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ype of Gender Role Identity in Older Korean Men

남성노인의 성역할정체감 유형 연구

  • Received : 2013.06.17
  • Accepted : 2013.07.31
  • Published : 2013.09.28

Abstract

Gender role identity is a key subject toward adaptation in later life. In this paper, we tried to understand the specific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gender role identity in view of older men. The research collected and examined 40 representative descriptions representing gender role identity, including 20 for masculinity and 20 for femininity from 40 older men. We obtained four types of gender role identity of older men from this research. "Powerful-expressive type" is energetic and reveals his brave and dominant tendency when they are working. "Powerful-taciturn type" is strongly independent and has a firm conviction, but they do not express those characters and remain silent. "Powerful-paternal type" handles his work with a driving force, and has a tender character. "Paternal-caring type" finds his own worth in life by caring for his family and children, and considers others more than himself.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verify how the types of gender role identity are linked to psychosocial adaptive aspects, health behaviors, mental and physical health.

오늘날 남성노인들은 급변하는 세태에 적응해가면서 성역할정체감의 위기를 경험할 수 있으므로 이들의 관점에서 성역할정체감을 이해하기 위해 그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주관적이고 개별화된 경험으로서의 성역할정체감을 확인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남성성과 여성성을 나타내는 40개의 Q표본을 이용하여 40명의 남성노인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남성노인의 성역할정체감은 다음 네 가지 다양한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파워 표출형은 전통적인 남성성의 특성을 나타내는 유형으로 일을 추진함에 있어서 박력이 있으며 용감하고 지배적인 성향으로 카리스마를 겉으로 표출한다. 파워 과묵형 남성노인은 독립심이 강하고 소신이 있으나 이를 드러내기 보다는 묵묵히 행동으로 표현하는 성향을 지니고 있다. 파워 온정형 남성노인은 추진력 있게 큰 일을 잘 처리하며, 부드러운 성향의 소유자이다. 온정 돌봄형 남성노인은 가정과 아이를 돌보는 것에 보람을 느끼며, 남을 먼저 생각하는 이해심과 참을성이 있으며, 유순하고 부드러운 속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 분류된 노년기 남성의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역할정체감 유형 별 심리사회적 적응양상, 건강행위, 신체 건강과 정신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K. M. Bennett, "No Sissy Stuff: Towards a theory of masculinity and emotional expression in older widowed men," J. Aging Stud, Vol.21, pp.347-356, 2007. https://doi.org/10.1016/j.jaging.2007.05.002
  2. 김영혜, "노년기 젠더관계와 심리적 복지감-유배우 노인의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분담의 영향에 대하여", 한국인구학, 제27권 제1호, pp.1-30, 2004.
  3. 조정문, 남성학과 남성운동 Men's Studies & Men's Movement, 동문사, 2000.
  4. 여성모임 사량, 남성연구, 나라사랑, 1993.
  5. T. M. Calasanti, Theorizing age relations, In S. Biggs, A. Lowenstein and J. Hendricks (des) A Need for Theory, Baywood Press, 2003.
  6. 박진성, 안미, "중학교 운동선수의 성역할정체감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4권, 제6호, pp.793-808, 2003.
  7. 박수애, 조은경, "남성 성역할이 우리나라 남성들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8권, 제2호, pp77-103, 2002.
  8. J. L. Oliffe and M. J. Phillips, "Men, depression, and masculinities: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J. Mens Health, Vol.5, No.3, pp.194-202, 2009.
  9. H. A. Priess, S. M. Lindberg, and J. S. Hyde, "Adolescent gender role identity and mental health: gender intensification revisited," Child Dev, Vol.80, No.5, pp.1531-1544, 2009.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9.01349.x
  10. 이종화,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및 건강증진행위", 정신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09-118, 2005.
  11. 서지민, 김명희, 김주성, "노인 여성의 우울 관련 변인에 대한 판별분석", 정신간호학회지, 제15권, 제3호, pp.237-245, 2006.
  12. W. H. Courteney, "Constructions of masculinity and their influence on men's well-being: a theory of gender and health," Soc Sci Med, Vol.50, pp.1385-1401, 2000. https://doi.org/10.1016/S0277-9536(99)00390-1
  13. 이병숙, 김명애, 고효정, "한국인의 성역할정체감 검사 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제32권, 제3호, pp.373-383, 2002.
  14. 장하경, 서병숙, "성역할정체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간호학회지, 제29권, 제4호, pp.167-179, 1991.
  15. M. B. Littlefield, "Gender role identity and stress in African American women," J. Hum Behav Soc Environ, Vol.8, No.4, pp.93-104, 2003. https://doi.org/10.1300/J137v08n02_06
  16. 김흥규, Q 방법론-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17. 김명애, 박은아, 고성희, "Older women perspective on gender role identity in Korea,"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1st Global Congress for Qualitative Health Research, Seoul, Korea, 2011(6).
  18. 박병금, 노필순, "청소년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과 적응",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8호, pp.149-177, 2009.
  19. 김혜순, "한국의 가부장적 가치관에 대한 실증적 분석(II)", 사회과학논집, 제14권, 제1호, pp.197-216, 1995.
  20. 박은아, 고성희, 김명애, "청년기 남성이 지각하는 성역할정체감과 그 함의", 주관성연구, 제22권, pp.147-160, 2011.
  21. J. Fernandez and M. T. Coello, "Do the BSRI and PAQ really measure mascilinity and feminity?," Spanish J. Psychol, Vol.13, No.2, pp.1000-1009, 2010. https://doi.org/10.1017/S113874160000264X
  22. R. Isaac and A. Shah, "Sex role and marital adjustment in indian couples," Int J. Soc Psych, Vol.50, No.2, pp.129-141, 2004. https://doi.org/10.1177/0020764004040960
  23. K. Thompson, L. L. Glenn, and D. Vertein, "Comparison of masculine and feminine traits in a national sample of male and female nursing students," Am J. Mens Health, Vol.5, No.6, pp.477-487, 2011. https://doi.org/10.1177/1557988311404925
  24. 임나현, 하규수, "노년기 부부의 성역할 태도와 의사소통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1, pp.199-214,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1.199
  25. O. Ribeiro, C. Paul, and C. Nogueira, "Real men, real husbands: Caregiving and masculinities in later life," J. Aging Stud, Vol.21, pp.302-313, 2007. https://doi.org/10.1016/j.jaging.2007.05.005
  26. 김진국, "영호남 대학생의 상호간 차이지각 연구", 사회심리학연구, Vol.3, No.2, pp.113-147, 1987.
  27. S. P. Hooker, "The potential influence of masculine identity on health-improving behavior in midlife and older African American men," JMH, Vol.9, No.2, pp.79-88, 2012.
  28. C. J. Deutch and L. A. Gilbert, "Sex role stereotypes: Effect on perceptions of self and others, and on personal adjustment," J. Couns Psychol, Vol.23, pp.373-379, 1976. https://doi.org/10.1037/0022-0167.23.4.373
  29. N. T. Feather and J. G. Simon, "Positive and negative reactions to male and female success and failure in relation to the perceived status and sex typed appropriateness of occupations," J. Personal Soc Psychol, Vol.31, No.3, pp.536-548, 1975. https://doi.org/10.1037/h0076481
  30. M. J. McDermott, M. T. Tull. M. Soenke, M. Jakupcak, and K. L. Gratz, "Masculine gender role stres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 severity among inpatient male crack/cocaine users," Psychol Men Masc, Vol.11, No.3, pp.225-232, 2010. https://doi.org/10.1037/a0016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