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을 위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 투고 : 2013.07.29
  • 심사 : 2014.08.20
  • 발행 : 2013.09.28

초록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본 프로그램에 동의한 두 개의 초등학교 한부모 가정 아동 중 지원자를 받아 A학교를 실험군(12명)으로, B학교를 대조군(13명)으로 임의 배정하고 프로그램 시작 전에 자아존중감과 우울 척도를 이용하여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군에게는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을 위한 자아존감향상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실험처치는 실험군 12명을 6명씩 2집단으로 나누어 주 1회 40분씩 총 10회기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군, 대조군에게 자존감과 우울 척도를 이용하여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후 검사에서 실험군 1명의 자료가 결측되어 최종 실험군 11명, 대조군 13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대조군 보다 실험군이 유의한 수준에서 자아존중감이 증가(z=-2.499, p<.012, ES(d)=0.7)하고, 우울이 감소(z=-2.145, p<.032, ES(d)=-0.4)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testify the effect of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on their self-esteem and depression. Methods: The research design used in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research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n=11) and a control group(n=13). Data were analysed by using Mann-Whinety U test, Wilcoxon Signed Ranks, Cohen's d with SPSS(PASW)18.0 program.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cores for self-esteem(z=-2.499, p<.012, ES(d)=0.7) and depression(z=-2.145, p<.032, ES(d)=-0.4) in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should be used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to help them and to improve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http://w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578
  2. 오승환,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1.
  3. 조인희, 집단미술치료가 이혼가정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 보건복지부,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프로그램, 서울:보건복지부, 2006.
  5. J. P. Allern, C. Moore, G. P. Kupermine, and K. Bell, "Attachment and adolescent psychosoci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Vol.69, No.5, pp.1406-1419, 1998. https://doi.org/10.2307/1132274
  6. L. Hoyt, E. Cowen, J. Pedro-Carroll, and L. Aplert-Gillis, "Anxiety and Depression in Young Children of Divorce,"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19, No.1, pp.26-32, 1990.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1901_4
  7. 배주미,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증상과 인지변인의 지속성과 상호예측: 18개월 추적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8. 신정이, 황혜원, "초기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심리 사회적 적응에 대한 생태체계적 보호요인의 영향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3권, 제5호, pp.123-154, 2006.
  9. 서민자, 정민숙, "가족탄력성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 권, 제5호, pp.123-154, 2013.
  10. 신성희, 회복력 요인을 중심으로 한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모형구축,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1. 조성암, 이혼가정아동의 심리적 부적응 수준에 따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이,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2. M. Rog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3. J. Greenberg, S. Solomon, T. Pyszczynski, A. Rosenblatt, J. Burling, D. Lyon, L. Simon, and E. Pinel, "Why do people need self-esteem? Converging evidence that self-esteem serves an anxiety-buffering fun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3, No.1, pp.913-922, 1992. https://doi.org/10.1037/0022-3514.63.6.913
  14. J. F. Sowislo and U. Orth, "Does Low Self-Esteem Predict Depression and Anxiety?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Psychological Bulletin, Vol.139, No.1, pp.213-240, 2013. https://doi.org/10.1037/a0028931
  15. 이선화, 집단미술치료가 부자가정 아동의 자아 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6. 강순남, 자기성장프로그램이 한부모가족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부적응 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7. 박설미, 놀이 중심의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8. 정현숙, 유계숙, 가족관계, 서울:신정, 2002.
  19. 전병재,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촌, 제1권, pp.107-124, 1974.
  20. A. T. Beck and M. Kovacs, An Empirical-Clinical Approach toward a Definition of Childhood Depression in Childhood : Diagnosis, Treatment and Conceptual Models, Raven Press, pp.1-25, 1977.
  21. 조수철, 이영식, "한국형 소아 우울 척도의개발", 신경정신의학, 제29권, 제4호, pp.934-956, 1990.
  22. 정선아, 자아성장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3. 서영숙, 황은숙, "한부모 가정에 대한 반편견 유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205-227, 2002.
  24.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second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25. 최영미, 한부모가정 반편견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표현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6. 김정희, 정다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가 저소득층 한부모가족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 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0권, 제5호, pp.967-981, 2011.
  27. 최혜신, 새터민 아동의 미술치료 단일 사례연구-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8. 신주은,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9. 김혜린,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0. 김미한, "명상 캠프 프로그램이 아동 및 청소년 의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338-348, 2012.
  31. N. S. Robinson, J. Graber, and R. Hilsman, "Cognition and stress: Direct and moderating effects on depressive versus externalizing symptoms during the junior high school transi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4, No.3, pp.453-463, 1995. https://doi.org/10.1037/0021-843X.104.3.453
  32. U. Orth, R. W. Robins, and B. W. Robert, "Low Self-Esteem Prospectively Predict Depression in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5, No.3, pp.695-708, 2008. https://doi.org/10.1037/0022-3514.95.3.695

피인용 문헌

  1.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in Family on Adolescents' Depression vol.14, pp.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