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文子)』의 황노사상(黃老思想)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the Huang-Lao philosophy in the Wenzi

  • 투고 : 2013.11.03
  • 심사 : 2013.11.30
  • 발행 : 2013.12.31

초록

"문자"는 저자와 문헌에 대한 불확실성 등으로 인한 문헌의 진위문제, 최근 출토된 죽간본과 통행본과의 관계 등 학계에서 논란되는 자료이다. 본 논문은, 잡가(雜家)와의 경계선을 모호하게 하는 황로학의 연구방식을 지양하기 위해 죽간본(竹簡本)과 통행본(通行本)이 공유하는 편장(篇章)을 중심으로, 도가학파의 도론(道論)과 대비시켜 "문자" 황로사상의 고유성에 대해 논의한다. "문자"는 도법가(道法家)의 유형으로 파악할 수 없는 유가유(儒家類)의 황로문헌으로, 노자학(老子學)에서 발원하여 유가(儒家)를 위주로 제가철학(諸家哲學)의 요체를 수용한 문헌이다. 본 논문은, "문자"는 이론적으로 노자학(老子學)에서 발원하지만 사회정치적 범주에서 유가(儒家)와의 주된 사상적 결합을 시도한 유가유(儒家類) 황로학이 형성되는 초기의 문헌임을 논증한다.

The Wenzi is the material criticized about the relation bamboo-slip literature and current literatures in the academic world. If is true or not, because we don't know the author and the records accurately. In this study, to sublate the researching method of HuangLao philosophy that vogues the boundary between Zajia, on the basis of volumes with bamboo-slip literature and the present literatures shared, I discuss the peculiarity of Wenzi HuangLao philosophy, comparing Dao-theory of Daoist. The Wenzi is HuangLao philosophy of Rujia pattern that doesn't understand as the Dao-Fa school. And its origin is Laozi philosophy. It accepts Zujia philosophy, putting first in importance about Rujia philosophy. In this study, the origin of the Wenzi is Laozi philosophy theoretically, but I discuss that the Wenzi is the early literature forming Rujia pattern HuangLao philosophy. And the Wenzi tries to combine the theory of Rujia in the social political category.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