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atory Study on the Impact of News Literacy Self-Efficacy on News Content Usage: Based on News Consumers in 20s

뉴스 리터러시 자기 효능감의 뉴스콘텐츠 이용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20대 뉴스 소비자를 중심으로

  • 이정훈 (대진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이두황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Received : 2013.07.02
  • Accepted : 2013.07.25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introduce 'news literacy'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evaluate news education in digital age. Specifically, this study conceptually defined news literacy as news literacy self-efficacy and empirically tested how this variable is associated with other related determinants including users' news media consumption pattern, news knowledge structure on news content production, and involvement with news. The findings showed that users' 'searching/understanding' news literacy self-efficacy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ir knowledge structure and involvement with news, whereas users' 'sharing/expressing' news literacy self-efficacy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ir knowledge structure. The findings also demonstrated that users' 'searching/understanding' news literacy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their consumption of new types of news media, whereas users' 'sharing/expressing' news literacy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their consumption of traditional news media. As a result, this study practically suggests how news literacy is associated with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news consumption and news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뉴스 교육을 평가할 수 있는 토대로서 '뉴스 리터러시' 개념을 제안하고 실증적 검증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뉴스리터러시를 뉴스리터러시 자기 효능감으로 개념적으로 정의를 하고 어떻게 이 변수가 뉴스 소비자의 뉴스 미디어 소비 형태, 뉴스 콘텐츠에 대한 지식체계, 그리고 뉴스처리 관여도를 포함한 관련 결정요인들과 관련되는지 온라인 서베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검색/이해' 뉴스리터러시 자기 효능감은 뉴스 소비자의 뉴스 콘텐츠에 대한 지식 체계에 의해 긍정적으로 영향을 받고 뉴스 처리 관여도의 의해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전달/표현' 뉴스리터러시 자기 효능감은 소비자의 뉴스 콘텐츠에 대한 지식 체계와 전통적인 뉴스미디어 사용에 의해 긍정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뉴스 교육의 구성 요소가 뉴스 리터러시에 어떤 형태로 연관되고 이렇게 확립된 뉴스 리터러시가 실질적으로 뉴스 소비에 어떤 방식으로 연관 되는지를 하나의 틀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R. D. Putnam, Bowling Along: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Simon & Schuster, 2000.
  2. J. Hartley, Understanding News, Methen, 1982.
  3. C. D. MacDougall, The Press and Its Problems, W.M.C. Brown Company Pub, 1964.
  4. 이강수, 뉴스론: 미디어 사회학적 연구, 나남, 2011.
  5. W. L. Bennett, News: The Political Illusion, Longman, 2009.
  6. 이동신, 정치사회화,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7. J. B. Thompson, The Media and Modernity: A Social Theory of the Media, Polity, 1995.
  8. B. Axford and R. Huggins, New Media and Politics, Sage, 2001
  9. 김영주, 정재민, 국민의 뉴스 소비,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10. Pew Research Center, Pew Biennual news consumption survey, Pew Research, 2010.
  11. Associated Press (AP), A new model for news: Studying the deep structure of young adult news consumption: A research report from the Associated Press and the context-based research group, AP, 2008
  12. N. Carr, The Shallows, Brockman, Inc, 2011.
  13.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 신문의 미래전략: 디지털 시대의 건강한 뉴스 생태계를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14. 김기태, 권혁남, 김양은, NIE 프로그램의 내용분석 및 효과 검증, 신문발전위원회, 2007.
  15. 김광섭, 지역신문을 활용한 사회과 탐구수업의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16. 김소영, NIE 수업의 중학교 사회과 학업성취와 학습태도와 학습태도에의 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17. 오승희, NIE를 이용한 토론학습이 학습자의 언어적 지능에 따라 도덕과 흥미, 동기,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18. 황유선, 박진우, 김위근, NIE와 교육 효과,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서, 2011.
  19. 김양은,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20. 이미나, "청소년 수용자들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효과 연구: 파당적 뉴스에 대한 프레이밍과 객관보도규범 교육효과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제43권, 제1호, pp.111-155, 2011.
  21. J. Dilevko, "Bibliographic instruction and Mass News Literacy: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Librarcy Quarterly, Vol.68, No.4, pp.431-474, 1998. https://doi.org/10.1086/603002
  22. 이정훈, "뉴스 리터러시: 새로운 뉴스 교육의 이론적 탐색",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Vol.19, pp.66-95, 2012.
  23. J. Potter, Theory of Media Literacy: A Cognitive approach, Sage, 2004.
  24. A. Bandura,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Prentice-Hall, 1986.
  25.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H. Freeman, 1997.
  26. T. Gitlin,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making the new Lef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27. J. L. Zaichkowsky,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2, No.3, pp.341-352, 1986.
  28. R. Celsi and J. Olson, "The role of involvement in attention and comprehension processes," Th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5, pp.210-224, 1988. https://doi.org/10.1086/209158
  29. A. Bandura, Guide for Constructing Self-Efficacy Scales in T. Urdan, and F. Paiares, (Eds.), Self -Efficacy Beliefs of Adolescents. Information Age Publishing, 2006.
  30. 이성균, 윤영두, "미디어 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모델 연구: 온라인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468-476,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468
  31. 최이정, "웹 콘텐츠의 정보제시유형이 어린이 뉴스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3호, pp.113-122,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