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havior to Happiness Indexes among Industrial Workers

산업장 근로자들의 구강건강 행위에 따른 행복지수

  • Received : 2013.07.29
  • Accepted : 2013.09.05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oral health behavior and self-rated oral health of workers on their happiness indexes in an attempt to provide information on oral health planning geared toward industrial work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4 workers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health behavior and happiness indexes, the workers who got regular health checkups had higher happiness indexes for both single items(p=0.002) and entire five items(0.012), and those who had their teeth cleaned over the past year had higher happiness indexes for both single items(p<0.001) and entire five items(p=0.003). As for a toothbrushing frequency, the respondents who brushed their teeth more frequently had higher happiness indexes for both single items(p<0.001) and entire five items(p=0.023), and those who had ever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had higher happiness indexes for both single items(p=0.041) and entire five items. The workers who kept their toothbrushes at work had higher happiness indexes for both single items(p=0.001) and entire five items, and the respondents who could afford to visit a dental clinic immediately in case of having a toothache had higher happiness indexes for both single items(p<0.001) and entire five items(p<0.001).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preparation of systematic oral health programs is required to boost the happiness indexes of industrial workers.

본 연구는 경북지역 294명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행복지수에 구강건강 행위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의 영향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산업장 근로자들을 위한 구강보건계획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구강건강 행위에 따른 행복지수를 살펴보면 1년 내 정기검진여부에서는 정기검진을 받는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2), 5문항 행복지수(0.012)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고, 1년 내 스켈링을 받은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1), 5문항 행복지수(p=0.003)모두 높게 나타났다. 칫솔질 횟수에서는 칫솔질 횟수가 많은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1), 5문항 행복지수(p=0.023)으로 높았으며,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41), 5문항 행복지수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근무지에 칫솔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1), 5문항 행복지수(p<0.001)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아플 때 즉시 치과방문이 가능한 경우 단일문항 행복지수(p<0.001), 5문항 행복지수(p<0.001)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산업장 근로자들의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구강건강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명선, 문인옥, 박경옥, 오영아, "제조업 근로자의 건강상태, 건강행위, 작업환경 인지도의 변화", 대한보건협회학술지, 제31권, 제1호, pp.55-64, 2005.
  2. http://kostat.go.kr/wnsearch/seaech.jsp
  3. 최미혜, 오효원, 이흥수, "의료기관 근로자와 비의료기관 근로자의 구강보건형태 비교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3권, 제4호, pp.552-563, 2009.
  4. 대한치과의사협회, 한국산업구강보건원, "근로자 구강건강관리 방안에 관한 토론회", 산업구강보건학회지, 제13권, 제4호, pp.331-345, 2004.
  5. 김병재, 일부 대기업 노동자의 구강보건의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6. 이정화, 전은숙, 이혜진, "현대 자동차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증진행위 및 인지도에 관한 조사", 한국위생과학회지, 제12권, 제2호, pp.47-54, 2002.
  7. 이명선,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상태와 건강습관의 관련 요인분석", 한국보건교육학회지, 제12권, 제2호, pp.48-61, 1995.
  8. 김종배, 공중구강보건학, 8판, 서울, 고문사, pp.122-126, 2000.
  9. 노동부,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기준 제17조, 노동부고시 제92-9, 1992.
  10. 서현석, 박경섭, "충남지역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건강수준 및 형태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7권, 제4호, pp.641-663, 2003.
  11. http://www.oecdbetterlifeindex.org
  12. http://www.mt.co.kr(2013.05.28.
  13. 보건복지부, 건강검진결과분석, 보건복지부, 2002.
  14. 장분자, 이서국, "계획된 행동이론을 이용한 산업장 근로자의 치과의료이용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2권, 제4호, pp.587-599, 2008.
  15. 김연화, 울산지역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보건지식과 형태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제9권, 제1호, pp.17-23, 2009.
  16. 강대석, 이흥수, "우리나라 일부 노동자의 구강병으로 인한 노동손실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7권, 제2호, pp.305-317, 2003.
  17. 류다영, 송귀숙, 배수명, "근로자의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과 실천정도 조사", 치위생과학회지, 제10권, 제6호, pp117-126, 2010.
  18. 김승권, 장영식, 조흥식, 차명숙, 한국인의 행복 결정 요인과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19. 김혜진, 박천만, 우극현, 이은숙, 이종렬, 하은경, "산업 근로자의 구강건강실태 및 구강질환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제28권, 제2호, pp.158-167, 2002.
  20. 차정단, 장경애, "근로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에 미치는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4604-4611,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10.4604
  21. 박지현, 윤현서, "산업장 근로자의 주관적 인식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치위생과학회지, 제12권, 제3호, pp.235-243, 2012.
  22. 조영식, 임순연, 황혜림, "50대 이상 장노년층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구강건강 결과의 관련성", 치위생과학회지, 제11권, 제4호, pp.305-210, 2011.
  23. 김상곤, 김성중, "지역주민의 행복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지, 제25권, pp.325-351, 2008.
  24. 추홍규, 개인의 행복지수 수준과 결정요인,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5. 김지화, 강선희, 정미애,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삶의 질 평가",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4873-4880, 2010. https://doi.org/10.5762/KAIS.2010.11.12.4873
  26. 윤현서, 노인의 구강건강과 주관적 행복,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7. 김은주, 우승희, "조선소 근로자들의 구강보건교 육경험 유무에 따른 구강보건인식의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2012.
  28. C. E. Ross and M. V. Williger, "Gender, parenthood, and anger," J Marriage and the Family, Vol.58, pp.572-584, 1996. https://doi.org/10.2307/353718
  29. 신희석, "생의 의미가 중년주부의 우울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7권, 제1 호, pp.29-45, 2002.
  30. 차경호,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념감과 개인중심 주의.집단중심주의 성향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제10권, 제2호, pp.193-216, 1999.
  31. 박은선, 최준선, "일부 중년기 성인에서 건강상태가 일반적 삶의 질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제12권, 제6호, pp.624-633, 2012.

Cited by

  1. Investigation of Factor about Influet to Treatment to Happiness Index among Dental Patients vol.14, pp.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