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가속도계를 이용한 양손 움직임 비교분석: 예비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Bilateral Hand Movement Using Accelerometer : A Pilot Study

  • Lee, Joo-Hy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 Yang, No-Yul (With R&A Research Institute)
  • 투고 : 2013.12.05
  • 심사 : 2013.12.30
  • 발행 : 2013.12.30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일상생활활동 과제 수행 시 양손 움직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방법 : 원주 Y 대학교에 재학 중인 정상 성인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상생활활동 과제는 Jebsen Hand Function Test 7개 하위항목으로 하였으며, 비우세손목과 우세손목에 가속도계를 교대로 착용한 후 수행하였다. 결과 : Jebsen Hand Function Test 7개의 항목별로 우세손과 비우세손의 움직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글씨쓰기 항목에서만 유의한 결과(t=-2.394, p<.05)가 나왔으며, 비 우세손목(M=2476.2, SD=802.2)이 우세손목(M=1456.2, SD=667.6)보다 움직임이 더 많았다. 나머지 항목은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우세손과 비우세손의 움직임 차이가 있는 활동에서는 가속도계가 측정도구로서의 의미가 있었으나 임상에서의 활용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는 앞으로 적용 대상자 수를 늘리고 일반적 특성, 다양한 대상군을 고려한 가속도계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disparity between bilateral hand movement when performing activity of daily living using accelerometer.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6 healthy adults. The assessment tool used Jebsen Hand Function Test and accelerometer. The subjects performed 7 sub-tests after wearing accelerometer around wrist. Results : Among sub-tests, writing was the on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ifference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hand(t=-2.394, p<.05). Further, non-dominant hand (M=2476.2, SD=802.2) showed more movement than dominant hand(M=1456.2, SD=667.6). Conclusion : This results indicated that accelerometer is useful tool for assessment of bilateral hand movement. Consider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various subject group, further study is need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