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fundamental study for applying of Unit modular housing production system in the domestic

국내 유닛 모듈러(Unit Modular) 주택생산시스템 적용을 위한 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

  • 이두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관리경제연구실) ;
  • 김균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관리경제연구실)
  • Received : 2011.11.25
  • Accepted : 2013.03.07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government has made a lot of efforts to realize 'low-carbon green growth', one of the national policy agendas, throughout the whole industries. The construction sector is not an exception,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are active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 In particular, buildings occupy more than 20% of the total national energy consumptions. Thus, it can be said that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of the residential buildings and reducing CO2 emission are the urgent national agenda. Moreover, as ordinary people find it more and more difficult to get a lease on housing, which has become an important social issue recently, a housing production system that can actively respond to market demands is in urgent need. To build an eco-friendly system that can maximize efficiency in construction,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and analyze the modular housing production system in the county and to find its problems. By suggesting the ways to improve the system, it aims to prepare for the base to revitalize the unit modular housing production system.

정부에서는 국가정책 아젠다인 '저탄소 녹색성장'을 실현시키기 위한 노력들을 전산업부문에 걸쳐 진행하고 있다. 건설산업 부문도 예외가 아니어서 에너지 및 온실가스 배출저감을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건축물은 국가 총에너지소비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주거건물의 에너지 효율화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저감은 국가적으로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주택전세난으로 서민들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어, 시장수요에 능동적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주택생산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적이고 시공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국내 유닛 모듈러 주택생산체계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함으로써 유닛 모듈러 주택의 활성화 기반을 위한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오 (2007). "군용 대규모 모듈러 건축물의 공정분석 및 표준공기 설정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인환 (2008). "군 시설공사를 위한 모듈러시스템 개선방안".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박재식.박태근 (2006). "모듈러 공법을 적용한 군시설공사의 초기투자비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6권 제1호, pp. 589-592
  4. 유민.오정환.이미혜.유동영.박태근 (2005). "모듈러 건축물의 공기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5권 제1호, pp. 201-204
  5. 이광복 (2011). "유닛 모듈러 공법의 효율성 확보를 위한 공장제작, 운반, 현장설치의 표준공정 제안".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이영호.이두헌.김균태 (2012). "유닛모듈러 건축물의 설계 초기단계에서의 고려사항".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3권 제6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33-142
  7. 임석호.박금성.채창우.권보민 (2007). "친환경 유닛모듈라 주택의 공장생산시스템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18권 제4권, pp. 27-35
  8. 조봉호.이재승.차희성 (2010). "식스-시그마를 이용한 군 독신자 숙소용 모듈러 건축 시스템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3권 제6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33-142
  9. 포항산업과학연구원 (2009). "저탄소 녹색성장 지원 및 국방예산 절감을 위한 모듈러 공법 군시설 적용방안"
  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4). "공공건설사업 성과측정 및 지표개발"
  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1). "탈현장 초고속 주택시공기술 개발"
  12.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8). "새 정부의 건설 규제 개혁 과제"
  13. NAHB Research Center(1998). "Factory and Site-Built Housing". HUD

Cited by

  1. Marketing Strategy and Influential Factors based on the Attributes of Unit Modular System vol.15, pp.1,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1.078
  2. Analysis of cost-increasing risk factors in modular construction in Korea using FMEA vol.21, pp.6, 2017, https://doi.org/10.1007/s12205-016-01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