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and Analysis on King Heungdeok's Prohibition of Clothing

흥덕왕 복식제도 원전 고찰 및 분석

  • Jeon, Hyun-Sil (Dept. of Clothing & Textil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ang, Soon-Che (Dept. of Clothing & Textil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전현실 (가톨릭대학교 의류학 전공) ;
  • 강순제 (가톨릭대학교 의류학 전공)
  • Received : 2013.04.11
  • Accepted : 2013.07.16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isnomers about King Heungdeok's "Prohibition of Clothing" by comparing the writings of Jeongdukbon [正德本] and Juzabon [鑄字本], which were different versions of the original texts of "Samguksagi [三國史記]", with 11 related books written between 1948 and 2012. In addition, this study is reconsidered the terms about several clothes as well as the values of fabrics. The study has come up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s. 1. We suggested the correction about a misnomer in the 11 books and the misnomers for fabric items appeared most frequently. The records of Jeongdukbon about some of the items were different from ones of Juzabon, especially regarding noble woman's sash were written according to the record of Juzabon in most of the related books. However, when the commonplace woman's sash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we could suppose that the record of Jeongdukbon was more reliable. 2. We examined the terms for Yodae [腰帶] and Yoban. It can be inferred from the original texts that the Yodae were different in material and function compared to the Dae [帶]. In other words, the wearing position of male's metal Yodae was the waist, whereas the females wore their Dae made of fabrics on their chest. An example of this can be seen from the female clay images of Tomb Yonggang-dong [龍江洞]. Moreover, female's Yo and Ban were distinct items on the basis of documents. For this reason, we suggested that Yodae and Yoban should be separated and written in books. 3. We suggested that Ju [紬, silk tabby] might be valuable according to an result of analysis about the value of recorded fabrics. Besides, Po [布, hempcloth] presumably were used as higher quality fabric than Myeonju [綿紬, silk tabby] on some items because Po was graded on the density by each class.

Keywords

References

  1. 이강래 (2007), 三國史記形成論, 서울: 신서원, p. 17, p. 223.
  2. 신형식 (2011), 삼국사기의 종합적 연구-한국고대사의 심층적 분석-, 서울: 경인문화사, p. 4.
  3. 이강래 (2007), 三國史記形成論, 서울: 신서원, pp. 159-163, pp. 177-178.
  4. 강경구 (1997), 三國史記原典硏究: 借字表記體系的檢討, 서울: 학연문화사, pp. 17-18.
  5. 김부식 (1931), 三國史記, 京城: 古典刊行會.
  6. 靑柳綱太郎편 (1975), 原文和訳對照三國史記下, 東京: 名著出版.
  7. 김정배 교감 (1982), 校勘三國史記(수정 3판),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8. 조병순 (1984), 增修補註三國史記, 서울: 誠庵古書博物館
  9. 김부식 저, 이강래 교감 (1998), 원본 삼국사기, 서울: 한길사.
  10. 김부식 (1997), 삼국사기 3, 이재호 역, 서울: 솔, pp. 15-16.
  11. 学習院大學東洋文化硏究所편 (1986), 三國史記(鑄字本), 東京: 學習院大學東洋文化硏究所.
  12. 정구복 외 (1997), 譯註三國史記2-번역편-,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3. 김부식 (1997), 삼국사기 1, 이재호 역, 서울: 솔.
  14. 김부식 (1998), 삼국사기 II, 이강래 역, 서울: 한길사.
  15. 이여성 (1947), 朝鮮服飾考, 京城: 白楊堂, pp. 108-109.
  16. 김동욱 (1979 a), 신라통일기 이후의 복식-흥덕왕 복식 금제와 관련하여-, 증보 韓國服飾史硏究, 서울: 아세아문화사.
  17. 김동욱 (1979 b), 흥덕왕 복식 금제의 연구-신라말기 복식 再構를 중심으로-, 증보 韓國服飾史硏究, 서울: 아세아문화사.
  18. 김동욱 (1982), 신라통일기의 복식, 한국의 복식, 서울: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 김희정 (1995), 裳과 裙에 관한 연구-統一新羅時代까지 -,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김진구 (1997), 三國史記의 服飾用語硏究(I), 복식문화연구, 5(1).
  21. 구인숙 (1998), 경주 황성동고분출토 토용의 복식사적 의미, 복식, 13.
  22. 김진구 (1998), 三國史記의 服飾硏究III-色服의 織物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6(2).
  23. 전혜숙 (1998), 신라통일기 정치적 상황과 복식연구-흥덕왕 복식금제에 나타난 복식실태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6(2).
  24. 김진구 (1999), 三國史記의 服飾硏究VI-色服의 服飾 附屬品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7(3).
  25. 고부자 (2000), 경주 용강동출토 토용복식고, 고고역사학지, 16.
  26. 권준희 (2001), 신라복식의 변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권준희, 조우현 (2002), 統一新羅內衣, 短衣考, 복식, 52(2).
  28. 권준희, 조우현, 남윤자 (2002), 統一新羅의 치마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3/4).
  29. 김정진 (2008), 경주 용강동 고분 출토 토용의 복식사적 의의, 한복문화, 11(1).
  30. 박남수 (2011.12), 신라의 衣生活과 織物생산, 한국고대사연구, 64.
  31. 석주선 (1971), 한국복식사, 서울: 보진재, pp. 28-29.
  32. 유희경 (1975), 한국복식사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 77-78.
  33. 김동욱 (1979 a), 신라통일기 이후의 복식-흥덕왕 복식 금제와 관련하여-, 증보 韓國服飾史硏究, 서울: 아세아문화사. pp. 19-32.
  34. 김동욱 (1979 b), 흥덕왕 복식 금제의 연구-신라말기 복식 再構를 중심으로-, 증보 韓國服飾史硏究, 서울: 아세아문화사. pp. 87-127.
  35. 김동욱 (1982), 신라통일기의 복식, 한국의 복식, 서울: 한국문화재보호협회, pp. 69-82.
  36. 임명미 (1996), 한국의 복식문화(1), 서울: 경춘사, pp. 217-220.
  37. 유송옥 (1998), 한국복식사, 서울: 수학사, pp. 78-79.
  38. 안명숙, 김용서 (1998), 한국복식사, 서울: 예학사, pp. 49-50.
  39.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p. 80-81.
  40. 황의숙 외 (2010), 아름다운 한국복식, 서울: 수학사, pp. 55-56.
  41. 김정호 (2012), 우리옷 역사-2000년, 대전: 글누리, pp. 73-74.
  42. 諸橋轍次(1984), 大漢和辭典권10 (수정판), 東京: 大修館書店, p. 242.
  43. 김희정 (1995), 裳과 裙에 관한 연구-統一新羅時代까지 -,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8.
  44. 정구복 외 (1997), 譯註三國史記2-번역편-,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122.
  45. 三國史記 卷第33 雜志第2 色服: 平人女...帶只用綾 絹已下
  46. 김진구 (1999), 三國史記의 服飾硏究VI-色服의 服飾 附屬品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7(3). p. 343.
  47. 諸橋轍次(1984), 大漢和辭典권1 (수정판), 東京: 大修館書店, p. 685.
  48. 민중서림편집국 (1998), 漢韓大字典(제2판), 서울: 민중서림, p. 168.
  49. 諸橋轍次(1984), 大漢和辭典권2 (수정판), 東京: 大修館書店, p. 750.
  50. 김동욱 (1979 a), 신라통일기 이후의 복식-흥덕왕 복식 금제와 관련하여-, 증보 韓國服飾史硏究, 서울: 아세아문화사. p. 24.
  51. 김동욱 (1979 b), 흥덕왕 복식 금제의 연구-신라말기 복식 再構를 중심으로-, 증보 韓國服飾史硏究, 서울: 아세아문화사. p. 90.
  52. 김동욱 (1982), 신라통일기의 복식, 한국의 복식, 서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pp. 75-76.
  53. 김희정 (1995), 裳과 裙에 관한 연구-統一新羅時代까지 -,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1-112.
  54. 김진구 (1997), 三國史記의 服飾用語硏究(I), 복식문화연구, 5(1). p.4
  55. 고부자 (2000), 경주 용강동출토 토용복식고, 고고역사학지, 16. p. 453.
  56. 권준희 (2001), 신라복식의 변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81-182.
  57. 권준희, 조우현, 남윤자 (2002), 統一新羅의 치마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3/4), pp. 170-171
  58. 박남수 (2011.12), 신라의 衣生活과 織物생산, 한국고대사연구, 64. p. 452.
  59. 구인숙 (1998), 경주 황성동고분출토 토용의 복식사적 의미, 복식, 13. p. 35.
  60. 박남수 (2011.12), 신라의 衣生活과 織物생산, 한국고대사연구, 64, p. 463, p. 465, p. 467, pp. 469-470.
  61. 김정진 (2008), 경주 용강동 고분 출토 토용의 복식사적 의의, 한복문화, 11(1)., p. 17.
  62. 조효숙 (2006), 옷감과 바느질,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서울: 두산동아, p. 76.
  63. 김진구 (1998), 三國史記의 服飾硏究III-色服의 織物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6(2). p. 179.
  64. 김진구 (1999), 三國史記의 服飾硏究VI-色服의 服飾附屬品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7(3). p. 344,
  65. 김진구 (1999), 三國史記의 服飾硏究VI-色服의 服飾附屬品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7(3). pp. 354-355.
  66. 권준희, 조우현 (2002), 統一新羅內衣, 短衣考, 복식, 52(2). p. 106.
  67. 전현실, 강순제 (2011), 고대 한일 관계에서 본 평직 견직물 紬, 絁에 관한 연구, 복식, 61(4), p. 120.
  68. 김정진 (2008), 경주 용강동 고분 출토 토용의 복식사적 의의, 한복문화, 11(1). p. 19.
  69. 전혜숙 (1998), 신라통일기 정치적 상황과 복식연구-흥덕왕 복식금제에 나타난 복식실태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6(2). pp. 188-189, pp. 192-195.
  70. 김진구 (1998), 三國史記의 服飾硏究 III-色服의 織物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6(2). p. 176.
  71. 박남수 (2011.12), 신라의 衣生活과 織物생산, 한국고대사연구, 64, p. 469
  72. 전현실, 강순제 (2011), 고대 한일 관계에서 본 평직 견직물 紬, 絁에 관한 연구, 복식, 61(4), pp. 119-120.
  73. 전현실, 강순제 (2011), 고대 한일 관계에서 본 평직 견직물 紬, 絁에 관한 연구, 복식, 61(4), p.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