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Clothing Life of Korea-Vietnam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 on clothing behaviors and attitudes toward traditional dresses -

베트남 다문화가정 의생활 실태조사 - 의복행동과 전통복식 태도를 중심으로 -

  • Son, Jin Ah (Graduate School of Design, Konkuk University) ;
  • Nam, Yun Ja (Dept. of Clothing and Textil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weon, Jun Hee (Division of Fashion Design & Business, Hansung University)
  • 손진아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
  • 남윤자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 권준희 (한성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3.05.18
  • Accepted : 2013.08.16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provide basic data to study the life and culture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by taking a look at the clothing behaviors and attitudes toward traditional dresses. To this end,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on Korea-Vietnam multicultural families and Korean families. The surveys of the Korean families were completed by 250 married women in Seoul, and those of Korea-Vietnam multicultural families by 104 married Vietnamese women living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crosstabs and ${\chi}^2$-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arison of clothing behaviors of the Korean families and the Korea-Vietnam multicultural families found that the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lues towards clothes, clothes shopping orientation and clothes purchasing behaviors. The Korean women were more involved in clothes and fashion-oriented than their Vietnamese counterparts. However, the Vietnamese women in their 20s were likely to rely more on social trends than their own needs when purchasing clothes compared to their Korean counterparts. Korean families preferred to shop in department stores, while the multicultural families relied more on discount stores and outlets.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Korean families and the Korea-Vietnam families in attitudes toward their own traditional dresses and how often to wear them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The Korean group had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 Hanbok, the Korean traditional dresses than the Vietnamese group. The Vietnamese women showed more interest in information on Hanbok than their Korean counterparts. They also were wearing the Korean traditional dresses more often than the Korean families. In addition, the Vietnamese women showed a stronger tendency than the Korean women that they took pride in their country's traditional dresses and believed that they were beautiful.

Keywords

References

  1. 다문화가족 지원법 (2013), 제 2조 제 1항.
  2. 보건복지가족부 (2008), 국제결혼이민자 및 국제결혼 이혼 통계자료, p. 1
  3. 하밍타잉 (2005), 1992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국제결혼에 대한 연구-베트남 여성의 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7.
  4. 통계청 (2011), 다문화인구동태통계, pp. 1-10.
  5. 하밍타잉 (2005), 1992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국제결혼에 대한 연구-베트남 여성의 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9-11.
  6. 김현재 (2007), 베트남 여성의 한국으로 결혼이민: 그 배경과 원인에 대한 고찰, 동아연구, 52, pp. 219-254.
  7. 장진경, 전종미, 신유경 (2009), 심층면접을 통한 다문화가족의 레질리언스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 (6), pp. 21-38.
  8. 윤상석, 이동은 (2012), 다문화가정의 대화분석 연구- 부모 정체성의 회귀적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56, pp. 149-181.
  9. 홍종명 (2012), 다문화 이중언어 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결혼이민자 모국어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16(3), pp. 279-302.
  10. 김연수 (2007), 서울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1, pp. 1-36.
  11. 박용순, 송진영, 이순자 (2012), 결혼이주여성의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에 관한연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6(2), pp. 88-110.
  12. 성현란 (2011),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 감수성 및 아내문화수용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결혼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국경북지역 다문화가정, 한국심리학회지, 17(2), pp. 219-239.
  13. 이영주 (2007), 다문화가족 아동의 특성에 따른 적응 요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13 (1), pp. 79-101.
  14. 박현선 외 (2012), 다문화 가정의 이중언어, 이중문화적 양육 환경이 자녀 발달에 미치는 영향-어머니 양육참여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3(1), pp. 365-388.
  15. 최병두, 김영경 (2011), 외국인 이주자의 관련 정책 및 지원활동에 관한 인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4), pp. 357-380.
  16. 황미혜 (2011), 결혼여성 이민자의 인권문제와 사회통합복지 방안연구, 다문화와 평화, 5(1), pp. 1-28.
  17. 최인려 (2011), 다문화 가정의 의복 실태와 섬유 선호도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9(4), pp. 863-875.
  18. 이윤정 (2010), 다문화가정 여성의 의생활착의습관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1(3), pp. 395-410.
  19. KORA (2012), 2012년 베트남 경제전망, pp. 1-3.
  20. Iternational Monetary Fund,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2012", 자료검색일 2013. 7. 25, http://www.imf.org/external/pubs/ft/weo/2012/02/pdf/text.pdf
  21. 하밍타잉 (2005), 1992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국제결혼에 대한 연구-베트남 여성의 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3-24.
  22. 신유경, 장진경 (2010), 문화상호주의적 관점에서 본 베트남 다문화 가족의 가족생활적응 사례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3), pp. 109-122.
  23. 부씬투이 (2006), 베트남, 베트남 사람들, 배양수 역, 서울: 대원사, pp. 221-225.
  24. 채옥희, 홍달아기 (2007),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사례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1), pp. 61-73.
  25. 양선화 외 (2004), 외국인 주부의 인권과 복지에 관한 연구: 광주, 전남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16, pp. 127-149.
  26. 하밍타잉 (2005), 1992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국제결혼에 대한 연구-베트남 여성의 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3.
  27. 이윤정 (2010), 다문화가정 여성의 의생활착의습관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1(3), pp. 395-396.
  28. 하밍타잉 (2005), 1992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국제결혼에 대한 연구-베트남 여성의 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9.
  29. Shim, S. & Chen, Y. Q. (1996), Acculturation Characteristics and Apparel Shopping Orientations: Chinese Students and Spouses from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Residing in the Southwest,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4(3), pp. 204-215. https://doi.org/10.1177/0887302X9601400306
  30. 이윤정, 이재일 (2004), 이차원적 문화적응이론을 토대로 한 한국계 미국인 소비자들의 패션 및 쇼핑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12), pp. 1545-1553.
  31. Gbadamosi, A. (2012), Acculturation: An exploratory study of clothing consumption among Black African women in London (UK),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6(1), pp. 5-20. https://doi.org/10.1108/13612021211203005
  32. Youn, S. & Lee, K. (2012), Acculturation, Cultural Orientation, and Clothing Involve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6), pp. 641-652. https://doi.org/10.5850/JKSCT.2012.36.6.641
  33. 이희남, 한승희 (2006),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전통복식에 대한 인식차이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0(4), pp. 623-632.
  34. 조우현, 김문영 (2010), 한복의 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 복식, 60(2), pp. 130-143.
  35. 최선형, 정인희, 강순제 (1998), 한국도시여성의 한복 착용에 대한 의식-서울, 대전, 부산을 중심으로-, 복식, 35, pp. 253-264.
  36. 황춘섭 (1977), 우리나라 옷에 대한 현대인의 의식과 착용실태에 관한연구-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복식, 1, pp. 119-128.
  37. 최영미, 조효순 (1989), 한복의 구매실태 및 구매요인에 관한 분석연구-서울시내 거주하는 주부를 중심으로-, 복식, 13, pp. 135-150.
  38. 두산동아, "베트남의 문화", 자료검색일 2013. 7. 25,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77638&mobile&categoryId=200000970
  39. 하밍타잉 (2005), 1992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국제결혼에 대한 연구-베트남 여성의 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8-60.
  40. 정인희, 최선형, 강순제 (2007), 한국 도시 여성의 한복착용에 대한 의식-서울, 대전, 부산을 중심으로, 복식, 35, pp. 253-264.
  41. 곽태기, 남미우 (2002), 남녀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고 한복의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복식, 52(4), pp. 25-38.
  42. 이주현 외 (2001), 현대 한국인의 한복 착용, 한국의류학회지, 25(1), pp. 37-49.
  43. 임성경, 한명숙 (2008) 한국과 미국 여대생의 문화에 따른 의복가치관의 비교연구, 복식문화연구, 16(4), pp. 619-633.
  44. 임성경 (2006) 문화의 차이에 따른 의복 가치관과 의복구매행동 비교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36-75.
  45. Hsu, Hsiu-Ju. (2003), National Culture and Clothing Values: A Cross-national Study of Taiwan and United States Consumers, Doctoral Thesis, Oregon State University.
  46. 이은영, 정인희 (2010), 의류학연구방법론, 서울: 교문사, pp. 98-99.
  47. 김세희, 이은영 (2004), 의복 쇼핑 성향의 개념적 구조 규명, 한국의류학회지, 28(6), pp. 830-841.
  48. 임경복 (2006), 의복관여도에 따른 쇼핑가치와 의복쇼핑성향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4(4), pp. 65-74.
  49. 황진숙, 양화영 (2006), 청소년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의복쇼핑성향과 의류제품의 인터넷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30(1), pp. 71-82.
  50. 권수애, 최종명, 이은경 (1998), 한복의 착용실태와 구매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7(1), pp. 129-138.
  51. 최인려 (2011), 다문화 가정의 의복 실태와 섬유 선호도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9(4), p. 874.
  52. 이윤정 (2010), 다문화가정 여성의 의생활착의습관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1(3), p. 408.

Cited by

  1. Culture Adaptive Attitudes and Donning Practices of Traditional Dress among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vol.64, pp.5, 2014, https://doi.org/10.7233/jksc.2014.64.5.154
  2. Clothing adaptation and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according to acculturation in married Chinese immigrant women vol.23, pp.6, 2015, https://doi.org/10.7741/rjcc.2015.23.6.972
  3. Culture Adaptive Attitudes and Donning Practices of Traditional Dress Among Japa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vol.65, pp.6, 2015, https://doi.org/10.7233/jksc.2015.65.6.063
  4.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패션 스타일링 교육 프로그램 개발 vol.22, pp.2, 2013, https://doi.org/10.12940/jfb.2018.22.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