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Urban Open Space Selection Attributes as an Urban Entertainment Destination

도시 엔터테인먼트 목적지(UED)로서 도시 오픈 스페이스의 선택속성 연구

  • Chae, Jin-Hae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Landscape Architecture Major, Graduates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Yong-Gook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Landscape Architecture Major, Graduates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Hyun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Landscape Architecture Major, Graduates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on, Yong-Hoon (Dept. of Environment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s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Zoh, Kyung-Jin (Dept. of Environment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s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채진해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 김용국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 김영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 손용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 조경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Received : 2013.08.14
  • Accepted : 2013.08.27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is paper asks what the Selection Attributes of urban open space are which carries out a role as an Urban Entertainment Destination. Case studies have chosen the Cheonggyecheon Waterfront, Seoul Forest Park, Seonyudo Park and Banpo Hangang Park as the representative open spaces in Seoul. The methods of study are observation investigation, a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the survey to 233 visitors that conducted the ANOVA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SPSS 18.0. As a result, first, the urban open space in Seoul has had 8 elements of UED; Landscape, Multi anchoring, Contextual links, Programmability, Community, Branded identity, Security and Service. Second, they are being used not the neighborhood type but a wide area type. Third, Landscape, Security and Service are most important while Programmability and Community are less important than other factors in EUOS factors. Lastly, it was analysed that the influential factor of revisitation and satisfaction is Landscape, which is the common factor. Security in revisitation and Contextual links in satisfaction are especially additional factors. The landscape property is an important element to make an Entertainment Urban Open Space(EUOS). The virtue of landscape in the EUOS relates not only park facility or program that installed in the place but also the overall mood involving park user's activities in the place. To be a successful EUOS, a park facility, program and the overall mood involving user's activities need to be integrative approach to enhance the virtue of landscape.

도시 오픈 스페이스의 기능과 역할이 다양해지면서 도시 오픈 스페이스는 도시 엔터테인먼트 목적지(Urban Entertainment Destination, UED)로서 기능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엔터테인먼트형 도시 오픈 스페이스(EUOS)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UED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EUOS 요소를 구분하고, 이를 국내 도시 오픈 스페이스에 적용시켜 분석하였다. 또한 이용객 설문조사를 통해 이용자가 EUOS로서 대상지를 선택하는 선택속성을 도출하였다. 대상지는 청계천, 서울숲공원, 선유도공원, 반포한강공원으로 하였고, 조사방법으로는 관찰조사, 문헌조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ANOVA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도시 오픈 스페이스는 EUOS 관점에서 볼 때 8가지 요소를 갖추고 있었다. 8가지 요소는 경관성(Landscape), 핵심시설의 다양성(Multi anchoring), 주변지역 연계성(Contextual links), 프로그램 다양성(Programmability), 커뮤니티성(Community) 브랜드 정체성(Branded identity), 안전성(Security), 이용 편의성(Service)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국내 도시 오픈 스페이스를 이용하는 이용객의 이동거리, 이용시간, 이동수단 등의 행태를 분석한 결과, 근린 이용보다는 광역적 이용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도시 오픈 스페이스를 EUOS로서 이용하는 이용객들은 경관성(Landscape)과 안전성(Security), 이용 편의성(Service)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반면에 핵심시설의 다양성(Multi anchoring), 프로그램 다양성(Programmability)과 커뮤니티성(Community)은 상대적으로 중요도를 낮게 생각하고 있었다. 넷째, 재방문이나 전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경관성(Landscape)이 공통적인 요소로 도출되었으며, 재방문에는 안전성(Security)이 전체만족도에는 핵심시설의 다양성(Multi anchoring), 주변지역 연계성(Contextual links)이 경관성(Landscape)과 함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 보면, 도시 오픈 스페이스가 EUOS로서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관성(Landscape)에 대한 비중을 높혀야 한다. 경관성(Landscape)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시 오픈 스페이스의 시설 및 프로그램 향상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활동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EUOS로서 활용되는 도시 오픈 스페이스는 집약적 활동과 이용집중이 높은 곳으로 안전이나 조명, 범죄, 장애인 시설 등과 같은 공공서비스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시 오픈 스페이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매력시설의 질적 양적 향상과 주변지역이 연계될 수 있는 광역적 접근의 투자와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귀환, 김정곤(2012) 현대도시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공간에 대한 연구: 시민과 상호작용하는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1(5): 59.
  2. 문창현(2001) 이용만족도 결정요인의 분석을 통한 서울시 도시공원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9(1): 118-122.
  3. 문화체육관광부(2011) 2010 외래방문객 실태조사.
  4. 박경애(2004) 리테일 엔터테인먼트 요소에 대한 소비자 반응. 마케팅과학연구 14: 193-212. https://doi.org/10.1080/12297119.2004.9707228
  5. 박수경, 박지혜, 차태훈(2007) 체험요소(4Es)가체험즐거움, 만족도,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Pine과 Gilmore의 체험 경제이론(Experience Economy) 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76: 55-78.
  6. 박찬돈, 박종백, 하재명(1997) 공동주택 녹지공간의 환경성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학회지 32(1): 239-250.
  7. 이상호(1997) 서울시 녹색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녹지확충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8. 이지영(2007) 도시오픈 스페이스의 확보와 정비. 월간 시민과 도시 12: 5-11.
  9. 임희지, 김상일, 김대성, 장경철, 정희윤 역(2006) 판매-엔터테인먼트 목적지개발. Beyard, Michael D., Raymond E. Braun, Herbert Mclaughlin, Patrick L. Phllips and Michael S. Rubin, Developing Retail Entertainment Destinations.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0. Akkar, Muge(2005) Questioning the publicness of public spaces in postindustrial cities. Traditional Dwellings and Settlements Review 14(2): 75-91.
  11. Beyard, Michael D., Michael S. Rubin and Patrick Phillips(1998) Developing Urban Entertainment Centers. Washington D.C.: Urban Land Institute.
  12. Brill, Louis M.(1998) Entertainment in the public realm. FunWorld June: 42-46.
  13. Dunn, Scott(2007) Creating and sustaining thriving open space: Investing in people, place and ecology. 광교 명품 신도시 수변형 도시공원의 미래상 심포지엄 2.
  14. Gehl, J.(1987) Life between Buildings. NewYork: Van Nostrand Reinhold.
  15. Hudnut, William H.(1998) Downtown: Still the heart and soul of a region. Urban Land 57: 70-75.
  16. Kay, Jane Holtz(1990) Entertainment. Landscape Architecture June 51-54.
  17. Madanipour, Ali(2004) Marginal public spaces in European cities. Journal of Urban Design 9(3): 267-268. https://doi.org/10.1080/1357480042000283869
  18. Nicholls, S. and J. Crompton(2005) The impact of greenways on property values: Evidence from Austin, Texas. J. Leisure Res. 37, 321-341.
  19. Rubin, Michael S. and Charles Bragitikos (2001) Destination development arrives. Urban Land 60: 40-49.
  20. Steele, Fritz(1981) The Sense of Place. Boston: CBI Publishing Company, Inc.
  21. Thompson, C. W.(2002) Urban open space in the 21st centur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0(2), 59-72. https://doi.org/10.1016/S0169-2046(02)00059-2
  22. Tofte, Shawn(2003) Urban Entertainment Destinations- A Developmental Approach for Urban Revitalization.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 State University.
  23. ULI(2001) Ten Principles for Reinventing America's Suburban Strips. Urban Land Institute.
  24. 東京都建設局(2004) 東京が切り拓く新時代の公園経営を目指してパークマ ネジメントマスタープラン.東京都建設局.
  25. http://hangang.seoul.go.kr
  26. http://parks.seoul.go.kr
  27. http://parks.seoul.go.kr/template/default.jsp?park_id=seonyudo
  28. http://www.cheonggyecheon.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