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TP를 이용한 다문화가족이 농촌사회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 및 기여가치 평가

Contribution Value Estimation on Rural Community by Multi-cultural Family Effect Using WTP

  • 양순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 투고 : 2013.08.10
  • 심사 : 2013.09.11
  • 발행 : 2013.09.30

초록

농촌의 인구활력화, 지역경제 활성화, 농촌의 문화다양성, 농촌 가족사회의 유지, 그리고 농촌자원의 향상과 같은 다문화가족이 농촌사회에 미치는 영향 및 기여가치에 대한 WTP(Willingness to Pay)를 추정하기 위해, 농촌지역 41개 시 군에서 weibull model에 기초한 이중이선선택법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어 추정모형을 개발하고 로지스틱(logistic)을 이용해 WTP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다문화가족의 기여가치 유지를 위해 농촌지역민이 평가한 WTP는 458억원이었고, 이것은 개개 농촌가구가 연간 13,840원을 지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비교준거로서 다문화가족 남편이 평가한 WTP는 502억원 이었고 이것은 개개 농촌가구가 연간 15,170원을 지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o estimate the WTP(Willingness to Pay) for consistent maintenance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contribution worth such as vitality of rural population,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cultural diversity of rural, maintenance of rural family society, and diversity of rural resourc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method based on Weibull model in 41 city county of rural. A estimation models based on Tunball model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WTP estimation with logistic analysis. WTP estimates for consistent maintenance of multi-cultural contribution worth by rural resident was 458 hundred million won. It means that each rural household can pay 13,840 won per annual. WTP estimates assessed by multi-cultural families' husband as a criteria for comparison was 502 hundred million won. It means that each household can pay 15,170 won per annual.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수향. (2011). 이주민 유입의 인구.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한 내국인의 지각과 이주민 지원 및 사회참여에 대한 내국인의 태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김갑석. (2009). 다문화가정이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 정보 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병조, 김복수, 서호철, 오만석, 은기수, 정미량, 정재기, & 조동기. (2011). 한국의 다문화상황과 사회통합.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4. 김예신, 이용진, 박화성, 남정모, 김정흠, & 신동천. (2003). 환경오염으로 인한 위해도 감소에 대한 지불의사금액 추정에 관한 연구. J. ENVIRON. TOXICOL., 18(1), 1-13.
  5. 김옥순. (2008). 해외체류경험과 외국어 사용능력에 따른 문화간 감수성 수준의 차이- 경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5(1), 45-67.
  6. 농림부. (2001). 농업의 다원적 기능의 가치평가 연구.
  7. 동아일보. (2012). 다문화가족, 농촌 고령화 늦추고 출생률 높여(2012. 1월 3일자).
  8. 설동훈, 서문희, 이삼식, & 김명아. (2009). 다문화가족의 중장기 전망 및 대책 연구: 다문화가족의 장래인구추계 및 사회.경제적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9. 양순미. (2001). 농촌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양순미. (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분석: 중국, 일본, 필리핀 이주여성 부부중심. 농촌사회, 16(2), 151-179.
  11. 양순미. (2009). 농촌 다문화가족의 농업 및 사회참여 활동 프로그램 개발연구. 2008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시험연구보고서(농업공학부 편).
  12. 양순미. (2011a). 한국 농촌사회의 다문화 출현 배경과 실태. 재인한인사회와 다문화 국제학술회의.
  13. 양순미. (2011b). 농촌공동체, 다문화를 품다. 대산농촌문화, 통권 69호, 17-21.
  14. 양순미. (2011c). 다문화는 우리사회의 성장동력....개발가능한 자원관점서 보자 (2011. 3. 18일자 칼럼). 농민신문
  15. 양순미. (2012). 아시아지역에서 한국의 농촌으로 결혼이민해 온 여성 및 그 가족들이 농촌사회에 미치는 기여도 분석. 제 27차 국제인구과학연맹세계인구총회 국내제출자 논문발표 대회 자료집.
  16. 양순미, 한춘희, & 양점남. (2009). 농촌 다문화여성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영향 요인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제16권 2호, 253-284.
  17. 이삼식, 최효진, & 박성재. (2009). 다문화가족의 증가가 인구의 양적.질적 수준 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8. 이한숙. (2004). 외국인 노동력 유입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 이해춘, 이규용, & 조준모. (2004). 외국인력 고용의 사회적 효과. 응용경제, 6(3), 85-111.
  20. 이희찬. (2002).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 가치평가 방법 및 사례. 농업.농촌의 공 익적 기능 가치평가와 활용 심포지엄 자료집. 농촌생활연구소.
  21. 인테러뱅. (2012). 농촌 다문화, 공존의 시대-융화와 존중으로 빚어내는 하모니(인테러뱅 제60호). 농촌진흥청.
  22. 조완규. (1993). 농민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Kronauer, M. (1998). Social Exclusion and Underclass: New Concepts for the Analysis of Poverty. pp.51-75 in Empirical Poverty Research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edited by Hans-Jurgen Andress. Aldershot, England: Ashgate Publishing Limited.
  24. L.A. Times. (2006, 9, 21). For farmers, Finding a bride is a foreign affair.
  25. Silver, H. (1994). Social Exclusion and Social Solidarity: Three Paradigms. International Labour Review, 133(6), 531-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