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대한내과학회. 해리슨 내과학 Vol2. 15판. 서울: 도서출판 MIP; 2003, p. 2178.
- 통계청. 2011년 사망원인통계. 2012, p. 6.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ivision of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2). Division of Health Policy, Bureau of health Polic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56.
- 진료지침위원회. 당뇨병 진료지침 2011. 서울 : 대한당뇨병학회; 2011, p. 52-74.
- Zhang B, Moller D. New approaches in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 Curr opin Chem Biol 2000;4:461. https://doi.org/10.1016/S1367-5931(00)00103-4
- Kim SW. Reviews : Triple Combination Therapy Using Metformin, Thiazolidinedione, and a GLP-1 Analog or DPP-IV Inhibitor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Diabetes J 2010;34(6):331-7. https://doi.org/10.4093/kdj.2010.34.6.331
- 최유경. 국내 천연물 항 당뇨 실험연구의 체계적 논문 고찰 - 2000년-2010년.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1;25(3):389-97.
- 정한성, 유정석, 송범용. 당뇨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대한약침학회지 2008;11(4) :65-77.
- 김진미, 윤성식, 안소현, 최정식, 조충식, 손창규 등.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의 개괄과 한의학적 연구의 필요성. 大韓韓醫學會誌 2009;30(5):127-36.
- 김진미, 손창규, 조충식, 김철중.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에 대한 RCT 분석 연구. 大韓韓醫學會誌 2010;31(4):164-70.
- 김진미, 정호영, 박상우, 윤성식, 조충식, 김철중.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에 대한 천연제제의 효과 연구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1;25(6):1056-60.
- 김영일, 권동렬. "消癉"과 "消渴"에 대한 인식 변천考.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9;22(3):203-9.
- 조선영, 유원준, 강연석. 消渴病 機轉에 관한 이론의 변천. 韓國醫史學會誌 2008;21(2):95-113.
- 김경신, 김병수. 臟腑와 三陰三陽으로 살펴본 消渴 病機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2;26(3) :265-72.
- 박성하. 최근 당뇨병에 있어서 중의의 변증변화에 관한 연구 - 2003-2010년 발표된 중의논문을 중심으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1;25(2) :176-84.
- 이영섭, 송일곤, 이귀인, 김흔수, 김영필, 이상진 등. 金匱要略.奔豚氣病脈證幷治第八.消渴小便利淋病脈證幷治第十三에 對한 硏究. 한국전통의학지 2009;17(1):95-138.
- 장석창. 消渴의 유발요인에 대한 形象醫學的 考察. 大韓形象醫學會誌 2010;11(1):93-135.
- 장우석. 中風의 위험요인으로서의 消渴에 대한 뇌졸중 및 대사 증후군을 통한 접근. 東西醫學 2012;37(2):1-4.
- 이경림, 김명주. 비단과 당내량 손상(IGT).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1;24(6):131-3.
- 송지청, 김상운, 채송아, 엄동명. 食療纂要에 나타난 消渴의 食治에 對한 小考. 大韓韓醫學 原典學會誌 2012;25(3):39-49.
- 김완겸, 김혜자, 정명수, 조화은, 최윤희, 이기남. 게르마늄 강화 송이균사체와 효모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쥐의 혈당 및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9;13(2):89-102.
- 황선미, 이윤정, 김은주, 김혜윰, 리향, 최용준, 등.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당뇨병성 죽상경화 마우스 모델에서 밀몽화의 효능 연구. 大韓本草學會誌 2009;24(4):55-62.
- 권오준, 이승욱, 백선호, 한수련, 안영민, 안세영 등. 길경 투여가 고지방, 고탄수화물 식이로 유발된 비만형 제2형 당뇨병 동물모델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醫學會誌 2013;34(1):1-14.
- 김영석, 이병철, 안세영, 두호경, 안영민. 단삼이 당뇨병성 신병증 Rat의 신기능 및 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 29(3):787-99.
- 김경진, 김경준. 당뇨흰쥐의 콜라겐 감소 및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MMP-1 증가에 대한 牧丹皮의 항피부노화 효과. 韓方眼耳卑咽喉皮膚 科學會誌 2008;21(1):1-15.
- 김기철, 김혜자, 조화은, 최윤희, 이기남, 정명수. 동충하초 균사체를 이용한 법제 유황이 STZ 유발 당뇨쥐의 혈당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1):144-9.
- 이경진, 함인혜, 부영민, 김호철, 최호영. 連錢草 추출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시킨 흰쥐의 당뇨에 미치는 영향. 大韓本草學會誌 2008;23(3) :175-80.
- 용시은, 박필상, 임지민, 권혁진, 최지호, 최윤희 등. 醱酵 川芎의 항산화 및 항당뇨 活性에 관한 硏究. 大韓本草學會誌 2011;26(4):109-13.
- 함성호, 임병락, 유가화, 가선오, 박병현. 발효에 의한 오가피의 항당뇨 활성 촉진.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2):340-5.
- 한윤경, 박용기. 백출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흰쥐에서 췌장 및 신장에 미치는 영향. 大韓 本草學會誌 2011;26(4):23-30.
- 김응래, 김창식, 이희영, 이혜림, 김응렬, 윤미정 등. 山養山蔘 열수추출물이 db/db 마우스 당뇨 모델에서 혈중 지질대사와 혈당에 미치는 영향. 大韓本草學會誌 2012;27(2):69-75.
- 함인혜, 정은식, 이병희, 최호영. 桑枝가 흰쥐의 혈압 및 Streptozotocin유발 당뇨에 미치는 영향. 大韓本草學會誌 2008;23(2):203-12.
- 이선희, 임성원, 이영미, 강천식, 정연근, 박철수 등. 소맥엽의 섭취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흰쥐에서 혈중 포도당 및 지질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0;24(6):1012-8.
- 백선호, 한수련, 권오준, 안영민, 안세영, 이병철. 神麯투여가 비만형 제 2형 당뇨병 동물모델의 대사인자와 지방조직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醫學會誌 2012;33(3):33-45.
- 오찬호, 신남식, 권진, 이광규, 이상룡, 이창현. 浦公英 물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에 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2;26(5):707-13.
- 김혜자, 서명효, 이은경, 조화은, 최윤희, 이기남 등. 홍삼발효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쥐의 혈당강하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5):1087-94.
- 한현정, 김혜자, 정명수, 조화은, 최윤희, 이기남. 홍삼의 법제유황 처리가 당뇨쥐의 혈중지질 및 대사지표물질에 미치는 영향. 大韓本草學會誌 2009;24(1):89-98.
- 노성수, 최학주, 김동희, 서영배. NOD 당뇨병 생쥐에 미치는 맥문동의 항염증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4):766-70.
- 함경완, 김은경, 송미영, 권강범, 송제호, 서은아 등. Streptozotocin 유도 당뇨병에 대한 威靈仙 추출물의 방어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 22(3):580-4.
- 김성삼, 임규상, 김혜자, 정명수, 조화은, 최윤희 등. 송이버섯과 동충하초 균사체 혼합배양 추출물의 투여가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당뇨쥐의 혈당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2):365-70.
- 김형우, 하태훈, 조명래, 조수인. 당뇨한약복합 처방(Herbal Remedy for Diabetes Mellitus-01, HRDM-01)이 당뇨병성 흰쥐의 간 및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大韓本草學會誌 2010;25(3) :117-21.
- 최우석, 윤경민, 이연경, 강석봉. 大補陰丸이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白鼠의 당뇨병 및 당뇨병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30(4):858-79.
- 한수련, 백선호, 권오준, 안영민, 이병철, 안세영. 산수유 산약 지각 상엽으로 구성된 복합처방투여가 고지방, 고탄수화물 식이로 유발된 비만형 당뇨병 동물모델의 대사인자 및 지방세포 염증반응 조절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醫學會誌 2012;33(3):184-99.
- 김형철, 한효상, 이영종. 蔘歸茸湯이 정상 흰쥐 및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병 흰쥐의 혈당에 대한 영향. 大韓本草學會誌 2009;24(4) :25-30.
- 정진기, 박용기. 소당환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흰쥐의 당뇨에 미치는 영향. 大韓本草學會誌 2009;24(1):159-67.
- 최정식, 장선규, 조충식, 김철중, 한동운. 消平湯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쥐의 혈당 및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29(1):90-103.
- 박은영, 안세영, 안영민, 엄재영, 장형진, 이병철. 수풍순기환 분할처방 투여가 고지방, 고탄수화물 식이로 유발된 비만형 제 2형 당뇨병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1; 32(3):387-96.
- 박종설, 이병철, 두호경, 안영민, 안세영. 수풍순 기환 투여가 고지방, 고탄수화물 식이로 유발된 비만형 제 2형 당뇨병 동물모델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30(2):257-69.
- 송상열, 안세영, 안영민, 엄재영, 장형진, 이병철. 搜風順氣丸加減方 투여가 비만형 제 2형 당뇨병 동물모델의 당대사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醫學會誌 2011;32(5):1-11.
- 김의종, 김연섭. 凉膈散火湯이 당뇨흰쥐의 전뇌 허혈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 22(2):321-7.
- 배효상, 박성식, 정진기, 윤철호, 변상혁, 박용기. 忍冬藤地骨皮湯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흰쥐에서의 항당뇨 효과에 대한 연구. 大韓本草學會誌 2008;23(4):103-12.
- 이은방, 조명래, 김재홍, 류충열. 한약복합처방의 경구투여가 Streptozotocin에 의해 유발된 당뇨병 백서의 혈당과 항산화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8;25(1):57-72.
- 최병현, 윤경민, 강석봉. 황금탕이 Streptozotocin 으로 유발된 당뇨병 백서의 혈당 및 당뇨병합 병증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1; 25(4):683-90.
- 정명수, 김혜자, 조화은, 최윤희, 이기남.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쥐의 혈당 및 혈청 지질에 미치는 한방추출물의 효과와 최적 농도에 관한 연구. 大韓韓醫學會誌 2008;29(1):85-94.
-
배효상, 남정수, 정진기, 오승열, 박용기. Streptozotocin 으로 유도한 당뇨병 쥐에서
$WHW(r)$ 의 항당뇨 효과에 대한 연구. 大韓本草學會誌 2008;23(3) :85-91. - 심기철, 김은정, 정현우, 김기도, 김경윤, 김계엽. 선행된 천마식이가 당뇨유발백서의 항산화효과 및 병태생리학적 인자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6):1537-43.
- 배한호, 송시원, 남태흥, 조충식. 당뇨환자용 식사대용식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쥐의 혈당 및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大韓 本草學會誌 2008;23(1):63-74.
- 서창완, 이상훈, 박동석, 강성길. 桂枝藥鍼이 Streptozotocin 유도 당뇨 흰쥐의 췌장세포 손상에 미치는 보호 효과. 大韓鍼灸學會誌 2009; 26(6):1-9.
- 김종덕, 김종인, 고형균, 이윤호, 강성길. 홍삼藥 鍼이 제2형 당뇨병 동물모델의 抗高血糖 및 抗高脂質 機轉에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2008;25(2):11-26.
-
서창완, 서병관, 김종인, 강성길. Streptozotocin 유도 당뇨 흰쥐에서 복령약침의
$\beta$ -cell 손상 방지 효과. 大韓鍼灸學會誌 2009;26(5):39-47. - 정한성, 송범용, 이창현, 육태한. 육계.부자의 약침과 경구투여가 2형 당뇨 모델 생쥐의 혈당 강하에 미치는 영향. 大韓鍼灸學會誌 2010;27(5) :1-12.
- 기영범, 김대훈, 강대희, 김선종, 최진봉. 육미지황탕과 녹용약침이 당뇨유발 흰쥐의 골절치유에 미치는 영향. 韓方再活醫學科學會誌 2012; 22(3):49-63.
- 최선욱, 김동훈, 최승범, 박근희, 김용성. 단삼투여가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형 당뇨병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2; 33(4):429-37.
- 김경신, 김병수. 면역억제제에 의한 당뇨 관련 유전자의 DNA microarray 분석. 大田大學敎 韓醫學硏究所 論文集 2012;21(1):11-22.
- 윤인애, 김지나, 이지수, 문성일, 김진이, 정시영. 가속도맥파로 평가한 당뇨군과 정상군의 신정격 자침으로 인한 혈관변화. 大韓鍼灸學會誌 2011; 28(1):101-8.
- 오달석, 최준용, 정소영, 신미숙, 김애란, 강경원 등. 위장 비율동성 당뇨환자에서 足三里(ST36) 전침처치의 위전도 조절 영향 사례군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8;25(4):95-103.
- 조석인, 손미원, 홍권의. 산약 추출물이 당뇨병 전단계 피험자의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醫學會誌 2010;31(5):146-66.
- 이상준, 유준상, 고상백, 박종구. 사상체질에서 A형 행동유형과 당뇨병에 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9;21(1):197-216.
- 이준오, 김세진, 이선동. 성별, 연령별, 월소득차이에 따른 질병발생의 위험성 차이연구 - 암, 고혈압, 중풍, 당뇨병, 관절염, 심장병을 중심으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8;12(1):19-48.
- 문수정, 백승민, 박정환, 이상훈, 서현주, 김슬기 등. 지역사회 기반 당뇨병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 실태조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2;33(3) :317-26.
- 하유군, 박종형, 전찬용, 고성규, 최유경. 당뇨병 에서 TCF7L2와 FTO 유전자의 특정 단일염기 다형성과의 연관성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0;24(3):504-11.
- 김진미, 조충식, 김철중. 감각이상을 주소로 내원한 당뇨병 환자 8례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0;31(2):372-9.
- 이원행, 이태희. 古方을 통한 당뇨병 치료 1례. 暻園韓醫學硏究所論文集 2011;15(1):1-8.
- 윤철, 윤채성, 이동효, 성은진, 김환영, 황충연. 당뇨 합병증의 과거력이 있는 동안신경마비 환자1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2009;17(2):233-8.
- 김병우. 당뇨를 동반한 뇌경색 환자의 천화산가 미방 치험 1례. 대한약침학회지 2009;12(3):97-102.
- 나란희, 이정욱, 한덕진, 방창호, 장석오, 최지혜, 등. 당뇨병과 간성뇌증이 동반된 간경변증 1례.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4):919-24.
- 김미경, 김보람, 김용형, 최동준, 한창호, 정승현, 등. 당뇨병성 방광병증으로 진단된 배뇨장애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29(4):1123-9.
- 한효정, 김현진, 박은영, 장정아, 안태한, 서호석, 등. 제 2형 당뇨병을 동반한 고도 비만환자에 대한 한방 비만치료 증례보고 2례. 한방비만학회지 2010;10(1):57-63.
- Shin AS, Gwak JY, Cho SY, Lee IW, Kim HM, Kim NH, et al. A Clinical Report on a Patient with Type 2 Diabetes. The Korean J of Joongpoong 2009;10(1):68-73.
- 이은방, 나건호, 류충열, 조명래. 당뇨병의 연구 경향에 대한 고찰 -한의 학술 논문 검색을 중심으로-. 대한한의학회지 2004;25(3):169-79.
- 이연경, 최규호, 신현철, 강석봉. 당뇨병 및 소갈의 최신 연구 동향 -2003년에서 2007년까지 한의학술논문을 중심으로-.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7;15(2):21-33.
- Song HC, Kim SH. Effect of Kangdangboeumbang on the Anti-diabetic Activity in NOD Mice. Korean J Orei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4;18(6):1628-34.
- Gong TH, Jeong JC. Effects of Ojung-hwan on Blood Glucose, Hyperlipidemia, Polyol Pathway and Antioxidative Mechanism in ob/ob Mouse. J Korean Oreintal Med 2007;28(3):57-69.
- Chang MS, Jin Hs, Jung KJ, Park SM, Choi SB, Ko BS, et al. Antidiabetic Effects of Herbal Medicine on db/db Mice. Korean J Orei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4;18(1):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