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Qualitative Study on Single Mother's Experiences on a Healthcare Support Program

한부모 여성가장의 건강권 지원 체험에 대한 질적 연구

  • Received : 2013.05.02
  • Accepted : 2013.07.08
  • Published : 2013.07.28

Abstract

Health is an essential element of human living and participation in society. Due to its significance, government tries to maintain the healthy life of tis people by providing health care and enhancement systems that focus on health welfare. Despite such efforts, there is still a loophole in the public system. The health problem in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especially single mothers, becomes the cause of poverty, and the poverty again results in the poor health conditions. That is why the private sector became interested in this health issue. In this case study about the participants in the healthcare support programs for single mothers in the private sector, their experience and change related on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were investigated in depth. As results, the following significance and quantitative performance in supporting the health right for single mothers were explored. Since single mothers could not have cared for their health because their duty for not only parenting but also family's living, th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y attained good fortunes and their own social networks. Moreover, their life attitude changed to active and their family relationship was also improved as they got out of ambiguous anxiety of health and attained self confidence.

건강은 인간의 삶에 있어 생계는 물론 사회참여의 중요한 부분이 되는 핵심적 요소이다. 따라서 국가에서는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 관리하기 위한 의료보장 및 건강증진 체계를 마련함으로써 국민의 건강한 삶을 보장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취약계층, 특히 한부모 여성가장에게 건강문제는 빈곤의 원인이자 결과가 되고 있어 민간에서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민간영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한부모 여성가장 건강권 지원사업의 지원대상자들에게 그들의 건강권 지원 사업 참여 경험과 사업 참여에 의한 변화를 심도 있게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건강권 지원사업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의의와 성과를 발견하였다. 한부모 여성가장들은 자녀양육은 물론 생계의 책임자로서 건강을 돌볼 여유가 없기 때문에 건강권 지원 사업을 통해 각박하기만 했던 삶에서 사회적 지지망과 삶의 행운을 얻었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이들은 건강에 대한 막연한 불안을 떨쳐버리고 자신감을 획득함으로써 삶이 적극적으로 변하였고, 가족과의 관계도 개선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상윤, "우리나라 건강권 보장실태", 보건복지포럼, pp.24-29, 2010.
  2. I. S. Lee and S. W. Kim, "The factor influencing behavior of health care of medicaid recipients," Yonsei Social Welfare Review, Vol.11, pp.66-99, 2004.
  3. 신명호,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본 빈곤층 실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4.
  4. 석재은, "한국 빈곤의 여성화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2호, pp.167-194, 2004.
  5. 신희정, "여성 가구주의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배제 요인에 관한 시론적 고찰",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1호, pp.315-342, 2010.
  6. 유현숙, 곽현근, "여성 한부모 가족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영구임대아파트 지역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34권, pp.245-272, 2007.
  7. E. Gucciard, N. Celasun, and D. E. Stewart, "single-mother families in canada,"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95, No.1, pp.70-73, 2004
  8. J. Oliveira Martins and C. de la Maisonneuve , "The Drivers of Public Expenditure on Health and Long-Term Care: an Integrated Approach," OECD Economic Studies, Vol.43, No.4, 2006.
  9. 신연수, 박종연, 정상혁, 정혜영, 강혜영,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과 자비 건강검진 수검자간의 만족도 비교", 한국의료QA학회지, 제12권, 제1호. pp.40-51, 2006.
  10. 전경숙, 장숙량, 이선자, 이효영, 홍보경, 김보람, "취약계층 여성의 건강증진 방안",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제27권, 제3호, pp.99-118, 2007.
  11. 국가인권위원회, 경제 사회문화적 권리 국가인권 정책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건강권 기초현황 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04.
  12. 국가인권위원회, 인권관련 정부통계 현황에 대한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05.
  13. 신영전, "사회권으로서의 건강권: 지표개발 및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제32호, pp.181-222, 2011.
  14. 김정범, 김인회, 이상희, 우석균, 주영수, 구금시설의 의료실태조사 및 의료권 보장을 위한 연구, 국가인권위원, 2003.
  15. 정은일, "노숙인과 인권 : 인권의 관점에서 바라본 노숙인의 건강권", 도시와 빈곤, 통권78호, pp.81-92, 2006.
  16. 박홍주, "여성노동자의 '건강권'개념 확대를 위한 시론", 여성과 건강 제6권, 제1호, pp.71-92, 2006.
  17. 이성종, "유통 서비스 산업의 확대와 여성노동자의 건강권", 진보평론, 제49호, pp.215-223, 2011.
  18. 임현지, "북한 이주 여성의 건강권에 관한 연구", 여성과 건강, 제8권, 제2호, pp.151-177, 2007.
  19. 이지현, 이상욱, 조경애, 김장보, 박미옥, 노인복지서비스에서의 노인건강권 보장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07.
  20. 김교숙, "근로자의 건강권", 노동법논총, 제19권, pp.171-197, 2010.
  21. 이지현, 수도권에 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인식과 의료이용,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2. S. Arber, "Class, paid employment and family roles: making sense of structural disadvantage, gender and health statu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32, No.4, pp.425-436, 1991. https://doi.org/10.1016/0277-9536(91)90344-C
  23. L. Doyal, "The Politics of Women's Health: Setting a Global Agenda,"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Vol.26, pp.47-65, 1996. https://doi.org/10.2190/U7PN-B17E-JQBL-MRG4
  24. 천희란, 정진주, "젠더와 건강:성인지적 보건정책을 위한 시론", 보건행정학회지, 제18권, 제2호, pp.130-156, 2008. https://doi.org/10.4332/KJHPA.2008.18.2.130
  25. 김영택, "건강보험 일반건강검진 사각지대", 젠더리뷰, 가을호, pp.51-17, 2010.
  26. 김미영, "지역활동사례를 통해 살펴본 건강권 운동", 도시와 빈곤, 제53호, pp.48-64, 2001.
  27. 백영경, "전환기에 선 민우회 여성 건강권 운동", 여성 민우회, pp.81-96, 2006.
  28. 신경림, 도시지역 여성노인의 건강관심도, 주관적 건강평가,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04.
  29. 김후조, 국민건강검진 현황, 국민건강보험공단 품질관리평가팀 발표자료, 2007.
  30. A. Lieblich, R. Truval-Mashiach, and T. Zilber., Narrative Research: Reading,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98.
  31. J. W. Creswell, Qualitative inquiry and reserch design. Sage publication, 1998.
  32. 이현심, 한규철, 전기복, "한부모 여성가구주의 경제적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174-183,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174
  33. 최령, 황병덕, "건강보험 건강검진 대상자들의 예방적 의료서비스 이용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331-340,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2.331

Cited by

  1. Low Fertility Era and Maternal Health Promotion vol.14, pp.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