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1-330-B00040).
As polarization and class reproduction between generations are considered to be serious problems in Korean society, increasing number of assortative mating, which means marrying between homogeneous family background, income class, and educational background, is on the spotlight socially. Some worry that the increase of assortative mating can reinforce closure of social mobility so it deepens inequality and limits class mobility between generations.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s of accomplishment characteristics of husbands and wives and ascriptive characteristics of parents which consist the concept of assortative mating, on income, consumption, and assets those represent economic status of a fami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empirical understanding on the role of assortative mating that affect on inequality within generations and income mobility between generations in Korean society. In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assortative mating on income, consumption, and assets, high educational background was the factor that increase income and consumption level as accomplishment characteristics of assortative mating. As ascriptive characteristics of assortative mating, educational homogeneous of fathers was the factor that increased asset level. While accomplishment characteristics affect income and consumption, ascriptive characteristics of homogeneous had significant effect on assets. Thus, it was found that transfer between generations had effects around asset rather than income. In particular, ascriptive characteristics in young husbands and wives aged 20s or 30s had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assets.
양극화와 세대간 계층재생산이 한국 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로 여겨지는 상황에서, 동질적인 부모의 배경, 동일한 소득계층, 동일한 학력 간에 끼리끼리 이루어지는 동질혼의 증가가 사회적 주목을 받고 있다. 동질혼의 증가가 사회 이동의 폐쇄성을 강화함으로써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세대간 계층 이동을 제한시킬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이 연구는 동질혼의 개념을 구성하는 부부의 성취적 특성 및 부모의 귀속적 특성이 가구의 경제적 상태를 대표하는 소득, 소비,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한국 사회의 세대내 불평등 및 세대간 계층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동질혼의 역할에 대한 실증적 이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동질혼이 소득과 소비, 그리고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동질혼의 성취적 특성으로는 고학력 동질혼이 소득과 소비 수준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동질혼의 귀속적 특성으로는 아버지들의 교육적 동질혼이 자산수준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소비에는 동질혼의 성취적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 반면, 자산에는 동질혼의 귀속적 특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세대간 이전이 소득보다 자산을 중심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20-30대 젊은 부부에게는 귀속적 특성이 자산에 대해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밝혀졌다.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1-330-B0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