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노동보상이 금융공기업 종사자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 검증-

Effect of Finance Public Enterprise Employees' Work reward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vestigation of Moderating Role of Self-efficacy-

  • 강명석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 전인오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투고 : 2013.09.03
  • 심사 : 2013.10.14
  • 발행 : 2013.10.28

초록

본 연구는 금융공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노동보상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로서 노동보상을 과업보상, 조직보상, 사회적 보상으로 구분하였으며, 조직유효성은 대표적인 측정지표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과업보상의 직무다양성, 직무도전성, 조직보상의 보수, 사회적보상의 상사의 지원은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둘째, 과업보상의 직무다양성, 직무도전성, 직무자율성, 사회적보상의 상사의 지원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각 노동보상 요인들과 조직유효성 간에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 검정결과, 조직몰입에는 조절효과가 있었으나, 직무만족의 경우 조직보상의 직업안정성에만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이론적 및 실천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work reward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cluding mediator role of self-efficacy, and also the work rewards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f task rewards, organizational rewards and social reward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to two categori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Research findings are follows; First, job diversity and job challenge of task rewards, payment of organizational rewards, superior support of social reward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job diversity, job challenge and job autonomy of task rewards, superior support of social reward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f finance public enterprise employees. Third, tested mediator role of selt-efficacy between work reward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found out moderating roles between work reward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its role between organizational rewards and job satisfaction was found only in job stability of organizational rewards. In term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현욱, 연태훈, "우리 경제의 선진화를 위한 정부 역할의 재정립", 한국개발연구원, pp.159-160, 2007.
  2. 강혜진, "공공기관의 성과평가 및 보상에 관한 연구: 한국자산관리공사 성과평가 및 성과급 구축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1권, 제1호, pp.25-61, 2012.
  3. 한봉주, "조직문화, 리더십 그리고 조직시민행동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공공기관 선진화 추진대상의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행정논총, 제47권, 제3호, pp.165-199, 2009.
  4. 최일환, 김남숙, 기영화, "다수준(multi-level)분석을 통한 공공기관 중간관리자의 코칭과 조직시민 행동 간의 관계연구: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9권, 제5호, pp.119-139, 2012.
  5. 성승제, "공적자금 관리의 적정성 제고 연구-금융 공기업의 지배구조", 한국법제연구원, 2009.
  6. 감사원,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p.3, 2006.
  7. 이진규, 전략적.윤리적 인사관리, 박영사, p.404, 2001.
  8. C. Mottaz,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lations(41), 1988.
  9. 고종욱, 장인봉, "조직에 대한 정감적, 지속적 및 규범적 몰입의 결정요인들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행정학보, 제38권, 제5호, pp.327-349, 2004.
  10. L. Porter and W. Steers, Motivation and Work Behavior, McGraw Hill, 1977.
  11. 고종욱, 류철, "노동보상이 호텔종사원들의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보상가치의 조절효과", 호텔경영학연구, 제18권, 제2호, pp.60-61, 2009.
  12. F. Hezberg, B. Mausner, and B. Snyderman, The Motivation to Work, John Wiley & Sons. 1959.
  13. L. R. Greenhalgh, "Job Insecurity: Toward Conceptual Clar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9, No.3, pp.438-448, 1984.
  14. 하성호, 최수일, "조직문화유형이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고용불안정성 및 조직신뢰의 군집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보, 제6권, 제2호, p.121, 2009.
  15. E. E. Lawler, Motivation in Work Organizations, 1973.
  16. 이정민, 사회적 자본(과업상호의존성, 상사신뢰, 감성지능)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7. R. M. Morgan and S. D. Hunt,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Vol.58, No.3, pp.20-38, 1994,
  18. 정문성, 토지행정조직의 조직구조와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9. J. P. Campbell, On the Nature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ssey-Bass, pp.36-41, 1977.
  20. 우영일, 태도가 직무성과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몰입, 직무만족, 상사에 대한 신뢰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1. P. C. Morrow, "Concept Redundancy in Organizational Research: The Case of Work Commit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8, No.3, pp.486-500, 1983.
  22. 김영진, 정서적 성향 및 조직 내 과정변수와 조직 유효성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3. 강영욱, 이승철, 김명희, "조직변화 냉소주의가 직무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사립전문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7호, pp.243-251,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7.243
  24. 조국행, "공정성과 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유효성 ," 한국학술정보(주), p.53, 2007.
  25. C. J. Thoresen, S. A. Kaplan, A. P. Barsky, C. R. Warren, and K. deChermont, "The Affective Underpinnings of Job Perceptions and Attitudes," Psychological Bulletin, No.129, pp.914-945, 2003.
  26. M. B. Amold, Emotion and Personality, Psychological Aspect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0.
  27. E. J. McCormick and J. Tiftin, Industrial Psychology, 6th(ed), Prentice-Hall, 1974.
  28.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 W. H. Freeman and Company, 1997.
  29. 조은현, 코칭리더십 척도개발 및 타당화와 코칭 리더십이 조직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0. 고선희, "항공사 승무원의 감성노동이 소진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395-40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395
  31. B. Shamir and M. B. Arther, "The Motivational Effects of Charismatic Leadership: A Self-Concept Based Theory," Organizational Science, Vol.4, 1993.
  32. 문유석, "경찰관의 업무적 자아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지방정부연구, 제13권, 제4호, p.89, 2009.
  33. B. Shyns and G. Von Collani, "A New Occupational Self-Efficacy Scale and its Relation to Personality Constructs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02.
  34. R. Eisenberge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1, No.3, 1990.
  35. 김영춘, 정민숙, "리더십, 조직문화와 조직몰입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201-21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