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oes the Level of Hospital Caseloads Influences on the Length of Stay for the Delivery Inpatients

입원환자의 집중도 수준에 따른 재원일수의 변이 분석: 분만환자를 중심으로

  • 문경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
  • 이광수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 Received : 2013.04.26
  • Accepted : 2013.07.15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hospital caseloads and length of stay for the delivery patients. The differences of hospital caseloads were measured by the Internal Herfindahl Index, which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delivery patient in a hospital. And the structure variables of hospitals such as the number of bed, the number of treatment, and the number of doctors and nurses per 100 beds were included as control variables. And average length of stay of delivery patients wa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Concentration status of delivery patients was measured in two models: (1) first model represents the concentration level of delivery patient in all hospital patients, (2) second model represents the concentration level of delivery patient in all obstetrics and gynecology patients. In regression analysis, patient concentration index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variation of average length of stay in two models. But the number of delivery patients and number of bed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umber of delivery patient variable showed negative regression coefficient with average length of stay and the number of beds showed positive coefficient with average length of stay. This study result indicated that the volume of delivery patients in a hospital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reducing the length of stay of delivery patients. Patient volume could contribute i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atient care in a hospital.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한 2009년 환자표본자료를 이용하여 병원의 환자집중도 수준과 분만환자의 평균재원일수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병원에 내원한 분만환자의 집중도는 DRGs(Diagnosis Related Groups)를 이용하여 생성된 내부허핀달지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에서는 병상 수, 분만환자 수, 100병상 당 의사 수, 100병상 당 간호사 수 같은 병원의 구조변수를 통제변수로 사용하였고, 분만환자의 평균재원일수는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분만환자의 집중화에 따른 재원일수 변이의 분석을 위해 모형 1에서는 병원의 모든 입원환자들 중 분만입원환자의 집중화정도를 분석하였고, 모형 2에서는 모든 산부인과 관련 환자들 중 분만입원환자의 집중화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환자집중도는 두 모형 모두 평균재원일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분만환자 수와 병상 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분만환자 수 변수는 평균재원일수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병상 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구결과는 병원에 내원한 분만환자의 집중도 지수 보다는 분만환자 수가 평균재원일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자 수는 병원에서 진료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민건강보험공단, 2011년 건강보험통계연보, 국민건강보험공단, 2011.
  2. 윤종록, 장재식, "병원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서비스지향성과 고객 지향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경영컨설팅 리뷰, 제1권, 제2호, pp.1-28, 2010.
  3. 정우진, "중소병원 발전구상(I): 병원전문화를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제6권, pp.11-19, 1997.
  4. J. E. Schneider, T. R. Miller, R. L. Ohsfeldt, M. A. Morrisey, B. A. Zelner, and P. X. Li, "The Economics of Specialty Hospitals," Medical Care Research and Review, Vol.65, No.5, pp.531-553, 2008. https://doi.org/10.1177/1077558708316687
  5. 이기효, "병원의 전략경영과정", 병원경영학회지, 제1권, 제1호, pp.203-247, 1996.
  6. 이광수, 전기홍, "의료기관 서비스 전문화 수준의 측정 및 분석", 보건행정학회지, 제18권, 제2호, pp.67-85, 2008.
  7. S. R. Eastaugh, "Specialization and Hospital Costs: Benefits of Trimming Product Lines," Journal of Health Care Finance, Vol.32, No.4, pp.29-38, 2006.
  8. J. R. Barro, R. S. Huckman, and D. P. Kessler, "The Effects of Cardiac Specialty Hospitals on the Cost and Quality of Medical Care," Journal of Health Economics, Vol.25, pp.702-721, 2006. https://doi.org/10.1016/j.jhealeco.2005.11.001
  9. 김영훈, 문재우, 김기훈, "재원일별 진료비 발생양상과 재원일수의 결정요인", 병원경영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5-26, 2010.
  1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OECD Health Data 201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11.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State of World Population 2010,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10.
  12. G. Fournier and J. Mitchell, "Hospital Costs and Competition for Services: A Multiproduct Analysi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74, No.4, pp.627-634, 1992. https://doi.org/10.2307/2109376
  13. Carey Kathleen, "A Panel Data Design for Estimation of Hospital Cost Function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79, No.3, pp.443-453, 1997. https://doi.org/10.1162/003465300556850
  14. Carey Kathleen and James F Burgess JR, "On Measuring the Hospital Cost/Quality Trade-off," Health Economics, Vol.8, pp.509-520, 1999. https://doi.org/10.1002/(SICI)1099-1050(199909)8:6<509::AID-HEC460>3.0.CO;2-0
  15. J. Zwanziger, G. A. Melnick, and L. Simonson, "Differentiation and Specialization in the California Hospital Industry 1983 to 1988," Medical Care, Vol.34, No.4, pp.361-372, 1996. https://doi.org/10.1097/00005650-199604000-00007
  16. 양종현, 장동민, "국립대병원과 사립대병원의 효율성 비교분석",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15권, 제2호, pp.94-122, 2009.
  17. 배세영, 이영환, 김용하, "우리나라 대학병원의 효율성과 생산성 변화의 수렴성 분석",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0권, 제3호, pp.53-95, 2009.
  18. 박병상, 이용균, 김윤신, "병원의 수익성 관련 요인분석 - 의료수익의료이익율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6호, pp.196-206, 2009.
  19. D. A. Dayhoff and J. Cromwell, "Measuring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Hospital Caseloads: a Conceptual and Empirical Analysis," Health Services Research, Vol.28, No.3, pp.293-312, 1993.
  2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환자표본자료(HIRANPS) 활용교육,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2.
  21. 이광수, 전기홍, "광역시소재 병원을 대상으로 한 전문화 수준의 다년간 추세분석", 보건행정학회지, 제20권, 제3호, pp.21-35, 2010.
  22. 김숙정, "우리나라 병원의 수익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비즈니스리뷰, 제5권, 제1호, pp.113-129, 2012.
  23. 김원중, 이용철, 강성홍, "중소병원의 전문화와 경영성과 - 수익성 분석을 중심으로", 병원경영학회지, 제4권, 제2호, pp.85-105, 1999.
  24. 정용모, "의료기관의 인건비투자효율과 의료 이익률 간의 관계",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5권, 제1호, pp.77-85, 2011.
  25. D. Dranove, "Rate-setting by Diagnosis Related Groups and Hospital Specialization," RAND Journal of Economics, Vol.18, No.3, pp.417-427, 1987. https://doi.org/10.2307/2555606
  26. J. E. Schneider, R. L. Ohsfeldt, M. A. Morrisey, P. X. Li, T. R. Miller, and B. A. Zelner, "Effects of Specialty Hospitals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General Hospitals 1997-2004," Inquiry, Vol.44, pp.321-334, 2007. https://doi.org/10.5034/inquiryjrnl_44.3.321
  27. K. S. Lee, K. H. Chun, and J. S. Lee, "Reforming the Hospital Service Structure to Improve Efficiency: Urban Hospital Specialization," Health Policy, Vol.87, pp.41-49, 2008. https://doi.org/10.1016/j.healthpol.2007.10.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