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음악 표절 분석을 위한 디지털 음악 요소에 대한 연구

A Study of Digital Music Element for Music Plagiarism Analysis

  • 신미해 (공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조진완 (공주대학교 전자상거래과) ;
  • 이혜승 (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
  • 김영철 (유한대학교 e-비즈니스과)
  • 투고 : 2013.07.05
  • 심사 : 2013.08.06
  • 발행 : 2013.08.30

초록

본 연구는 서로 다른 두 음원에 대한 표절 여부를 분석하기 위한 음악 요소에 대해서 연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음원 분석을 위해서 디지털 음악 요소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 음악 요소를 컴파일러 기법을 활용하여 어떻게 표절 분석에 이용할 것인지 살펴본다. 또한 복잡한 미디 음악 데이터를 간단하게 처리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픈소스 자바 API인 JFugue를 활용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JFugue에서 지원하는 포맷인 뮤직스트링 (MusicString)을 이용하여 음악 표절 분석 시스템을 설계하고 음악 표절 분석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뮤직스트링 문법 처리 요소를 살펴보고 추상구문트리(AST)를 구축하는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금까지 감성적이고 주관적으로 평가해왔던 두 음원의 표절 분석을 시스템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며, 이 연구가 잘 활용된다면 차후에 두 음원의 표절 여부를 시스템적으로 정형화할 수 있다는 점에 큰 의의를 둘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researching musical elements to analyze plagiarism between two sources. We first search digital music elements to analyze music source and examine how to use these in plagiarism analysis using compiler techniques. In addition we are used open source Java API JFugue to process complex MIDI music data simply. Therefore we designed music plagiarism analysis system by using MusicString which is supported in JFugue and construct AST after investigate MusicString's syntax processing elements to manipulate music plagiarism analysis efficiently. So far music plagiarism analysis is evaluated emotionally and subjectively. But this paper suggests first step to build plagiarism analysis systemically. If this research is well utilized, this is very meaningful to standardize systemically which music is plagiarized or not.

키워드

참고문헌

  1. International Copyright Technolology Conference 2012, http://www.icotec.or.kr
  2. Y. C. Kim, J. Y. Choi, "A Program Plagiarism Evaluation System", ICCSA 2005, Lecture Note of Computer Science 3483, 2005.
  3. "The Plagiarism Checker" available at http:// www.dustball.com/cs/plagiarism.checker, 2010.
  4. Wikipedia Site available at https://en.wikipedia .org /wiki/MIDI.
  5. Dong-Chul Kwack, "A Study on the Types of Plagiarism and Appropriate Citation Practices of Writing Research Papers",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07.
  6. P. J. Larkham, & Manns, "S. Plagiarism and its treatment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26(4), 339-349. 2002. https://doi.org/10.1080/0309877022000021748
  7. D. L. McCabe, L. K. Trevino, & K. D. Butterfield, "Cheating in academic institutions: A decade of research.", Ethics & Behavior, 11(3), 219-232. 2001. https://doi.org/10.1207/S15327019EB1103_2
  8. Korea Federation of Copyright Organization, "2012 Copyright Protection Annual Report", 2012
  9. Music XML 3.0 Site available at http://www.musicxml.com.
  10. David Koelle. The Complete Guide to JFugue: Programming Music in Java, 2008, pp. 21-48.
  11. JaeKyoungLee, "The song 'loner' event - Music Copyright Plagiarism Judgement-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2011. 4. 13", Chungang Law Association Vol 13. 4, 2011.
  12. Y. C. Kim, J. W. Yoo, "A Tree-Compare Algorithm for Similarity Evaluation", KIPS, Vol.11-A No. 2,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