korean Vocabulary Learning: Focusing on Tablet PC Applications vol.53, pp.2, 2015, https://doi.org/10.6115/fer.2015.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