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dolescent's Recogni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Environment, Climate Change in Korea

우리나라 청소년의 과학기술과 환경, 기후변화 관련 인식 연구

  • Received : 2013.10.23
  • Accepted : 2013.12.07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Recently, the property damage has been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While the general public has become more aware of the environmental issues, b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ystem has not been able to meet up with the demands of the publ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eliminary data which is needed for developing a environmental textbook. A survey was conducted to meet the following requirements. Respondent's level of interest in problems or situations concerning the following eight themes: fundamental science, health and medicine, aerospace engineering, life science, electrical electronics, telecommunication,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vironmen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39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showed that health and medicine issues interest students the most (49.6%), followed by environment (46.8%). We asked the respondents who were very interested in each question for their reasons, and they answered that environmental issue i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ir life quality (53.8%) than their curiosity (38.5%). Students were very interested in the other issues because of just curiosity. Most students (90.6%) said seasonal change was not same each year. 18.0%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and their friends had experienced climate change. The majority of students (94.2%) thought that they will experience natural disaster blamed on climate change during their life. In other words, climate change is already the day-to-day events of their lives. The majority of their opinions, more then three than ten students(30.9%) sai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conduct an energy saving campaign to climate change problems followed by expanding new renewable energy (24.5%), conducting adaptation policies of climate change(22.3 %), introducing of a system as like $CO_2$ emissions trading(20.9%) and so on. There are more Stu- dents (69.1%) who know of new renewable energy than students who don't know it; however, respondents who know the meaning very well were just 18.7% showing that most students dimly know the meaning of new renewable energy.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인류의 피해가 나날이 늘고 있지만, 개인의 환경의식을 높일 수 있는 환경교육에 대한 공급은 수요를 따라 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향후 환경분야 교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총 13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과학기술과 기후변화, 신재생에너지에 관한 인식을 물어봤다. 가장 먼저 기초과학, 건강 및 의학, 우주항공, 생명과학, 전기전자, 정보통신, 에너지 및 자원, 환경 등 8가지 과학기술 분야 각각에 대한 관심도를 물었다. 이 결과, '건강 및 의학'에 대한 관심도가 49.6%로 가장 높았고, '환경'이 46.8%로 뒤를 이었다. 또한, "매우 관심 있다"고 응답한 학생에게 그 이유를 물어본 결과, '환경' 분야에선 '삶의 질 향상과 직접 연관되므로'라는 응답이 53.8%로, '개인적인 관심 때문'(38.5%)보다 많아, 다른 분야에서 '개인적인 관심 때문'이란 많은 것과 차이를 보였다. 기후변화와 관련해 대다수 중, 고등학생은 해마다 계절의 변화에 '차이가 있다'고 응답(90.6%)했고, 본인 혹은 지인들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경험한 경우는 18.0%로 조사됐다. 또한, 청소년들은 일생 동안 기후변화로 인해 자연재해를 '경험할 것'이란 응답이 94.2%로 매우 많아, 기후변화는 이미 일상적인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또한, 응답자들은 기후변화 해결을 위해 정부가 '전국민적 에너지 절약 운동'을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한다(30.9%)는 견해가 가장 많았고,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24.5%), '폭염, 폭설, 홍수 등 재난에 대비한 기후변화 적응 대책시행'(22.3%),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배출권 거래제, 탄소세 등 제도 도입'(20.9%), '기타'(1.4%) 순으로 응답됐다. 신재생에너지의 뜻을 인지한 경우는 69.1%로 비인지(18.7%)보다 많았다. 그러나 '매우 잘 알고 있었다'는 18.7%로 적어, 현재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막연하게 아는 학생이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