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roposed Role for Semiotics Methodology in Education of Comics Studies Majors

전공자 대상의 만화교육에 있어서 기호학적 방법론의 역할제안

  • 권경민 (남서울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 Received : 2013.07.31
  • Accepted : 2013.09.02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Comics are a genre that convey meaning through compositional arrangements of dialogue and images as well as through the flow of panels across a page. Communicating that meaning to readers through a combination of language and visual lexicons is the essential process of drawing comics, a process that in itself is significant. The semiotics of comics is a field of scholarship grounded in the broader discipline of semiotic theory in which all the components of comics, both visual and verbal, are the subject of study and research. By adopting a semiotic approach we are able to objectively analyze and understand the symbolic, social and ideological meanings embedded in the signs and sign processes expressed in comics. The fundamental pedagogical mission of teaching comics is to cultivate human nature through the study of theory as well as through the production and completion of original works that explore new modes of expression. To go further, interpreting those embedded meanings in the context of comics fosters effective and creative skills of expression that go beyond a mere fascination for the genre itself. In short, because the semiotic approach to understanding visual communication is the essence teaching comics, we can expect that the act of reading and creating comic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understanding visual communication.

만화는 말과 그림 그리고 칸의 흐름이 복합적으로 구성되면서 의미를 표출하는 장르이다. 만화를 그린다는 것은 언어와 시각언어의 합성을 통해 그 의미가 수용자 즉, 만화를 읽는 사람에게 어떻게 전달되는가를 의미한다. 즉, 만화를 읽고 만화로 표현하는 행위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므로, 기호학을 바탕으로 하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학습은 만화교육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분석방법 가운데 특히, 기호학을 바탕으로 하는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만화교육을 위한 기호학적 방법론을 검토하였다. 연구사례는 크게 1) 형식에 대한 분석사례, 2) 내용에 대한 분석사례, 3) 형식+내용에 대한 분석사례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기호학의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 만화분석 사례를 토대로 만화 교육에의 적용방법과 역할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기호학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분석들은 연구자의 주장을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므로, 기호학적 방법론을 응용한 교수학습법 개발과 수업에서의 활용효과 등에 관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보다 체계적인 만화교육의 기틀을 위한 또 하나의 방법으로 활용되길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경민, 기호학적 만화론, 심포지움, 2006
  2. 권경민, 만화학개론, 북코리아, 2013
  3. 랜달 피 해리슨, 하종원 역, 만화와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천, 1997
  4. 문화관광부, 만화애니메이션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2005
  5. 백선기, 미디어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6. 백승국, 문화기호학과 문화콘텐츠, 다할미디어, 2004
  7. 스콧 맥클루드, 만화의 이해, 비즈앤비즈, 2008
  8. 이수진, 만화기호학, 씨엔씨 레볼루션(주), 2004
  9. 권경민, 만화분석에 관한 방법론적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7, 2007 https://doi.org/10.5392/JKCA.2007.7.7.068
  10. 권경민, 웹툰 서사분석을 위한 방법론적 고찰: 웹툰<죽음에 관하여>를 중심으로, The Journal of Namseoul Univ, Vol.19, No.1, 2013
  11. 안성혜.고철환, 만화비평의 준거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고전적 예술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06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