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glish Inflectional Morphemes Based on the CHILDES Corpus

CHILDES 코퍼스를 기반으로 한 아동의 영어 굴절형태소 발달 연구

  • Received : 2013.05.11
  • Accepted : 2013.08.27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test the findings about English-speaking children's acquisition of inflectional morphemes in the literature using a large-scale database. For this, we obtained a 4.7-million-word corpus from the CHILDES (Child Language Data Exchange System) database, and analyzed 1,630 British and American children's uses of English derivational morphemes up to age 7. We analyzed the type and token frequencies, type per token ratio (TTR), and the lexical diversity (D) for such inflectional morphemes as the present progressive -ing, the past tense -(e)d, the comparative and superlative -er/est with reference to children's nationality and age groups. To sum up our finding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D value and children's age varied from morpheme to morpheme; e.g. we found no correlation for -ing, a marginal correlation for -ed, and a strong correlation for -er/-est. Our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Brown's (1973) classical observation that children learn progressive forms earlier than the past tense marker. In addition, overgeneralization errors were frequently found for -ed, but rarely for -ing, showing a U-shaped developmental pattern at ages 2-3. Finally, American children showed higher D scores than British children, which showed that American children used inflectional morphemes for more word types compared with British children. The present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esting the earlier findings in the literature by setting up well-defined methodology for analyzing the entire CHILDES database.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 연구에서 보고된 영어 모국어 아동의 굴절형태소 습득 과정을 대규모 언어습득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CHILDES(Child Language Data Exchange System) 데이터베이스에 등장하는 1-7세 영국 및 미국 아동 1,630명이 발화한 470만 어절 말뭉치를 대상으로 굴절형태소의 발달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동사의 현재분사 -ing, 과거형 -(e)d, 형용사의 비교/최상급 -er/est 등의 형태소에 대해 어휘 유형(Type)과 사례(Token) 빈도, 전체 사례(Token)에 대한 유형(Type) 비율인 TTR(Type per Token Ratio), 어휘 다양성 척도인 Lexical Diversity(D) 값을 구하여 이를 국가 및 연령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굴절형태소별로 연령과 D 값의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현재분사 -ing와 D 값 사이에는 주목할 만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과거형 -(e)d의 경우 양의 상관관계 경향성이 보였고, 비교/최상급 -er/-est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현재진행형이 과거형보다 먼저 습득된다고 보고한 Brown(1973)의 견해를 지지한다. 다음으로, 과잉일반화에 따른 오류 표현이 2-3세 사이에 많이 나타나면서 U자형 발달 양상을 보였다. 과잉일반화도 현재분사보다 과거형에서 많이 나타났는데, 이것 또한 현재분사가 과거형보다 일찍 습득된다는 주장을 지지한다. 영국과 미국 아동의 연령별 굴절형태소 사용 양상을 비교한 결과, 미국 아동의 D 값이 영국 아동보다 높았다. 이는 미국 아동이 영국 아동보다 더 많은 어휘 유형에 대해 굴절형태소를 사용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소수의 아동을 대상으로 수행된 선행 연구의 다양한 논점을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로 검증하고, CHILDES 코퍼스를 효율적으로 분석하는 연구 방법론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