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es of Impacts of the Outpatient Cost Sharing Reduction based on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이중차이모델에 의한 건강보험 외래본인부담금 경감제도의 영향 분석

  • 안이수 (신흥대학교 보건행정과)
  • Received : 2013.09.25
  • Accepted : 2013.10.31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outpatient cost sharing reduction on health care utilization of children under 6 years old. Methods : The data in this analysis was the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between August 2006 and July 2008. The study group was divided into two age groups, namely 0-5 years old and 6-10 years old.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policy change on office visits per person and expenditure per visit. In order to do so, the double difference analysis is us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outpatient cost-sharing reduction has never really had a huge impact on office visits per person and expenditure per visit.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outpatient cost sharing reduction for children under 6 years old policy is not working. Therefore, cost sharing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by income class is needed.

2007년 8월부터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정책의 일환으로 6세 미만 어린이 외래환자에 대한 본인부담금 경감제도가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본인부담금 경감제도가 시행된 2007년 8월을 기준으로 제도 시행 전인 2006년 8월부터 2007년 7월까지와 제도 시행 후인 2007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전후 1년 동안 외래진료 민감질환으로 외래를 방문한 6세 미만 환자들의 의료이용 변화를 분석하였다. 의료이용 변화는 제도 시행전후 외래 환자 수 증감율, 외래방문일수, 방문당 평균 진료비로 파악하였는데, 6~10세 환자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이중차이방법을 적용한 다중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제도 시행 후 외래진료 민감질환으로 외래를 방문한 환자는 대상군과 대조군 모두 증가하였는데, 특히 대상군에서 증가율이 높았다. 그러나, 대상군은 대조군에 비해 제도 시행에 따른 외래방문일수와 방문당 외래진료비의 증감율은 일정한 양상을 보이지 않고 그 차이 또한 적었다. 6세 미만 어린이 외래 본인부담 경감제도는 외래환자 수 증가라는 의료이용 변화를 가져왔으나, 실질적인 의료 접근성을 나타내는 외래방문일수, 방문당 평균 진료비는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제도의 궁극적인 목표인 의료 접근성 향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극적인 제도홍보와 함께 소득계층별로 본인부담률을 상이하게 설계하는 등의 의료 취약계층에 초점을 둔 정책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민건강보험공단, 2011년도 건강보험환자 진료비 실태조사, 국민건강보험공단, 2013.
  2. 송현종, 강민선, 정설희, 오주연, 조수진, 주요 국가의 보건의료 우선순위와 정책적 함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7.
  3. 보건복지가족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및 본인부담 조정 보도자료, 2007.
  4. Davidoff, Amy, Brown Garrett, Diane M. Makuc, and Matthew Schirmer, "Medicaid eligible children who don't enroll: health status, access to care, and implication for Medicaid enrollment," IInquiry(Summer), Vol.37, No.2, pp.203-218, 2000.
  5. P. G. Szilagyi, J. Zwanziger, L. E. Rodewald, J. L. Holl, D. B. Mukamel, S. Trafton, L. P. Shone, A. W. Dick, L. Jarrell, and R. F. Raubertas, "Evaluation of a state health insurance program for low-income children: implications for state child health insurance programs," Pediatrics, Vol105, No.2, pp.363-371, 2000(2). https://doi.org/10.1542/peds.105.2.363
  6. P. G. Szilagyi, A. W. Dick, J. D. Klein, L. P. Shone, J. Zwanzinger, and T. McInerny, "Improved access and quality of care after enrollment in the New York State Children's Health Insurance Program (SCHIP)," Pediatrics, Vol.113, No.5, pp.395-404, 2004(5). https://doi.org/10.1542/peds.113.5.e395
  7. G. M. Anderson, R. Brook, and A. Williams, "A Comparison of Cost-Sharing Versus Free Care in Children: Effects on the Demand for Office-Based Medical Care," Med Care., Vol.29, No.9, pp.890-898, 1991(9). https://doi.org/10.1097/00005650-199109000-00009
  8. J. Helms, J. P. Newhouse, and C. E. Phelps, "Copayments and demand for medical care: the California Medicaid experience," The Bell Journal of Economics, Vol9, No.1, pp.192-208, Spr., 1978.
  9. 박동아, 암 환자 외래진료 본인부담률 경감제 도입이 의료이용 및 진료비에 미치는 영향 : 대장암 환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0. 이용재, "본인부담경감이 암 환자의 건강보험이용에 미친 영향", 재정정책논집, 제11권, 제1호, pp.3-23, 2009.
  11. 곽숙영, 6세 미만 아동 본인부담금 면체정책 효과평가,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2. 전경수, 6세미만 입원본인부담금 면제정책이 의요이용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3. 최원희, 6세미만 소아의 건강보험 입원본인부담금 면제에 따른 의요이용 변화,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4. 김효정, 김영훈, 김한성, 우정식, 오수진, "외래 본인부담률 인상이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외래의료이용에 미친 영향", 보건행정학회지, 제23 권, 제1호, pp.19-34, 2013.
  15. 김명화, 권순만, "노인의 외래본인부담제도에 따른 의료이용의 변화", 예방의학회지, 제43권, 제6호, pp.496-504, 2010. https://doi.org/10.3961/jpmph.2010.43.6.496
  16. 최용준, 우리나라 어린이 청소년 환자에서 일차 의료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7. J. D. Parker and K. C. Schoendorf, "Variation in hospital discharges for Ambulatory care-sensitive conditions among children," Pediatrics, Vol.106, No.4, pp.942-948, 2000(10).
  18. 고수경, "주요 국가의 진료비 본인부담 현황", 건강보험포럼, 제1권, 제3호, pp.98-116, 2002.
  19. 양봉민, 보건경제학, 나남출판, 1999
  20. 양봉민, "의료서비스의 본인부담 가격", 보건학논집, 제33권, 제1호, pp.80-87, 1996
  21. 엄영진, 건강과 의료의 경제학, 계축문화사, 2008.
  22. S. Cretin, N. H. Duan, A. P. Jr Williams, X. Y. Gu, and Y. Q. Shi, "Modeling the Effect of Insurance on Health Expenditure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ealth Serv Res., Vol25, No.4, pp.667-685, 1990(10).
  23. J. Kim, S. Ko, and B. Yang, "The effects of patient cost sharing on ambulatory utilization in South Korea," Health Policy, Vol.72, No.3, pp.293-300, 2005(6). https://doi.org/10.1016/j.healthpol.2004.09.002
  24. 이현재, "보건의료비의 사회후생 증대효과 비교 분석: 주성분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378-389, 2013.
  25. 이정민, 김원중, 손혜숙, 전진호, 이명진, 박현숙, "연령층별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른 건강행위 실천과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317-32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