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sing the Innovation and Technology Adoption Attributes as Predictors of Digital Contents Gift Giving -Focused on Mobile Coupon-

혁신성과 기술 수용 특성이 디지털 콘텐츠 선물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모바일 쿠폰을 중심으로-

  • 이한석 (상명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Received : 2013.08.12
  • Accepted : 2013.09.30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As a form of reciprocity or exchange, gift giving is one of the processes that integrate a society. There has been a long history of research on gift giving behavior in the communication area. Recently with the advent of digital environment, digital contents gift giving behavior became a prevalent social custom. Bu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f an individual consumer's consumption behavior of digital contents gift giving. Drawing on the innovation theory,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gift giving literature, the author take a quantitative approach to the effect of innovation attributes on mobile coupon gift giving behavior. The result showed that innovation attribute did positive influence to mobile coupon gift giving behavior. Furthermore, consumer innovation attribute moder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innovation and mobile gift giving attitude.

선물 증여 행동은 소비자의 기본적 커뮤니케이션 방법 중의 하나이며 최근 스마프폰의 대중화와 함께 휴대폰 문자 메시지로 전송되는 바코드 형태의 모바일 쿠폰 선물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모바일 환경에서의 선물 증여 행동이 어떠한 동기요인에서 비롯되었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소비 행태가 어떠한 가에 대하여는 충분히 연구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선물 증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품 혁신성과 소비자 혁신성의 혁신성 차원 및 소비자 기술수용 특성이 선물 증여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PLS를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으며 연구 결과 제품 혁신성과 기술 수용 특성은 소비자의 모바일 쿠폰 선물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조절효과와 관련하여 소비자 혁신성이 높은 소비자가 소비자 혁신성이 낮은 소비자 보다 제품 혁신성과 모바일 쿠폰 선물 태도의 관계에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R. W. Veryzer, "Key Factors Affecting Customer Evaluation of Discontinuous New Product," The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14, pp.136-150, 1998.
  2. 김인숙, "대학생의 선물증여 및 구매행태에 관한 연구", 과학과 문화, 제1권, 제1호, pp.473-482, 2004
  3. E. L. Schieffelin, "Reciprocity and the Construction of Reality," Man, Vol.15, No.3, pp.502-517, 1980. https://doi.org/10.2307/2801347
  4.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577559.html
  5. 이한석, "온라인 환겨에서 디지털 콘텐츠 선물 행위에 관한 질적 연구", 사이버사회문화, 제4권, 제1호, pp.93-113.
  6. 조용래, 김원준, "혁신이론 고찰을 통한 디지털콘텐츠 산업 혁신전략 : 스마트폰 시장 사례 분석", 한국경영학회통합학술발표논문집, pp.1-13, 2010.
  7. S. K. Banks, "Gift-giving: A review and an Interactive Paradigm,"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6, No.1, pp.319-324, 1979. https://doi.org/10.1086/208775
  8. J. F. Sherry, "Gift giving in anthropoligical perspectiv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0, No.2, pp.157-168, 1983. https://doi.org/10.1086/208956
  9. 유재미,김상훈,이유재, "제품 혁신성 지각의 결정 요인과 제품 수용의향과의 관계 : 소비자 관점을 중심으로", 제21권, 제1호, pp.27-52, 2006.
  10. T. S. Robertson, "The Process of Innovation and the Diffusion of Innovation," Journal of Marketing, Vol.31, pp.14-19, 1967. https://doi.org/10.2307/1249295
  11. 박소진, 김용만, "하이테크 신제품 번들링 전략: 가격할인 프레이밍, 브랜드이미지, 제품혁신성의 역할", 마케팅관리연구, 제16권, 제1호, pp.63-87, 2011.
  12. R. Garcia and R. J. Calantone, "A Critical Look at Technological Innovation Typolody and Innovativeness Terminology : Literature Review," The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19, pp.110-132, 2002. https://doi.org/10.1016/S0737-6782(01)00132-1
  13. D. H. Hernard, D. M. Szymanski, "Why Some New Products Are More Successful than Other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8, pp.362-375, 2001. https://doi.org/10.1509/jmkr.38.3.362.18861
  14. W, Samuelson and R. Zeckhauser, "Status quo bis in decision making," Journal of Risk and Unvertainty, Vol.1, No.1, pp.7-59.
  15. A. Tversky and D. Kahneman, "Loss aversion in riskless choice: A reference-dependent model,"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106, No.4, pp.1039-1061, 1991. https://doi.org/10.2307/2937956
  16. 유연재, 김정식, "전자제품에서 기술수용모형의 확장: 지각된 제품혁신성과 지각된 위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13권, 제3호, pp.365-402, 2012.
  17. 김상훈, 강지윤, "소비자 특성이 추구편익 및 내구재 속성의 중요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혁신성, 대인적 민감도, 소비자 지식을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제20권, 제4호, pp.209-230, 2005.
  18. R. Goldsmith and C. Hofacker, "Measuring Consumer Innovativenes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19, No.3, pp.209-221, 1991. https://doi.org/10.1007/BF02726497
  19. 추호정, 윤남희, "사용만족과 소비자 혁신성이 스마트폰 적극적 사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제16권, 제4호, pp.153-176, 2011.
  20. D. B. Wooten, "Qualitative Steps toward an Expanded Model of Anxiety in Gift-Giv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7, No.1, pp.84-95, 2000. https://doi.org/10.1086/314310
  21. 노미진, 이경탁, "소셜커머스 수용에 있어서 지각된 위험의 영향력: 집단주의 조절효과 분석", 경영학연구, 제41권, 제1호, pp.57-87, 2012.
  22. A. Ail, R. Krapfel Jr, and D. LaBahn, "Product Innovativeness and Entry Strategy: Impact on Cycle Time and Break‐even Time,"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12, No.1, pp.54-69, 1995. https://doi.org/10.1016/0737-6782(94)00027-D
  23. R. P. Bagozzi and Y. Yi,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16, No.1, pp.74-95, 1988. https://doi.org/10.1007/BF02723327
  24. D. Gefen, D. W. Straub, and M. C. Boudreau,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gression: Guidelines for Research Practic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4, pp.1-79, 2000.
  25. J. Henseler, C. M. Ringle, and R. R. Sinkovics, "The Use of Partial Lease Squares Path Modeling in International Marketing," New Challenges to International Marketing Advanced in International Marketing, Vol.20, pp.277-319, 2009.

Cited by

  1. The Effect of Mental Simulation on Evaluation of Innovative New Product vol.14, pp.1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