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발달장애 아동의 놀이 활동을 위한 N-스크린 기반의 웹앱 개발

Development of Web Application Based on N-screen for Play Activ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 강정배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
  • 김진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
  • 김창걸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
  • 송병섭 (대구대학교 재활공학과)
  • 투고 : 2013.04.04
  • 심사 : 2013.07.03
  • 발행 : 2013.08.31

초록

현대 사회는 ICT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교육방법이 등장하였고, 이러한 교육방법은 장애아동 교육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충분히 입증되었지만, 장애아동의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콘텐츠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매체에서 같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IT 기술인 N-스크린 기술을 적용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놀이 활동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콘텐츠는 아동의 개별적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디지털 기기를 통해 진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또한, 개발된 콘텐츠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아동이 접하게 되는 다양한 환경(가정, 학교 등)에서 PC, 스마트폰, 휴대용 기기를 활용하여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같은 교육 프로그램을 가정, 학교 등에서 연계하여 진행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제작된 콘텐츠를 지적장애 및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3명에게 적용하여본 결과 본 콘텐츠는 놀이교육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매개체로 사용할 수 있었다. 또한 콘텐츠를 사용하여본 특수교육 전문가와의 인터뷰 결과 아동에 따라 구성물과 강화물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은 기존 콘텐츠 보다 아동의 중재에 있어서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In the modern society, instructional methods using diverse media have appeared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applicability of such instructional methods has been fully corroborated. However, customized contents allowing for disabled children's environment are still insufficient. Hence, this study produced educational contents of play activitie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rough applying N-screen technology, IT technology that can provide the same contents via a variety of digital media. The produced contents allow programs to be set up according to a child'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e carried out anywhere and anytime via an Internet-enabled digital device. Further, the developed contents were produced so that they could be accessed from a child's various environment (home, school, etc.) via a PC, a smart phone, a portable from a child's various environment (home, school, etc.) via a PC, a smart phone, a portable device, etc. and that the same educational program could be conducted in linkage at home, school, etc. Thre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applied to the manufactured content. As a result, Content interaction between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play training could use as a medium.In addition, the children's ability to select the appropriate components and reinforcements,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have used the content of the interviews are helpful in mediation than the existing content.

키워드

참고문헌

  1.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1년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2012.
  2.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년 상반기 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 2012.
  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래교육을 위한 u-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CR2005-12), 서울, 2015.
  4. 이재영, 김영태, 이석한, 김태은, 최종수, "모바일 증강현실을 활용한 스마트러닝 시스템", 정보.보안논문지, 제11권, 제6호, pp.17-23, 2011.
  5. 김용, 손진곤, "스마트폰 활용을 위한 초.중등 교육용 이러닝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135-143, 2011.
  6. 최숙영, 백현기, "유.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장애아 부모를 위한 교육 정보 시스템의 개발",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9권, 제1호, pp.85-91, 2004.
  7. 백현기, 최숙영,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자 도서관의 설계 및 구현",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9권, 제2호, pp.51-58, 2004.
  8. 황윤자, 진영심, 심창현, 최경화, 김경진, "Smart Learning 환경에서 GBS를 활용한 역사수업 설계 연구", 학습과학연구, 제5권, 제1호, pp.53-78, 2010.
  9. 김창걸, 송병섭, "로봇 원격지원 시스템의 활용 방안연구 : 특수교육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1권, 제4호, pp95-110, 2012.
  10. 오재은, 이승진, 이선영, "N스크린 서비스를 활용한 발전적 애니메이션 모델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7권, 제3호, pp.55-69, 2011.
  11. 이호원, 이수빈, "웹콘텐츠의 동적 재배치를 고려한 N-스크린 협업 서비스 시나리오 연구 및 프레임워크 개발", e-비즈니스연구, 제13권, 제3호, pp.461-480, 2012.
  12. 문혜란, 김신효, 정병호, "콘텐츠 공유기술 동향 분석",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5권, 제4호, pp.112-120, 2010.
  13. 임장현, 박은혜, "ASD인을 위한 스마트 교육 미디어로서의 앱 개발 및 연구현황 분석", 자폐성장애연구, 제12권, 제1호, pp.93-117, 2012.
  14. 손지영, 김동일,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 환경 구축의 정책적 방향 탐색",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2권, 제4호, pp.453-480, 2011.
  15. 김수현, 이숙향, "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길 찾기 과제 수행과 도착 시간 예측하기에 미치는 영향", 지적장애연구, 제14권, 제1호, pp.43-73, 2012.
  16. 현준호, 홍경순, 신광우, 민홍기, "국내 민간기업의 웹 접근성 준수 실태",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제1권, 제1호, pp.37-43, 2007.
  17. 혼순구, 강영무, 이현미, 차윤숙, "웹 접근성의 교육현황 및 활성화를 위한 제언",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73-87, 2011.

피인용 문헌

  1. Development of a Web-based Interactive Education systems vol.19, pp.12, 2014, https://doi.org/10.9708/jksci.2014.19.12.177
  2. 뉴미디어를 활용한 특수 교육 국내 연구 동향 및 사회성 증진을 위한 상황이야기 콘텐츠 개발 vol.16, pp.3,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