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mplex planning processes and design ideas of the Gwanghwamun Plaza which was opened in 2009. The opening of the plaza was significant as it was built in order to restore the symbolic meaning of axis in the historical Joseon Dynasty that was distorted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plaza itself attracts many citizens and tourists by providing the empty ground carrying historical ambiences around. In this paper, the story of the Gwanghwamun plaza will be summarized. Particularly, the background of promoting the project will be discussed and the whole planning process will be dealt with. The plaza was realized through several stages. First, the planning stage will be reviewed. The planning stage had been a quite long process since the initial idea was discussed. Since the early 90s, the political decision of making the plaza was made through the change of people's understanding toward public space. At this stage, the city government worked together with diverse citizens and professionals to share the vision and to realize the right decision in making the plaza. Second, the design stage will be elaborated in detail. This is the second design stage. The former was the idea competition and the latter was the turn-key base. The final design scheme emphasized the restoration of symbolic axis and the forgotten Yukjo Street. The scheme consists of four zones such as history restoration zone, prospect and history representation zone, culture zone, and the urban zone. Through the whole design process, the original idea remained as it was. The design concept was "a place of memory and prospect." It emphasizes the history representation, view corridor, cultural activities platform as well as the emptiness and flexibility of the basic premise of the plaza. Finally, the construction stage will be discussed. There were some additions and omission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design chances in the construction stage will be reviewed in detail. After the opening of the plaza,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detail design. We will discuss how and why these modifications were made. In the end, the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 of the plaza will be discussed. The storytelling of the Gwanghwamun Plaza will contribute to the clear understanding of planning and design process of pubic places. Based on this reflection, we are able to think about some suggestions of public projects for the future.
본 연구는 2009년에 개장한 광화문광장이 조성이 되기까지의 과정 및 설계 아이디어 도출에 대한 제 전반의 사항들을 다룬다. 광화문광장 조성은 일제에 의해 왜곡되었던 조선왕조 국가상징축을 복원시키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광화문광장 조성은 여러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으며,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광화문광장 조성 논의 단계로 세종로를 광장으로 만들기로 확정짓기 전까지 논의 단계이다. 광화문광장사업이 2007년에 현실화되기 전까지 세종로를 광장화 하고자 했던 여러 시도와 함께 행정 주체가 광화문광장 사업을 조성하기로 확정짓고 설계공모에 들어가기 전에 주요 결정사안들을 시민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결정해 나갔던 단계라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는 광화문광장 기본구상 및 설계 단계로 최종 설계안은 아이디어 현상설계와 턴키 설계 공모 두 단계를 거쳐 확정되었다. 최종 설계안은 국가상징도로로서의 세종로 축과 육조거리를 복원하는 등 역사적 맥락을 회복하는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역사복원 존(zone), "조망 및 역사재현 존(zone)", "문화 존(zone)", "도시 존(zone)"으로 주제를 설정하여 구성하였다. 광장 조성은 역사성의 재현, 조망권 확보, 일상 문화공간 창조에 주안점을 두었으며, 아이디어 현상공모 단계에서 턴키 기본설계 단계에서 시공에 이르기까지 '기억과 전망의 장소'라는 기본 개념은 유지되었다. 더불어 광장 고유의 비움 및 유동성의 특성을 반영코자 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시공 및 조성 단계로 광화문광장이 실제로 만들어지는 단계이다. 이 단계를 거치며 몇 가지 요인으로 인해 광화문광장은 최종설계안과 일부 다른 모습으로 완공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광화문광장 조성 논의 단계부터 완공하기까지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살펴보고, 그동안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당초 설계안, 설계안이 변경될 수밖에 없었던 여러 요인과 이유, 완공 이후의 광화문 광장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까지를 모두 종합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더불어 이를 통해 도시 공공 공간 조성에 있어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해 갈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해 보고, 추후 유사 프로젝트에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