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lassical Hollywood Cinema with Music Theatre Features - in Reference to "Gone with the Wind" -

음악극적 특성이 강조된 고전영화 분석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사례를 중심으로

  • 오수진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 Received : 2013.08.01
  • Accepted : 2013.11.04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Gone with the wind"(1939, Directed by Victor Fleming) was produced in the stylistic conventions of the classical hollywood cinema, and thus the musical employment also followed the norms of the style, such as late Romantic musical style, serving the narrative, signifier of emotion, and giving continuity and unity. But, at the same time, the statement of the classical theory that the music hides and tailors itself to support the drama - invisibility, inaudibility, narrative cuing and so on - does not seem to explain the musical employment of "Gone with the wind." On the contrary, it hires music to put itself forward, and often times it stops the narrative to show musical spectacles for which the image is tailored to fit the music. These are more of music theatre or music drama features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underscore of the films in that period. In this study analysed the musical employment of "Gone with the wind" to see how it took full advantage of music to lead the narrative in a more active way and to make musical spectacles, by borrowing the technique and style of music theatre, such as, overture and entr'acte, similarities with film musicals, Wagnerism influence, and the use of songs.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1939년, 빅터 플레밍 감독)는 고전영화의 관습적 틀 안에서 제작되었으며 음악사용 역시 후기 낭만적 음악 스타일, 내러티브에의 종속, 감정적 지시, 연속성과 통일성 부여 등의 고전적 장르 영화의 규범을 상당 부분 준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가시성, 불가청성 등으로 표현되는, 음악이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지 않고 극에 맞추어 재단되어 숨겨져야 한다는 고전적 이론의 명제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음악 사용을 완전히 설명해주지는 못한다. 오히려 음악이 전면에 드러나거나 음악적 볼거리를 위해 이미지의 시간을 재단하는 등, 기존의 장르적 언더스코어의 관행보다는 음악을 우위에 두는 음악극적 특성을 두드러지게 발견할 수 있다. 서곡과 간주곡의 사용, 뮤지컬 영화들과의 유사성, 바그너 음악극의 영향, 노래를 통한 정보의 전달 등 음악극에서 볼 수 있는 음악적 장치들을 차용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장치들을 통해 숨어있는 언더스코어로서의 영화 음악이 아니라 음악적 볼거리를 풍부하게 하고 극의 전개를 견인하도록 음악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한 고전영화의 사례를 고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D. Bordwell, J. Steiger, and K. Thompson, the Classical Hollywood Cinema: Film Style and Mode of Produc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5.
  2. R. Prendergast, Film Music: a Neglected art: a Critical Study of Music in Films, 2nd ed., W.W.Norton, 1992.
  3. C. Gobman, Unheard Melodies, Indiana University Press, 1987.
  4. R. Prendergast, Film Music: a Neglected art: a Critical Study of Music in Films, 2nd ed., W.W.Norton, 1992, pp.213-226.
  5. G. Burt, the Art of Film Music,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1994.
  6. I. Conrich and E. Tincknell, Film's Musical Moments,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6.
  7. 이성률, "막스 슈타이너(Max Steiner)의 영화음악-<카사블랑카>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중심으로", 서양음악학, 제16권, 제1호.
  8. 이혜진, 1870년대 이후의 표제적 연주회용 서곡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9. 민은기, 서양음악사, 음악세계, 2013.
  10. M. Cooke, A History of Film Mus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1. F. Karlin, Listening to Movies: The Film Lovers' Guide to Film Music, Chirmer, 1994.
  12. C. Greenspan, the New Harvard Dictionary of Music,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86.
  13. 이성률, "막스 슈타이너(Max Steiner)의 영화음 악-<카사블랑카>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중심으로", 서양음악학, 제16권, 제1호., pp.5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