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ace of the Other and its Reproduction in Oasis

<오아시스>의 타자의 공간과 재생산

  • 계운경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Received : 2013.06.25
  • Accepted : 2013.09.16
  • Published : 2013.10.28

Abstract

Oasis shows a phenomenon of structured violence in the daily life of female with heavy disability. However, even victims of the violence don't think they are victims. Through this mechanism of misconception we are all conspired as producer of violence and after all it is connected to the reproduction of dominant ideology. Therefore, it is the task of diagnosing accurately about the mechanism of symbolic violence which is constantly being reproduced in particular spaces through a present of methodology which interpret the perspective of the most fundamental about social pathology.

본 연구는 영화 <오아시스>를 통해 장애여성이 겪는 일상공간에서의 구조화된 폭력과 재생산의 관계를 짚어낸다. '집', '홍종두의 세계', '환상' 공간을 통해서 가시적 폭력뿐 아니라 상징폭력이 작동되는 방식을 살펴보고, 그것이 재생산으로 이어지도록 작용하는 연결고리로서 '강간', '사랑', 그리고 '홍종두의 편지'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시도한다. 위의 세 요소들은 한공주와 홍종두는 물론이고 이 영화를 보는 관객들까지도 오인의 메커니즘을 통해 상징폭력의 생산자로서 공모하게 하고, 결국 지배이데올로기의 재생산으로 이어지도록 이끈다.

Keywords

References

  1. P. Jackson, Maps of Meaning: an Introduction to Cultural Geography, London: Routledge, p.23, 1989.
  2. R. Jenkins, Pierre Bourdieu, Cornwall: TJ International. p.104, 2002.
  3. P. Bourdieu, Masculine Domination, Stanford: Stanford UP, p.109, 2001.
  4. 이왕주, 철학, 영화를 캐스팅하다, 효형출판, p.318, 2007.
  5. 김경란, "니들이 가부장제를 알아? - 영화 <오아시스>의 '한공주' 그 장애인 여성의 사랑", 비정규 노동, 제9권, p.114, 2002.
  6. 정희모, "내 속의 '오아시스'", 기독교사상, 제46권, 제10호, p.221, 2002.
  7. 이덕화, "서술점 관점에서 본 이창동의 작품세계: <박하사탕>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제4권, 제1호, p.39, 2003.
  8.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raceheroine&logNo=140012197528
  9.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91960
  10. 정성일, 필사의 탐독, 바다출판사, pp.123-124, 2010.
  11. E. Soja, Postmodern Geographies, London: Verso, p.81, 1989.
  12. M. Foucault, "Space, Knowledge and Power,"The Foucault Reader. Ed. Paul Rainbow, New York: Pantheon, p.252, 1984.
  13. Y. Tuan, 구동회.심승희 역, 공간과 장소, 대윤, p.19, 2007.
  14. Y. Tuan, 구동회.심승희 역, 공간과 장소, 대윤, p.232, 2007.
  15. E. Relph, 김덕현.김현주.심승희 역, 장소와 장소 상실, 논형, p.100, 2005.
  16. A. H. Kritzer, Poliical Theatre in Post-Thatcher Britain, London: Palgrave, p.30, 2008.
  17. E. Relph, 김덕현.김현주.심승희 역, 장소와 장소 상실, 논형, p.75, 2005.
  18. H. Lefebvre, The Production of Space, Tr. Donald Nicholson-Smith. 1974, Malden: Blackweell, p.83, 1984.
  19. E. Relph, 김덕현.김현주.심승희 역, 장소와 장소 상실, 논형, p.88, 2005.
  20. Y. Tuan, 구동회.심승희 역, 간과 장소, 대윤, p.222, 2007.
  21. 정병언, "미국 흑인극의 환상공간과 기괴함의 전복적 욕망", 현대영미드라마, 제18권, 제3호, pp.165-166, 2005.
  22. W. R. Irwin, The Game of the Impossible: The Rhetoric of Fantasy, Urbana: U of Illinois P, p.4, 1975.
  23. C. Tate, ed. Black Women Writers at Work, New York: Continuum, p.49, 1983.
  24. 변상출, "환상과 자유", 인문과학연구, 제35권, p.1-9, 2010.
  25. 조용훈, 에로스와 타나토스, 살림, p.38, 2005.
  26. 이왕주, 철학, 영화를 캐스팅하다, 효형출판, p.321, 2007.
  27. 정병언, "여성공간과 상징폭력: 미국 여성극을 중심으로", 현대영미드라마, 제23권, 제2호, p.88, 2010.
  28. P. Bourdieu, 김용숙 옮김, 남성지배, 동문선, p.1, 2003.
  29. C. Sheffield, "Sexual Terrorism," Women, Culture, Society, 4th ed. Ed. Barbara Balliet, Dubuque: Kendall Hunt. p.251, 2004.
  30. 최기숙, "관계성으로서의 섹슈얼리티: 성, 사랑, 권력", 여성문학연구, 제10호, pp.249-254, 2003.
  31. 이미영, "셰익스피어의 겨울이야기에 나타난 낭만적 사랑의 이데올로기", 셰익스피어비평, 제38권, 제1호, p.184, 2002.
  32. P. Bourdieu, Masculine Domination, Stanford: Stanford UP, p.58. 2001.
  33. F. Ghannam, Remaking the Modern: Space, Relocation,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in a Global Cairo, Berkeley: U of California P, p.104. 2002.
  34. 주경복, "도둑맞은 편지에 대한 세미나를 통해 본 라캉의 기호학과 언어철학", 불어불문학연구, 제41권, 제1호, pp.404-406,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