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roduction of CB Policy in Korea and Community Business Policy in Japan

지역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도입방안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3.07.31
  • Accepted : 2013.08.19
  • Published : 2013.09.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functions and requirements of CB (community business) centering on the activation of localities based on research and cases in Japan where CB is discussed actively,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and plans for introducing CB in Korea. That is, we examined the utilization of CB fittingly for the condition of Korea centering on success factors derived from research and cases in Japan, and attempted to improve the roles of the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introducing CB as an excellent tool for the activation of localities. Analyze the cause of success factors of CB in Japan, success factors is separated institutional dimension from operational dimension. In the institutional dimension, efficient support systems for activating CB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regions. and in the operational dimension, CB leaders are enthusiastic, members participate actively, and intermediary supporting agencies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CB operation.

이 연구는 커뮤니티 재생의 수단으로서 CB의 활용방안을 연구한 것이다. 즉, CB를 통해 지역 커뮤니티 조직은 활성화시키고, CB조직이 전개하는 사업의 지속성을 기반으로 커뮤니티 조직구성원에 활력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CB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욱이 민간영역 중에서 영리추구를 최고의 목표로 설정하고 있는 기업과 느슨한 조직 동력을 갖는 자원봉사조직 등의 NGO NPO 조직 사이의 장점을 조합한 CB는 한국의 지역 커뮤니티 재생에 새로운 활력을 불러일으키는 수단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CB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일본의 연구와 사례를 검토 분석함으로써 지역 활성화를 중심으로 한 CB의 성공요인을 도출해내어 한국에의 도입방안을 도출하고 있다. 분석결과 일본에서 CB가 지니는 기능 내지 역할로는 첫째, CB의 가장 중요한 역할로써 지역과제의 공유기능을 생각할 수 있고, 둘째, 지역의 고용창출 기능을 들 수 있으며, 셋째, CB의 제3의 역할로써 지역에 필요한 서비스를 보완하는 기능을 생각할 수 있다.넷째, 일본의 경우 복지서비스, 환경보호, 일거리 창출 등 종래의 행정이 독점해왔던 분야에서 CB사업을 수행하는 단체의 활약이 현저하다. 즉, CB가 행정을 대체하는 기능을 한다는 점은 어느 정도 설명력이 있는 것이다. 다섯째, CB의 다섯 번째 역할로써 시장실패를 보완하는 기능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CB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로 인식될 수 있는 기능이 커뮤니티의 재생일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형기, 관의논리 민의논리, 비봉출판사, 1998.
  2. 林大樹, "日本におけるコミュニティビジネスと社會起業家の可能性", 一橋社會科學, 創刊号, pp.156-176, 2007.
  3. 齋藤槙, 社會起業家-社會責任ビジネスの新しい潮流-, 東京: 岩波書店, 2004.
  4. 赤松秀岳, 新千年紀のパラダイム-アドミニストレーション-下巻, 福岡: 九州大學出版會, 2004.
  5. 永澤映, 富と活力を生む!コミュニティビジネス, 東京: 日本地域社會研究所, 2005.
  6. 石井和平, 地域形成の思想, 東京: アーバンプロ出版センター, 2007.
  7. 호소우치 노부타카 편저, 지역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커뮤니티비즈니스 - 인간성 회복과 자율적인 사역사회 만들기, 한영혜 외 번역. 서울: 도서출판 아르케, 2007.
  8. 神戸都市問題研究所, "コミュニティビジネス", 都市政策, 第98号, pp.117-119, 2000.
  9. 早坂水智․山田晴義, "英國におけるコミュニティ.ビジネス組織に関する實態調査報告", 總合政策, 第3巻, 第2号, pp.177-196, 2001.
  10. 園 利宗 編著, 現場からのコミュニティビジネス 入門, 東京: 連合出版, 2004.
  11. 宮坂純一.矢倉伸太郎.西村剛, "コミュニティ.ビジネス概念の確立に向けて(I)-奈良県コミュニティ.ビジネスの経營學的研究序説", 産業と経濟, 第22巻, 第2号, pp.73-110, 2007.
  12. 細内信孝 編著, 地域を元氣にするコミュニティ.ビジネス-人間性の回復と自律型の地域社會づくり, 東京: ぎょうせい, 2004.
  13. 高寄昇三, コミュニティビジネスと自治体活性化, 東京 : 學陽書房, 2002.
  14. 橋本理, "コミュニティビジネス論の展開とその 問題", 社會學部紀要, 第38巻, 第2号, pp.5-42, 2007.
  15. 細内信孝, コミュニティ.ビジネス, 東京: 中央大學出版部, 2000.
  16. 今瀬政司, "次世代を担う社會サービス-コミュニティ.ビジネスによる新潮流", CIRK, 第7号, pp.11-14, 1998.
  17. 山崎丈夫, 下からのグローバリゼーション-もうひとつの地球村 は可能だ-, 東京: 新評社, 2006.
  18. 関東経済産業局, コミュニティビジネス 事例集 2006, 2006.
  19. 経濟産業省, 平成14年度 コミュニティ.ビジネスにおける自治体等とコミュニティ活動事業者の連携による地域経濟活性化事業實態等調査研究報告書, 2003.
  20. 神戸都市問題研究所, 地域を支え活性化するコミュニティ.ビジネスの課題と新たな方向性, 2002.
  21. 寺西章江, "日本におけるコミュニティ.ビジネスの實体と課題", Japan Ventures Review, No.10, 2007.
  22. http://law.e-gov.go.jp/ 일본 법령데이터 제공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