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은주, 김영주 (2004).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차이. 한국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0(4), 115-133.
- 김동철 (1992).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인성, 지능, 성적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 김명희, 신화식 (2001). 다중지능에 의한 부모-교사의 유아의 잠재능력 평가 간의 인식비교 연구. 아동학회지, 22(4), 33-50.
- 김미숙 (1993).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지능발달에 미치는 영향. 신성대학논문집, 16, 321-352.
- 김유미(2005). 뇌를 통해 본 아동의 정서-이해와 교육. 서울: 학지사.
- 김은이 (2007). 취학 전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 김정원 (2002). 지각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7(3), 247-261.
- 김향자(2001). 유아의 다중지능과 가정환경 변인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 김형재, 홍순옥 (2010). 4, 5세 유아의 지능과 그리기 표상능력간의 관계. 사고 개발, 6(2), 99-119.
- 김호 (2010). 유아의 지능,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의 창의성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9(1), 207-226.
- 노명희, 박상희 (2002). 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3), 107-127.
- 노운서 (2007).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른 다중지능 차이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 문수백, 변창진 (1997). K-ABC 실시 ․ 채점요강. 서울: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 문용린, 유경재 (2009). 한국형 다중지능 진단도구의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3(3), 645-663.
- 박영애, 최영희, 박인전 (2000).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5(2), 161-182.
- 박영태, 추성경 (2008). 다중지능의 최근 연구동향: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 분석. 동아논총, 44, 67-87.
- 박효주 (2011). 부모의 양육태도와 만 4세 유아의 정서지능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인대학교.
- 배문주 (2005).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태도 일치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서영민, 김진경 (2009). 외동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다중지능,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4(6), 349-369.
- 서주현, 이순형 (2009). 유아의 기질, 모의 양육태도, 조화적합성이 유동성지능 및 결정성 지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9(4), 47-71.
- 안말애 (1985). 부모의 권위적인 양육태도와 취학전아동의 지능발달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 안현지 (1999).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우수경, 최기영 (2002). 유아의 정서능력과 관련변인간의 구조 분석. 유아교육연구, 22(2), 29-55.
- 유민임 (2005). 유아개인변인 및 어머니 양육태도와 대인문제해결력과의 인과관계.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 윤현숙 (2007).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다중지능 그리고 또래놀이상호작용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1(4), 389-405.
- 이경민 (2002). 유아의 지능, 감성지능, 창의성의 관계 및 관련변인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 이광자 (1997).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 이병래 (1997). 부모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 이승은 (2006). 유아의 감성지능과 인지지능 간의 관계분석: K-ABC지능검사와 EITC유아용 감성지능 검사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6(1), 189-210.
- 이우송 (1986). 가정의 물리적 환경과 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지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 이원영 (1983). 모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임성실, 이정미, 김영희 (201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5(2), 143-157.
- 임호찬 (2008). 유아의 사고능력에 대한 부모 양육태도의 영향. 영재교육연구, 18(3), 613-634.
- 장영애 (2011). 부모의 양육행동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초등학교 아동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2(1), 115-129. https://doi.org/10.7856/kjcls.2011.22.1.115
- 장영숙, 강경석, 송경희 (2003). 유아의 다중지능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3), 247-269.
- 전선재 (2003).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다중지능 발달 및 창의성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전정민, 이영석 (2006). 유아용 다중지능 측정도구 타당화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 327-357.
- 정영숙 (1998). 지능과 다중지능 및 정서지능과의 관계분석.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 조규영, 어용숙, 안민순 (2010). 학령전기 아동의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거부적 양육태도. 아동간호학회지, 16(2), 136-143. https://doi.org/10.4094/jkachn.2010.16.2.136
- 조덕제 (2001). 아동이 인지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다중지능영역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인대학교.
- 차명애, 김규수 (2009). 5세 유아의 다중지능과 창의성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5, 469-478.
- 추미란 (1999). 모의 양육태도 및 배경변인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 Ainsworth, M. D. S. (1979). Attachment as related to mother-infant interaction. In J. G. Rosenblatt, R. A. Hinde, C. Beer. & M. Busnel (Eds.). Advances in the study of behavior, Orlando, FL: Academic Press.
- Amato, P. R., & Folwler, F. (2002). Parenting practices, child adjustment, and family diversit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4, 703-716.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2.00703.x
- Armstrong, T. (1994).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classroom.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 Curriculum development.
- Baumrind, D. (1971). Current patents of parental authority. Developmental Psychology Monographs, 4, 21-40.
- Bayley, N. (1968). On the growth of intelligence. Contemporary Issues in Development. N.Y.: Holt Rineart Winston.
- Becker, W. C. (1964). Consequence of different kinds of parental discipline.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1, 23-30.
- Bee, H. (1975). The Development. N.Y.: Harper & Row.
- Being, E. (1963). Effect of child-rearing practice on development of differential cognitive abilities. Child Development, 34, 631-648.
- Belsky, J., Putnam, S., & Keith, C. (1996). Coparenting, parenting, early emotional development.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2, 32-43.
- Bloom, B. S. (1964). Stability and changes in human characteristics. N.Y.: Wiley.
- Bornstein, R. F., & Languirand, M. A. (2003). Healthy Dependency. N.Y.: New Market Press.
- Bowlby, J. (1982). Attachment and loss. N.Y.: Basic Books.
- Camp, B. W., Swift, W. J., & Swift, E. W. (1982). Authoritarian parental attitudes and cognitive functioning in preschool children. Psychological Reports, 50, 1023-1026. https://doi.org/10.2466/pr0.1982.50.3c.1023
- Chan, D. W. (2004). Multiple intelligences of chinese gifted students in Hong Kong: Perspectives from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peers. Roeper review, 27, 18-24. https://doi.org/10.1080/02783190409554284
- Chen, J., & Gardner, H. (2005). Assessment based on Multiple-intelligences Theory. In Flanagan, D. & Harrison, P. (Eds.), Contemporary intellectual assessment: Theories, Tests, & Issues (pp. 77-102). N.Y.: Guilford Press.
- Chao, R. K. (1993). Clarification of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nd parental control: Cultural concepts of Chinese child rearing.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society of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61-065.
- Ciarrochi, J., & Mayer, J. D. (2006). Clarifying concepts related to emotional intelligence: A proposed glossary. In Ciarrochi, J., Forgas, J. & Mayer, J. (Eds.). Emotional intelligence in everyday life: A Scientific Inquiry. 2nd edition (pp. 261-268). N.Y.: Psychology Press.
- Cicchetti, D., Ackerman, В., & Izard, C. (1995). Emotions and emotion regulation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7, 1-10.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6301
- Cleaver, G. (1994). Mothers and their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04, 35-51. https://doi.org/10.1080/0300443941040103
- Dornbusch, S., Ritter, P., Leiderman, P., Roberts, D., & Fraleigh, M. (1987). The relation of parenting style to adolescent school performance. Child Development, 58, 1244-1257. https://doi.org/10.2307/1130618
- Furnharm, A. (2000). Parent's estimates of their own and their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18, 583-594. https://doi.org/10.1348/026151000165869
-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Y.: Basic Books.
- Gardner, H. (1999). Are there additional intelligences? The case for naturalist, spiritual, and excentrical intelligences. In J. Kane (Ed.), Education, information and transformation. (pp. 111-131) Englewood Cliffs, N.Y.: Prentice Hall
- Gottman, J. M., Katz, L.F., & Hooven, C. (1996). "Parent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emotional life of families: Theoretical models and preliminary data".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3), 243-268. https://doi.org/10.1037/0893-3200.10.3.243
- Hein, S. (2004). Short defini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Intelligence Homepage.
- Herskovits. M. (2000). Family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high ability. Gifted Educational International, 14, 237-246. https://doi.org/10.1177/026142940001400305
- Hyson, M., & Lee, K. M. (1996), Assessing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emotions. Early Educaton & Development, 7(1), 64-79.
- Jersild, A. T., Telford, C. W., & Sawrey, J. M. (1975). Child Psychology.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 Kaufman, A. S. (1977). Intelligent testing with the WISC-R. N.Y.: Jhon Wiley & Sons.
- Kurtines, C. A. (1989). Developing self-esteem and creativity in the preschool chil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ami.
- Lamborn, S. D., Dornbusch, S. M., Steinberg, L., & Mounts, N. S. (1991). Patterns of competence and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from authoritative, authoritarian, indulgent, and neglectful families. Child Development, 62(5), 1049-1065. https://doi.org/10.2307/1131151
- Mayer, J. D., & Salovey, P.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1-25.
- Mayer, J. D., & Geher, G. (1996).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identification of emotion. Intelligence, 22(2), 89-113. https://doi.org/10.1016/S0160-2896(96)90011-2
- Pham, P. M.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Comparison of vietnam and Korea.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Keimyung.
- Piaget, J. (1963). The psychology of intelligence. N.Y.: Routledge.
- Pichayapinyo, P., Pawwattana, A., & Thongvichaen, S. (2008). Parenting styl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lligence quotients in Thai school-aged children in Tukdang community, Bangkok Metropolis. Journal of Public Health, 38(1), 59-70.
- Pomerleau, R. (1991). Experiments on the causal mechanisms of die back Quebec Region. Information Report LAU-X-96, 47.
- Schaefer, E. S. (1959). A circumf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9, 226-235. https://doi.org/10.1037/h0041114
- Schaefer, E. S., & Bell, R. Q. (1958). Development of a parental attitude research instrument. Child Development, 29, 339-361.
- Scott-Little, M. C., & Holloway, S. D. (1992). Child care provider's reasoning about misbehaviors: Relation to classroom control strateg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7, 595-606. https://doi.org/10.1016/0885-2006(92)90125-I
- Shearer, C. B. (1996). The MIDAS: Multiple intelligences development assessment scales. A guide to assessment and education for the multiple intelligences. Columbus, O.H.: Original Works.
- Steinberg, L., Elmen, J. D., & Mounts, N. S. (1989). Authoritative parenting, psychological maturity, and academic success among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60, 1424-1436. https://doi.org/10.2307/1130932
- Thurstone, L. L. (1938). Primary mental abiliti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Witkin, H. A., Dyk, R. B., Paterson, H. F., Goodenough, D. R., & Karp, S. A. (1962). Psychological differentiation. N.Y.: Wiley.
피인용 문헌
-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stfeeding Duration and Preschooler Problem Behavior: The Mediating Role of Cognitive Development vol.38, pp.6, 2017, https://doi.org/10.5723/kjcs.2017.38.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