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Predictive Validity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Checklists for Identifying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Korea

예측타당도를 중심으로 한 관찰·추천 영재판별용 행동특성 평정척도의 유용성 탐색

  • Received : 2013.09.10
  • Accepted : 2013.10.15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dictive validity of behaviroal characteristics checklists that are widely used in Korea for identifying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Three most widely used checklists were selected and implemented to classroom teachers who could teach and observe gifted students in regular classes.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tree checklists were explored by generat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ir ratings using those three checklists and the performance levels of gifted students, which were measured by teachers in gifted classes.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all three checklists coul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redict the performance of gifted students in gifted programs, and the checklist B showed the highest predictability. Secondly, without the assistance by those checklists, teachers could not predict the performance level of gifted students. Lastly, teachers that were trained for educating gifted students could very effectively predict the performance of gifted students with the aid of those checklists while teachers without appropriate training could not at all even with the aid of those checklists.

우리나라의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식은 기존의 지필검사 방식에서 현장 교사에 의한 관찰 추천제로 전환되고 있다. 교사들이 영재 판별에 있어 가질 수 있는 편견을 최소화하고, 타당한 판별을 하도록 돕기 위한 도구로서 영재 행동 평정 척도가 널리 사용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평정 도구들을 실제 영재 판별과정에 투입하였을 때 그 결과가 영재 학생의 영재 프로그램에서의 수행 수준을 얼마나 잘 예측하여 주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가 선정한 세 가지 영재 행동 특성 평정 척도는 모두 영재학생들의 영재성 수준을 유의미하게 예측해내었다. 이들 중 B 척도의 예측력이 전반적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둘째, 담임교사들의 주관적인 영재성 평정은 영재학생들의 영재성 수준에 대해 거의 예측해 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담임교사들에게 영재교육 대상자를 추천하도록 할 때에는 담임교사들의 주관적 판단에 맡기기보다는 영재 행동 특성 평정 척도와 같은 객관적 도구를 활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영재교육 관련 교육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영재 행동 특성 평정 척도를 통해 영재학생의 영재성 수준을 매우 훌륭하게 예측해 낸 반면, 해당 경험이 없는 교사들은 같은 척도를 활용하더라도 영재학생의 영재성 수준을 거의 예측해 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아무리 훌륭하게 고안된 척도가 제공되더라도 해당 교사가 영재교육에 관해 적절히 훈련되어 있지 못하면 전혀 타당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관찰 추천에 의한 영재 판별을 수행하기 위해서 일반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훈련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포, 김판수, 유화전 (2003). 초등학교 수학 영재 및 일반 아동의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학교수학, 5(4), 441-457.
  2. 김홍원, 김명숙, 송상헌 (1996).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 류지영 (2010). 관찰․추천을 통한 영재판별에 대한 영재담당교사들의 인식과 태도.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159-178.
  4. 박민정, 전동렬 (2008). 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법으로써 교사 추천제 분석: 학생의 과학적 태도, 탐구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11-119.
  5. 박춘성 (2006). 초등 영재선별을 위한 평정척도의 타당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6. 방미선, 김용권 (2013). 과학 영재 관찰, 추천 선발 방식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및 개선 방안. 초등과학교육, 32(2), 169-184.
  7. 배아완, 황우형 (2010). 수학적 유망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성. 교과교육연구, 3(1), 1-21.
  8. 송상헌 (1998).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9. 송상헌 (2000). 수학 영재아들을 위한 행동특성검사지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2(2), 427-457.
  10. 송인섭, 김누리 (2006). 유아용 영재판별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5(2), 63-78.
  11. 신희영, 고은성, 이경화 (2007). 수학영재교육에서의 관찰평가와 창의력 평가. 대한수학교육학회지, 9(2), 241-257.
  12. 우미란, 김선자, 박종욱 (2012). 관찰․추천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의 교사추천서와 프로그램 수행의 관련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22(1), 173-196. https://doi.org/10.9722/JGTE.2012.22.1.173
  13. 유연정 (2008). 수학영재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학생 평가도구 개발.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4. 윤여홍 (1998). 영재아 판별에서 한국판 영재아 행동특성 체크리스트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8(2), 1-30.
  15. 이동혁 (2010). 한국어판 Gifted rating scale의 구인타당도. 영재교육연구, 20(2), 595-619.
  16. 이미순 (2011a). 수학영재의 수행능력에 대한 교사 및 부모 평정의 예측력. 영재교육연구, 21(4), 829-945.
  17. 이미순 (2011b). 영재교사 및 부모에 의한 과학영재 행동평정의 비교와 과학적 수행 예측력 고찰. 초등교육연구, 24(4), 211-233.
  18. 이인호, 한기순 (2009). 영재 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교사 추천의 효용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19(2), 381-404.
  19. 진현정, 최호성 (2010). 한국어판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K-SRBCSS)의 개발과 타당화. 영재교육연구, 20(2), 621-647.
  20. 최호성, 박후휘, 김일 (2011). 교사 관찰 . 추천제를 활용한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식에 대한부산지역 초등학교 학부모의 인식과 태도. 영재교육연구, 21(2), 407-426.
  21. 황동주 (2006). 수학 영재를 위한 행동 특성 검사도구 개발. 한국학교수학교육논문집, 9(3), 405-424.
  22. Balka, D. S. (1974).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creative ability in mathematic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
  23. Benbow, C. P. (1986). SMPY's model for teaching mathematically precocious students. In J. S. Renzulli (Ed.), Systems an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pp. 1-26).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24. Clark, B. (2008). Growing up gifted. Saddle River, NJ: Merrill.
  25. Coleman, M. R., Gallagher, J. J., & Foster, A. (1994). Updated Report on State Polices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Chapel Hill, NC: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26. Davis, G. A., Rimm, S. B., & Siegle, D. (2011).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6th ed.). Boston, MA: Pearson.
  27. Ford, D. Y. (2003). Desegregating gifted education: Seeking equity for culturally diverse students. In J. H. Borland (Ed.), Rethinking Gifted Education (pp. 143-158). Boston: Allyn & Bacon.
  28. Fox, L. H. (1976). Identification and program planning: Models and methods. In D. P. Keating, Intellectual talent: Research and development (pp. 32-54).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9. Gear, G. H. (1978). Effects of training on teachers' accuracy i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12, 90-97.
  30. Gilliam, J., Carpenter, B., & Christensen, J. (1996). Gifted and talented evaluation scales. Austin, TX: PRO-ED.
  31. Hadaway, N., & Marek-Schroer, M. F. (1992).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the gifted minority student. Roeper Review, 15(2), 73-77. https://doi.org/10.1080/02783199209553467
  32. Hanninen, G. E. (1988). A study of teacher training in gifted education. Roeper Review, 10(3), 139-144. https://doi.org/10.1080/02783198809553109
  33. Haylock, D. W. (1984). Aspects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 children aged 11-12. Doctoral dissertation, Chelsea College, University of London.
  34. Jarosewich, T., Pfeiffer, S. I., & Morris, J. (2002). Identifying gifted students using teacher rating scales: A review of existing instruments.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20(4), 322-336. https://doi.org/10.1177/073428290202000401
  35. Martinson, R. A. (1974). The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An instructional syllabus for the National Summer Leadership Training Institute on the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he talented. Ventura, CA: Office of the Ventura County Superintendent of Schools.
  36. Pegnato, C. V., & Birch, J. W. (1959). Locating gifted children in junior high schools: A comparison of methods. Exceptional Children, 25, 300-304. https://doi.org/10.1177/001440295902500702
  37. Peters, S. J., & Gentry, M. (2010). Multigroup construct validity evidence of the HOPE scale: Instrumentation to identify low-income elementary students for gifted programs. Gifted Child Quarterly, 54(4), 298-313. https://doi.org/10.1177/0016986210378332
  38. Pfeiffer, S., & Jarosewich, T. (2003). Gifted rating scales. San Antonio, TX: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39. Renzulli, J. S., Smith, L. H., White, A. J., Callahan, C. M., & Hartman, R. K. (Ed.). (1976).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Inc.
  40. Renzulli, J. S., Smith, L. H., White, A. J., Callahan, C. M., Hartman, R. K., & Westberg, K. L. (2002).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Technical and administration manual. Austin, TX: Creative Learning Pres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461245).
  41. Shore, B. M. (1991). Recommended practices in gifted education: A critical analysi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42. Shore, B. M., Cornell, D. G., Robinson, A., & Ward, V. S. (1991). Recommended practices in gifted education: A critical analysis.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43. Shore, B. M., & Tsiamis, A. (1986). Identification by provision: Limited field test of a radical alternative for identifying gifted students. Identifying and Nurturing the Gifted. In K. A. Heller & J. F. Feldhusen (Eds.), Identifying and nurturing the gifted: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pp. 93-102). Bern, Switzerland: Hans Huber.
  44. Taylor, R. L., & Sternberg, L. (1989). Exceptional children: Integrating research and teaching. New York: Springer-Verlag.
  45. Trost, G. (2000). Prediction of excellence in school, higher education and work. In K. A. Heller, F. J. Monks, R. J. Sternberg & R. F. Subotnik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2nd ed.) (pp. 317-327). New York: Elsevier Science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