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mpirical Research on Success Factors of One-person Creating Company of Mobile App Industry in the Busan Region

부산 모바일 앱 산업 분야의 1인 창조기업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천평욱 ((재)부산정보산업진흥원 IT사업부) ;
  • 정동섭 (경성대학교 경영학부) ;
  • 옥영석 (부경대학교 시스템경영공학부)
  • Received : 2013.07.01
  • Accepted : 2013.07.17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Currency crisi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olarization of economic and serious youth unemployment rate, to prepare for the smart new economic era, and like to support and nurture the one-persion creating company of mobile app industry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people policies are underway. To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uccess of mobile app One-person creating company, to target the mobile app One-person creating company int the Busan region, w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f success factors, and thus, support these solutions,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in an attempt to try to seek the support measures, was carried out this research. In this study, results derive a research three hypotheses about the success factors of One-person creating company through literature discussion,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empirical data of the mobile app one-persion creative company of Busan region of 51 individual, establishment of company period is longer, the number of organizations employee is large and attract a lot of external funds, and was able to find the tendency of more entrepreneurs receives an education, may increase an outcome of business.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policy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o attract investment funds and attract government funding to support the funding of One-person creating compan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more. Second, policy founder to an education about the management on an ongoing basis is needed than the education of marketing and technology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uture, you will be able to expand across the country study company, we have established a policy of mobile app industry of national dimension, in this foundation, will be expanded to all industries.

외환위기 이후 심각한 청년실업률과 경제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고 스마트 신경제 시대를 대비하기 위하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모바일 앱 산업 분야의 1인 창조기업을 지원 육성하는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지원 정책이 모바일 앱 1인 창조기업의 성공적인 창업에 기여할 수 있도록 부산지역 모바일 앱 1인 창조기업을 대상으로 성공요인에 대한 실증조사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해 1인 창조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세 개의 연구가설을 도출하고, 51개의 부산지역 모바일 앱 1인 창조기업의 실증자료를 기반으로 연구한 결과 기업의 창업기간이 오래되고, 조직원의 수가 많으며, 외부 자금을 많이 유치하고, 창업가가 경영 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기업의 경영성과가 높아지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얻을 수 있다. 첫째, 1인 창조기업의 자금 조달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 자금 지원과 투자유치 자금 유치에 보다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인적 자원 개발을 위해 기술과 마케팅의 교육보다 창업자가 지속적으로 경영관련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향후, 연구대상 기업을 전국으로 확장하여 국가적인 차원의 모바일 앱 산업 분야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 산업 분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진, 이병헌, 오왕근, "국내 벤처기업의 성장 단계별 외부자원 활용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제7권, 제1호, pp. 35-45, 2012.
  2. 권미영, 정해주, "기업가, 기술 및 네트워크 특성이 기술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제7권, 제1호, pp. 7-18, 2012.
  3. 김경영, 박기술, "기업 R&D 투자에 대한 정부 지원정책 효과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31권, 제 3호, pp. 34-45, 2009.
  4. 김경환, "지식기반 1인 창조기업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pp. 1-10, 2009.
  5. 김선진, "1인 창조기업 유형 분석 및 성공전략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0권, 제1호, pp. 69-77, 2010.
  6. 김진희, 김대호, 김홍, "혁신형 중소기업의 성공 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벤처창업연구, 제3권, 제2호, pp. 65-88, 2008.
  7. 김홍, "대학생의 창업요인과 창업의지와의 관계 연구," 벤처창업연구, 제7권, 제1호, pp. 263-271, 2012.
  8. 남영호, 벤처기업의 배태조직 특성과 창업성공 가능성 분석, 정보통신부 연구결과보고서, 1999.
  9. 신동하, 1인 창조 기업의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0. 심규박, "스마트폰이 이동 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방법,"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 632-638, 2012. https://doi.org/10.9717/kmms.2012.15.5.632
  11. 심상민, "1인 창조기업 개념과 유형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제10권, 제2호, pp. 5-26, 2010.
  12. 오현목, 이상우, 박명철, "정보통신기업의 기술개발전략과 성과에 관한 연구," 경제학연구, 제 31권, 제4호, pp. 881-901, 2002.
  13. 윤종록, 김형철, 김광숙, "벤처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비즈니스리뷰, 제1권, 제1호, pp. 39-68, 2008.
  14. 이승희, 김건, "학생 1인창조기업 육성을 위한 거시적 교육방향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 125-133,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125
  15. 이인찬, 이광훈, 박성진, 김운호,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 성공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998.
  16. 이현우, 김운한,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1인 창조기업의 광고산업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제 11권, 제1호, pp. 87-101, 2012.
  17. 조형래, "창업인의 특성, 제품혁신성과 벤처기업 성과간의 상황적 관계," 한국과학기술원 박사학위논문, 1994.
  18. 최종인, 양영석, "창업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제," 벤처창업연구, 제7권, 제1호, pp. 125-134, 2012.
  19. 황보윤, 양영석, "창업교육 전문성 제고를 위한 창업전문대학원 설립방안 연구," 벤처창업연구, 제7권, 제1호, pp. 113-123, 2012.
  20. 1인 창조기업 지원사업 운영 등에 관한 고시, 중소기업청, 2011.
  21. 1인 창조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중소기업청, 2011.
  22. KT경제경영연구소, 스마트 혁명, 세상을 바꾸다, IT전략 보고서, 2012.
  23. 방송통신위원회, 2012년 10월 유무선통계, 2012.
  24. 중소기업청, 2011년 1인 창조기업 실태조사, 2012.
  25.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012.
  26.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년 스마트콘텐츠 시장조사 보고서, 2011.

Cited by

  1. Impact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on the Team Cooperation, Quality of Decision Making and Job Performance vol.17, pp.2, 2014, https://doi.org/10.9717/kmms.2014.17.2.180
  2. A Study on Convergence Education of IT & Design for Training Creative Talent vol.17, pp.11, 2014, https://doi.org/10.9717/kmms.2014.17.11.1354
  3. 국내 벤처기업의 창업 성공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vol.10, pp.6, 2013, https://doi.org/10.16972/apjbve.10.6.201512.15
  4. Success Factors of Student Startups in Korea: From Employment Measures to Market Success vol.8, pp.1, 2013, https://doi.org/10.7545/ajip.2019.8.1.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