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수만 방조제 건설 후 남당 천해 어류 종조성의 중장기 변화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Shallow Water Fish at the Namdang Beach after Dike Construction in Cheonsu Bay

  • 권순열 (충남대학교 해양환경학과) ;
  • 이정훈 (충남대학교 해양환경학과) ;
  • 홍지민 (충남대학교 해양환경학과) ;
  • 황학빈 (충남대학교 해양환경학과) ;
  • 이태원 (충남대학교 해양환경학과)
  • Kwon, Soon Yeol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Jeong Hoon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Hong, Ji Min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Hwang, Hak Bin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Tae Won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3.04.17
  • 심사 : 2013.06.12
  • 발행 : 2013.06.30

초록

남당리 조간대 천해에서 2010년 4월부터 2011년 3월까지 지인망으로 천해 어류를 채집하여 월별 종조성변화를 분석하였다. 방조제 건설 직후인 1985~86년과 1993년에 같은 방법으로 조사된 자료와 비교하여 중장기 어류 종조성 변화와 그 요인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25종, 2,194마리, 16,762 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가 개체수의 68.5%를 차지하여 우점하였다. 수온이 낮은 11월에서 4월 사이에는 소수 개체만이 채집되었고 7월에 9월 사이에는 주거종뿐 아니라 부어류와 반 저어류의 유어들이 증가하여 채집량이 많았다. 1985~86년에서 1993년 사이에는 세립퇴적물을 선호하는 얼룩망둑이 증가하였지만 채집량과 서식처별 어종조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010~11년에는 이전 두 시기에 비해 출현종수와 채집량이 감소하였으며, 종조성도 부어류와 저서어류는 감소하였고 반저어류 중 가숭어는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방조제 건설 이후 해수 순환 약화로 세립퇴적물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우기에 부영양화된 담수가 유입되어 점진적으로 수질이 나빠지면서 천수만이 어류 보육장으로의 기능이 약화되고 대부분 저서어류가 살기에 부적합한 환경으로 변한 것으로 추정된다. 가숭어는 수질저하에 잘 적응하는 기수성 어류로 근래에 만내부에 가두리 양식이 시작되며 가두리를 벗어난 치어들이 많아져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Monthly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shallow water fish in Cheonsu Bay were determined using samples collected by a beach seine in the shallow water at Namdang beach from April 2010 to March 2011. The species composition were compared to the data obtained in 1885~86 and in 1993, and factors affecting the long-term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were analyzed. Fish collected during the study were 25 species, 2,194 individuals and 16,762 g. Chelon haematocheilus were predominated in abundance, accounting 68.5%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A few number of fish were collected during the cold months from November to April. Abundance was high from July to September by a large catch of juveniles of pelagic fish. Species composition in 1993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at in 1985~86 although Fabonigobius gymnauchen living in the fine sediments were increased in abundance. Abundance increase of this gobiid fish wa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sedimentation of fine particles due to weakened water circulation after dike construction. The number of species and catch amount in 2010~1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ing to those of the former periods; especially in pelagic fish and benthic fish, but C. haematocheilus were greatly increased in abundance. C. haematocheilus is an estuarine fish being able to survive in relatively poor quality of water. This increase seems to be related to fish larvae from the culture net cages recently installed in the inner bay. Recent decrease in abundance of shallow water fish suggested that water quality has been gradually getting poor and recently attained over a critical level for the nursery function of fish.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수산진흥원. 1985. 연근해 주요어종의 생태와 어장. 수산기술지, 14: 219pp.
  2.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 류대도감. 교학사, 615pp.
  3. 박동원. 1976. 원격탐사에 의한 서해안 천수만 간척지 지형 연구. 과학기술처 R76-72, 83pp.
  4. 송해성. 1988. 서해 연안성 민태 (Johnius belengeri)와 보구치 (Argyrosomus argentatus)의 성장, 연령 및 생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7pp.
  5. 신민철.이태원. 1990. 대천해빈 어류군집의 계절변화. 한국해양학회지, 25: 135-144.
  6. 심재형.고철환.김상종.이태원.박용철. 1988. 황해 내만역의 해양생태계 분석. 한국과학재단연구보고서, 246pp.
  7. 심재형.여환구. 1988. 천수만 식물플랑크톤의 공간적 시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23: 130-145.
  8. 아세아항업주식회사. 1979, 서산 A.B지구간척지 개발 조사 보고서. 현대종합개발주식회사, 110pp.
  9. 유성규. 1962. 충청남도 연안(어청도, 천수만, 군산지역)에 있어서 microplankton의 양 및 조성에 관한 연구. 중앙수지간사지 기본 조사보고, 2: 57-72.
  10. 이태원. 1989. 천수만 저서성 어류군집의 계절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22: 1-8.
  11. 이태원. 1996.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1. 저어류. 한국수산학회지, 29: 71-83.
  12. 이태원. 1998.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3. 부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1: 654-664.
  13. 이태원. 2001. 대천해빈 쇄파대 어류 종조성의 단기변화. 한국어류학회지, 13: 32-39.
  14. 이태원.문형태.최신석. 1997.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2. 대천 해빈 쇄파대 어류. 한국어류학회지, 9: 79-90.
  15. 이태원.송해성. 1993. 민태(Johnius belengeri)의 분포, 체장 및 연령조성. 한국어류학회지, 5: 184-193
  16. 이태원.황선완.박승윤.조영록.정희정. 1995. 천수만 천해어류 군집구조의 변화. 국립수산과학원 연구보고, 49: 219-231
  17. 임양재.이태원. 1990. 천수만 망둑어과(Family Gobiidae) 어류의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와 우점종의 생태. 한국어류학회지, 2: 182-202.
  18.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727pp.
  19. 충남대학교 해양연구소. 1996. 천수만의 해양환경. 해양연구소 심포지움 논문집, 67pp.
  20. 충청남도. 1998. 천수만지역 어장환경 조사. BSPG 96256-00-1063- 3, 900pp.
  21. 충청남도. 2011. 천수만해역 환경조사 및 어장 이용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534pp.
  22. 한국과학재단. 1988. 황해 내만역의 해양 생태계 분석. 한국과학재단 연구 최종보고서, 246pp.
  23. 한국전력공사. 1985. 보령 삼천포 T/P 냉각수가 연안양식 수산물에 미치는 영향조사(II). 한국전력보고서, KRC-84C-J01, 443pp.
  24. 한국해양연구소. 1978. 고정리 화력발전소 건설지점 부근해역에 대한 해양생태학적 기초조사 연구. BSPI 00014-14-3, 138pp.
  25. 한국해양연구원. 2006. 천수만 새조개 어장의 어장환경 및 어업 수익성 감정. BSPG 40000-1806-3, 185pp.
  26. 황선도. 1989. 이석의 미세 구조를 이용한 흰베도라치(Enedrias fangi)의 초기 생활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1pp.
  27. Aubry, A. and M. Elliott. 2006. The use of environmental integrative indicators to assess seabed disturbance in estuaries and coasts: Application to the Humber Estuary, UK. Mar. Poll. Bull., 53: 175-185.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05.09.021
  28. Elliott, M., A.K. Whitfield, I.C. Potter, S.J.M. Blaber, D.P. Cyrus, F.G. Nordlie and T.D. Harrison. 2007. The guild approach to categorizing estuarine fish assemblages: a global review. Fish Fish., 8: 241-268. https://doi.org/10.1111/j.1467-2679.2007.00253.x
  29. Gil, J.W. and T.W. Lee. 1986. Reproductive ecology of the scaled sardine, Sardinella zunasi (Family Clupeidae), in Cheonsu Bay of the Yellow Sea, Korea. In: Indo-Pacific Fish Biology: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o- Pacific Fishes. 1986. Ichthyological Society of Japan, 18, pp. 161-168.
  30. Hwang, S.W., K.H. Choi, H.B. Hwang and T.W. Lee. 2013. Migration history and habitat use by Javelin goby Synechogobius hasta as inferred from otolith Sr : Ca ratios. J. Coastal Res. (in press).
  31. Hwang, S.W., T.W. Lee, H.B. Hwang and S.D. Hwang. 2011. Temporal occurrence patterns and habitat use of fish in the Mangyeong Estuary on the western coast of Korea in 2003, before dike enclosure. Ocean Sci. J., 46: 307-314. https://doi.org/10.1007/s12601-011-0024-9
  32. Jacard, P. 1908. Nouvelles recherches sur la distribution florale. Bull. Soc. Vaudoise Sci. Nat., 44: 223-270.
  33. Lee, T.W. 1983. Age composition and reproductive period of the shad, Konosirus punctatus, in Cheonsu Bay. J. Oceanol. Soc. Korea, 18: 161-168.
  34. Lee, T.W. and J.S. Byun. 1996. Microstructural growth in otoliths of conger eel (Conger myruaster) leptocephali during the metamorphic stage. Mar. Biol., 125: 259-268. https://doi.org/10.1007/BF00346306
  35. Lee, T.W. and K.J. Seok. 1984. Seasonal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Cheonsu Bay using trap net catches. J. Oceanol. Soc. Korea, 19: 217-227.
  36. Masuda, H., K. Amaoka, C. Arago, T. Ueno and T. Yoshino (eds). 1984.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Text and Plates: 437pp+370 plates.
  37. Nakabo, T. (ed). 2002.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English edition.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1749pp.
  38.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Illinois Univ. Press, 117pp.
  39. Whitfield, A.K., M. Elliott, A. Basset, S.J.M. Blaber and R.J. West. 2012. Paradigms in estuarine ecology-A review of the Remane diagram with a suggested revised model for estuaries. Estuar. Coast. Shelf Sci., 97: 78-90. https://doi.org/10.1016/j.ecss.2011.1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