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Question Generated in Learning Science by Presenting Method of Question Phenomena

의문 상황 제시 방법에 따라 과학 학습에서 생성된 의문의 특성 분석

  • Received : 2013.10.25
  • Accepted : 2013.12.09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proper methods of presenting question materials for generate of various question by comparing type, level, objectivity, manipulation of question in the presenting methods of question phenomena. I selected and showed actual objects, movies, and photographs as ways of presenting question materials, to each of which three question tasks were assigned. The generated questions by students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question of conjectural, predictive, methodological, exploratory, verificational, qualitative, quantitative, simple-manipulative, pre-manipulative questions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frequencies in the cases of the presentation of photographs and movies than in the cases of the presentation of actual objects. However, the question of post-manipulative questions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frequencies in the cases of the presentation of actual objects than in the cases of the presentation of photographs and movie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 methods of question task presentation in average frequencies with respect to causal and methodological, subjective questions. Thus, we have learned from this that methods of presenting question phenomena had influence on the students' question. This suggests that we should consider forms of presentation of question materials in planning the teaching-learning of ques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의문 상황 제시 방법에 따라 생성된 의문을 유형, 수준, 객관도, 조작의 기준에 따라 비교하여, 다양한 의문을 생성하기 위한 적절한 의문 상황 제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9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형설계로 반복제시의 효과가 연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의문 상황 제시방법은 실물 동영상 사진자료로 선정하여, 각 의문 상황 제시 방법 별 3가지 의문 과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시된 의문 상황에 따라 학생 개개인이 20분간 개별적으로 의문을 생성하여 의문기록지에 작성하도록 하였다. 생성된 의문은 의문의 유형, 수준, 객관성, 조작에 따른 분석틀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추측적 의문, 예측적 의문, 방법적 의문, 탐색적 의문, 확인적 의문, 정성적 의문, 정량적 의문, 비조작적 의문, 조작 전 의문을 생성하는데 사진과 동영상으로 의문 상황을 제시한 경우, 실물로 제시한 것에 비해 빈도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왔다. 하지만 조작 후 의문을 생성하는데 실물로 의문 상황을 제시한 경우 사진과 동영상 제시 방법으로 제시하는 것에 비해 빈도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왔다. 인과적 의문, 적용적 의문, 주관적 의문은 의문 상황 제시 방법에 상관없이 의문이 생성되었다. 이를 통해 의문 상황 제시 방법이 학생들의 의문 특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교사가 의문생성 교수 학습을 계획할 때 향상시키고자 하는 의문에 따라 의문 상황의 제시 형태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