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of Aged People

노인 우울에 미치는 요인

  • 이은령 (경운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 강지혁 (경운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 정재필 (수성대학교 보건복지경영과)
  • Received : 2013.04.30
  • Accepted : 2013.06.13
  • Published : 2013.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nfluence to physical health status, economic status,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which affects to solve depression, and giv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 program to prevent the aged people gloominess and a way to solve that gloominess. This surveying study was undertaken through personal interview way for 357 aged people who were in the elder's meeting hall, living in elderly welfare institude, or home near Gumi, Gimcheon, and Chilgok regions. For data analysis, SPSS/PC 18.0 and AMOS 18.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First, In the reason of depression by general distinctive qual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educational background'existance of a spouse of the condition of living-together, and personal health condition. Second, affecting factors to religious life were economic condition,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Third, the most serious factor that enhanced depression was physical health. Fourth, It appeared as higher attendence of indivisuals about religion means decrease of the depression. When these result reviewed, to control the depression of aged peopl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conduct a total program that can detect and manage depression early through measuring the physical health,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Especially, participation of religious life is considered to ameliorate the depression of aged people and help them live a good senesc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신체적 건강상태, 경제상태, 가족지지,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에 종교생활 참여로 인해 영향 주는지를 규명하여 노인우울증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와 우울을 해소하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북 구미, 김천, 칠곡 인근지역에 있는 노인회관과 노인복지관, 가정방문을 통하여 357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직접면접방식으로 설문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PC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요인에는 성별, 학력, 배우자 유 무, 동거상태,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종교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경제상태, 가족지지, 자아 존중감 이었다. 셋째, 우울에 정적으로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은 신체적 건강상태로 나타났다. 넷째, 종교생활 참여는 개인적 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을 통해 노인들의 우울을 관리하는데 있어 신체적 건강상태에 더하여 가족지지,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과 함께 평가하여 우울증을 조기 발견하고 관리하는 통합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절실하다. 특히 노인들의 종교생활 참여가 노인 우울을 감소시켜 건강한 노년기를 보내는데 보탬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지숙, 정여숙, "대도시 노인의 질병, 주관적 신체 증상 및 영양 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간호학회지, 제19권, 제3호, 2008.
  2. 기백석,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5권, 제2호, pp.298-307, 1996.
  3. 김경태, 노인의 종교 및 사회활동 참여가 자아 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4. 김귀분, 김인숙, 정미영, "시설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에 대한 음악요법효과", 노인간호학회지, 제11권, 제4호, pp.820-830, 1999.
  5. 김미숙, 박민정, "종교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노년학회, 제20권, pp.29-48, 2000.
  6. 김윤정, "노인이 제공받는 사회적 지지의 효과성 분석", 노인복지연구, 제21권, pp.123-140, 2003.
  7. 김은혜, 노인일자리사업이 우울감과 자립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8. 김재중, 성공적인 노화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9. 김태면,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가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의학박사학위논문, 2005.
  10. 권재일,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이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1. 박인혜, 뇌졸중 환자의 가족지지에 따른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2. 선우덕, "노인의 건강수준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제80권, pp.42-46, 2003.
  13. 성기월, "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과 우울정도", 대한간호학회지, 제27권, 제1호, pp.36-48, 1997.
  14. 손신영, 농촌 노인의 삶의 질 모형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5. 이동수, 노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인지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6. 이평숙, 이미영, 임지영, 노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제34권, pp.477-484, 2004.
  17. 임민경, 일부도시 저소득층의 사회적지지와 건강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8. 임아영, 자기결정적 고독과 성격 및 심리적 건강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9. 전혜정, "노년기 종교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25권, pp.169-186, 2004.
  20. 조경란, 노년기 종교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21. 최영애, "노인들의 우울, 자존감 및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1권, pp.27-47, 2003.
  22. 한동성, 천주교 신자의 노년기 종교성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23. 허준수, 유수현,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3권, pp.7-35, 2002.
  24. 홍현방, "성공적인 노화와 노인의 종교성 관계연구", 한국노년학회, 제22권, 제3호, pp.245-259, 2002.
  25. S. C. Ainlay and D. R. Smith, "Aging and Religious Participa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39, No.4, pp.357-363, 1984. https://doi.org/10.1093/geronj/39.3.357
  26. J. C. Barefoot "Age differences in Hostility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Vol.8, No.1, pp.3-9, 1993. https://doi.org/10.1037/0882-7974.8.1.3
  27. Blazer & Palmore, E. "Religion and Aging in a longitudinal panel." The Germtologist Vol.16, pp.82-84, 1976. https://doi.org/10.1093/geront/16.1_Part_1.82
  28. J. D. Brown and K. A. Dutton, "The thrill of victory, the complexity of defeat: self-esteem and people's emotional reaction to success and fail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8, pp.712-722, 1995. https://doi.org/10.1037/0022-3514.68.4.712
  29. I. Chi and K. Chou,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Chines people in Hong Kong," The Intermational J aging, Vol.52, No.3, pp.231-235, 2001.
  30.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pp.300-314, 1976.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31. J. Desrosiers, D. Bourbonnais, L. Noreau, and A. Bourget, "Participation after stroke compared to normal aging," Joournal rehabilitation Medicine, Vol.37, pp.353-357, 2005. https://doi.org/10.1080/16501970510037096
  32. E. Diener, M., Diener, and C. Diener, "Factors predict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n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9, pp.851-864, 1995. https://doi.org/10.1037/0022-3514.69.5.851
  33. R. J. Friendman, The psychology of depression: an overview. In The psychology of depression contemporary theory and research (eds. Friendman R, Katz M) washington D.C.
  34. D. K. Harris and A. E. Cole, 최신덕 역, 노년사회학, 경문사, Hess, pp.278-279, 1985.
  35. C. F. Hybels, D. G. Blazer, and C. F. Pieper, "Toward a threshold for subthreshold depression: an analysis of correlates of depression by severity of symptoms using data from an elderly community sample," Gerontologist, Vol.41, pp.357-365, 2001. https://doi.org/10.1093/geront/41.3.357
  36. K. Jenkins, A. Pienta, and A. Horgas,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Res Aging, Vol.24, pp.124-149, 2001.
  37. K. Kendler, L. M. Karkowski, and C. A. Prescot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ressful life event and the onset of major depression," Am J Psych, Vol.56, pp.837-842, 1999.
  38. N. Krause, "Religiosity and self-esteem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Vol.50, pp.236-246, 1995.
  39. Palmer, S., Glass, T. A, Palmer, J. & Wegener, S. T. Crisis intervention with individuals and their families following stroke: A model for psychosocial service during inpatient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49, pp.338-343, 2004. https://doi.org/10.1037/0090-5550.49.4.338
  40. L. M. Linde, Towards successful aging, WHO Psychosocial Rehabilitation Association, 2002.
  41. C. H. Mindel and C. E. Vaughan, "A multidimentional approach to religiosity and disengagement," J. O. G., Vol.33, pp.103-108, 1978.
  42.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ston, NJ: Prinston University, 1965.
  43. D. Sherbourne and A. L. Stewark, "The MOS Social Support Survey," Social Science Medicine, Vol.32, pp.714-750, 1991.

Cited by

  1. Effects of Religious Activities and Faith Attitudes on Depression and Ego-Integrity of the Elderly vol.13, pp.1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0.325
  2.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of Residents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vol.14, pp.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