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아파트 단지 조경사업에서 발생하는 민원 특성 분석 - 민원의 공공성과 조치용이성 분석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vil Complaints Occurred to the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 in Apartment Complex

  • 조세환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 조경학과) ;
  • 이명훈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 조현길 (강원대학교 조경학과) ;
  • 김인호 (신구대학교 환경조경과) ;
  • 안승홍 (한경대학교 조경학과) ;
  • 오정학 (경기도시공사)
  • Cho, Se-Hwan (Dept. of Urban Design and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Hanyang University) ;
  • Lee, Myeong-Hun (Dept. of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Hanyang University) ;
  • Jo, Hyun-Ki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In-Ho (Dept. of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Shingu College) ;
  • An, Seung-H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Oh, Jeong-Hak (Gyeonggi Urban Innovation Corporation)
  • 투고 : 2013.08.12
  • 심사 : 2013.10.28
  • 발행 : 2013.10.31

초록

본 연구는 아파트단지 조경사업에 의해 발생한 민원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조경사업 과정에서 민원 발생의 원인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아파트단지 조경사업의 민원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LH공사, SH공사, 경기도시공사의 2009년부터 2012년까지의 민원 사례를 대상으로 전체 672건의 조경민원을 공통언어 추출방법을 통해 73개로 범주화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구축된 자료를 중요도-성취도 분석기법(IPA)을 사용하여 공공성(공공적-개인적)-조치용이(어려움-쉬움)의 유형별 특성과 입주민과 조경가의 민원 인식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주화된 73건의 민원은 공원, 녹지 및 가로수, 보행로, 시설물, 기타 등 5개 항목으로 재범주화 될 수 있었다. 둘째, 조경 민원이 가장 많이 제기되는 것이 녹지 및 가로수였으며, 다음으로 시설물, 보행로, 공원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항목별로 공공성과 조치용이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설물', '가로 및 녹지'와 '보행로', 등은 입주민과 전문가의 민원 인식이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나 공원에 대한 민원은 입주민과 전문가의 인식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73개 민원 중 35개(47.9%)는 공공성이 높고 동시에 조치가 용이한 반면, 25개(34.2%) 민원은 개인적이고 동시에 조치가 어려운 사항으로 분석되어 이들 민원사항에 대해서는 설계단계에서부터 미리 점검을 하여 민원으로 인한 사업비의 추가 부담과 입주민들의 신뢰 저하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complaints caused by the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s in the case of apartment complex. Furthermore, its purpose was also to propose as the basis data for the minimization of complaints in the course of future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s. To analyze and categorize the apartment complex civil complaints, we collected basic and case study data from LH Corporation, SH Corporation and GICO from 2009 to 2012. We also categorized 672 landscape complaints to 73 categories and conducted a survey from residents and landscape architecture. This Survey is to use IPA can collect character(public-private), handling of civil affair(easy-hard) and analyze typical characters and difference of civil complaint awareness between landscape architecture and residents. First, we were categorized 73 civil complaints by type in 5 categories such as park, green space and street trees, pedestrian road, facilities, and others. Second, the most common landscape complaints appear in green spaces, street trees, facilities, pedestrian roads and park orders. Third, results of the analysis conducted for each item which are publicity and measures the ease. 'Facilities', 'landscape and greenery', 'pedestrian road' and others were commonly appears from residents and professional awareness of the complaints. However, complaints of park appear different awareness between landscape architecture and residents. Fourth, 35 from 73 civil complaints(47.9%) are having high publicity and easy to measure, 25 civil complaints(34.2%) has analyzed to individual and difficult to measure so about the these complaints need to check from the design step so that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problem of additional expense by civil complaints burden and decrease the confidence of residence problem were consider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미경, 김영희(2004) 행정서비스 품질향상을 위한 행정서비스헌장제 운영방향.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지 14(3): 323-345.
  2. 대한주택공사 (1997), 건설클레임의 이해와 대처요령, 대한주택공사 건설본부 현장기술지원자료집. pp. 4-5.
  3. 박기관, 정재환(2012) 민원행정서비스의 시민만족도 결정요인 분석과 함의. 한국정책연구 12(4): 195-215.
  4. 박기창(2003) 공동주택 개발사업의 리스크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춘수(2007) 조경공사의 소모적 설계변경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성도경, 장철영(2005) 행정서비스의 고객지향성 평가. 한국행정학회지 39(2): 207-233.
  7. 신재욱(2002) 건축 진정민원의 사례분석을 통한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오문순(2010) 교육관련 민원의 실태와 추이 분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우승숙(2011), 공동주택관리에서의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형근(2010) 공동주택 입주예정자 클레임의 유형분석을 통한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정준금(1999) 환경민원의 발생요인과 해소방안. 울산대학교 사회과학논집 9(2): 211-239.
  12. 최경옥(2007) 아파트 단지 외부공간의 구성변화에 관한 연구, 국립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한국조경학회(2008) 조경공사표준시방서. 서울: 문운당.
  14. 한국토지주택공사(2012) 조경설계지침서. 한국토지주택공사 기술지원처.
  15. 홍형근(2003) 소비자 중심의 맞춤형 주택 요구분석 및 업체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http://www.kosis.kr/

피인용 문헌

  1. Current Status of Tree Disease and Insect Pest Control and the Understanding for Tree Health Care System in the Apartment Complexes vol.22, pp.1, 2018, https://doi.org/10.7585/kjps.2018.22.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