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한국철학논집)
- Issue 36
- /
- Pages.293-317
- /
- 2013
- /
- 1598-5024(pISSN)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tent of Dao-tong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당송(唐宋) 시기 도통(道統) 내용의 전환 - 당말(唐末)에서 북송(北宋)시기 도의 전승 내용에 관한 담론을 중심으로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 of Dao-tong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his paper examines the transition of Dao-tong in the following three stages. First, Han-yu(韓愈) defined that Ren-Yi(仁義) is the content of Dao-tong. Second, Sun-fu(孫復) and other Confucian scholars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stipulated that a broader meaning of Confucian Dao is the content of Dao-tong. Third, Qi-song(契嵩) and Dao-xue-jia(道學家)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insisted that Zhi-Zhong(執中) should be a content of Dao-tong. This Confucian Orthodoxy is changed into the philosophical theory of human-nature and heart by Dao-xue-jia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본 논문은 당송 시기 도통 내용의 전환 과정에 관한 소고이다. 본 문은 당송 시기 도통 내용의 변천 과정을 다음의 세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한유는 인의(仁義)를 도통의 내용으로 삼았다. 둘째, 손복 등 북송 초 유학자들은 보다 광범위한 의미상의 유가적 도를 도통의 내용으로 규정했다. 셋째, 계숭 및 북송 도학가들은 집중(執中)이 도통의 내용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북송 도학가에 의해 유학의 도통론은 심성론 중심의 철학 논의로 그 성격이 변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