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ng Malaysian Youths and Adults'toward Hallyu Consciousness

말레이시아 청소년과 성인들의 한류 의식 비교

  • 조금주 (상명대학교 교양대학) ;
  • 장원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 Received : 2013.06.10
  • Accepted : 2013.08.13
  • Published : 2013.09.28

Abstract

Hallyu in Malaysia is considered to be in the growth stage as in countries such as Philippine, Myanmar, Hungary, and Uzbekistan. In the growth stage, Hallyu becomes increasingly popular and familiar to the general public and the sales of Hallyu-related products starts to increa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how Hallyu is perceived among Malaysian youths and adults. Analysis is carried out using FGD. The two groups are asked about what they think of Korea and the success of Hallyu, how much interest they have in foreign cultures in general, and how they come into contact with them. Based on these results, problems currently facing Hallyu and possible solutions are examine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interest in Hallyu among Malaysians varie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in their 20's have shown a much greater interest in Hallyu than the participants over 30's. But Malaysians are known to be relatively open-minded about accepting foreign cultures, and this is reflected in the current study. They view the popularity of Korean drama, movies, and music as a trend, rather than being intolerant of them. There is no concern for negativity toward Hallyu in Malaysia, but it is likely that Hallyu may be replaced by another foreign culture unless its influence is constantly maintained in the area.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evelop measures and models to not only retain, but strengthen Hallyu's influence.

말레이시아는 필리핀, 미얀마, 헝가리, 우즈베키스탄 등과 함께 한류성장단계로 분류된다. 성장단계는 한류가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지고 인기가 있으며 일반인 대상으로 한류 관련 상품의 판매가 도입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류성장단계에 속하는 말레이시아 청소년과 성인들의 한류에 대한 의식을 비교하는데 있다. 이 두집단을 대상으로 FGD(Focus Group Discussion) 를 통해 한국에 대한 인상, 다른 문화에 대한 관심과 접촉 경로, 한국 대중문화의 특징, 한류의 성공에 대한 인식, 한류의 문제점, 한류의 극복 과제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말레이시아인들의 한류에 대한 관심은 성별 및 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20대들은 남녀 모두 한류에 대한 비교적 높은 관심을 나타냈으나, 30대 이상에서는 그리 높은 호응도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말레이시아인들은 대체로 외래문화의 수용에 있어서 상당히 개방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한류에 대한 견해에서도 그대로 드러나 한국 드라마나 영화, 음악에 대한 배타적 태도보다는 하나의 유행적 흐름으로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반한류와 같은 배타적 태도를 염려할 필요는 없으나, 한류 영향력을 꾸준히 지켜가지 않고서는 언제든 타국의 문화로 대체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어, 한류의 지속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조금주, 장원호, 김익기, "대만과 한국 대학생들의 한류 의식 비교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3호, pp.77-102, 2013.
  2. KOTRA, 글로벌 한류동향, 2011(9).
  3.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년 대한민국 콘텐츠산업 7개 전망", KOCCA 포커스, 통권1호, pp.3-4, 2011. 2. 15.
  4.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한류동향보고서, 2011.
  5. 조금주, 장원호, 김익기, "대만과 한국 대학생들의 한류 의식 비교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3호, pp.77-102, 2013.
  6. 고정민, "한류지수(KWI)를 통한 한류현황 및 진단",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한류,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 이제는 품격이다, pp.6-7, 2010.
  7. 이윤경, 한류위기...실체는 있는가?,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한류,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 이제는 품격이다, pp.26-27, 2010.
  8. W. H. Jang, I. K. Kim, K. J. Cho, and J. E. Song, "Multi-Dimensional Dynamics of Hallu in the East-Asian Regio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제46권, 제3호, pp.73-92, 2012.
  9. 전용욱, 김성웅, "ASEAN 주요국 방송분야 규제 현황 분석 및 시사점 -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을 중심으로 -", 초점, 제24권, 제5호, pp.1-25, 2012.
  10. 임현진, 장원호, "동아시아 대중문화 소비의 새로운 흐름", 동아시아 국제협력과 통합중점연구단 국제컨퍼런스,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2013. 3. 29.
  11. http://www. visitkorea.or.kr
  12. 한국관광공사 마케팅본부 관광R&D센터
  13. http://www. UNCTAD
  14. http://www. IFPI
  15. 정용찬, 2012년 국제 방송시장과 수용자 통계조사 -[제1권] 종합보고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174, 2012.
  16. 이호영, 디지털 한류와 트랜스미디어 시대의 문화정책 방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50, 2012.
  17. Azizah Hamzah, Siti Ezaleila Mustafa, and S. H. Kwon, "The government and cultural industries : The cases of Korea and Malaysia," in A new dimension of collaborations beyond a country study, Korean studies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 pp.705-725, 2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