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건설 근로자의 안전행동 영향요인들 간의 구조분석

The structural analysis between safety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construction workers' behavior

  • 신동필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 이동은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투고 : 2012.10.09
  • 심사 : 2012.11.13
  • 발행 : 2013.01.31

초록

본 논문은 기존의 타 분야에 적용되어왔던 안전행동의 개념을 건설업 근로자에게 도입하여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과 설명력을 분석하고 건설업 근로자에게 있어 안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요인이 무엇인지 밝혀내며, 각 요인들과 안전행동 변인들 간의 종합적인 구조모형을 설정하여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분석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통해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을 선출하고 건설업 근로자의 안전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을 구안하였다. 조직몰입, 스트레스 반응, 안전동기, 안전지식, 안전 분위기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변인들 간의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분석을 위해 대구 경북의 건설현장의 건설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고, SPSS18.0과 AMOS18.0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의사소통, 교육훈련은 직접적으로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경영가치, 직속상사, 의사소통, 교육훈련은 안전동기, 안전지식, 정서적 몰입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findings relative to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safety of construction worker's actions. It identifies the factors which are involved in the safety behavior exercised by construction worker. They are compiled from existing studies that investigates the factors relative to the safety behavior. This study finds some factors which have powerful direct effects on safety behavior of construction workers. In addition, a model which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the behaviors of workers is established to analyze the effects. This study contributes to designe a theoretical model that shows workers' behaviors and analyzes the effects attributed to these factors: i.e., organizational commitment, stress reaction, safety motivation, safety knowledge, and safety climate. Survey questionaries are administered to the workers on the construction job site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using SPSS18.0 and AMOS18.0,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s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ommunication and educational training have the direct effect on the safety behavior. The factors of the safety climate constraints and/or contributes to the safety motivation, safety knowledg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계수 (2010). AMOS 18.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pp.112.
  2. 김기식.박영석(2002)." 안전분위기가 안전행동 및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 15권, 제 1호.
  3. 김진원.김요한.김주형.김재준 (2004). "건설재해의 유형분석을 통한 안전사고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논문집, 제 10권 제 2호.
  4. 문광수.이재희.오세진 (2011). "조직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안전 분위기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 24권 제 1호.
  5. 배병렬 (2011).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청람, pp. 17.
  6. 안관영.박노국.전영승 (2003)." 안전동기의 선행요인과 결과 요인의 관계: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국기업연구지, 제 25권 제 4호.
  7. 안민재.박용수.김의식 (2008). "TQM이 건설업자의 기업성 과인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 9 권 제 4호. pp.163-172
  8. 유준혁.현창택.문현석.손명진 (2012). "중.소형 건설공사를 위한 기술제안입찰 평가기준 개선",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 13권 제 1호. pp.95-105
  9. 이계훈.이재희.오세진(2011)." 건설현장 관리자들의 안전관리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기-관리 기법의 도입", 대한안전경영과학회 춘계학술대회, pp.143-151.
  10. 이원형 (2005)." 고용불안, 조직몰입 및 안전분위기가 안전행동 및 사고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 이재희.문광수.오세진 (2010). "스트레스 반응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안전분위기의 중재효과",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 12권 제 2호
  12. 이종한.이종구.석동헌 (2011). "조직 안전풍토의 하위요인 확인 및 안전행동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제 24권 제 3호.
  13. 정지희(2010)." 개인의 특성과 조직의 특성이 안전 및 불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최수일.김홍 (2006). "건설현장의 안전 분위기와 작업자 안전 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제 21권 제 5호.
  15.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2), 산업재해 발생현황 분석.
  16. Bakker, A. B., Karen, I., Zee, V. D., Lewig, K. A., & Dollard, M. F.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burnout: A study among volunteer counselor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6, pp.31-50 https://doi.org/10.3200/SOCP.146.1.31-50
  17. Dann, K. & Griffin, R. W. (1999)." Health and well-being in the workplace: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Management, 25(3) pp.357-384 https://doi.org/10.1177/014920639902500305
  18. Dester, I., & Blockley, D. (1995) "Safety behavior and culture in construction,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Management, 1, pp.17-26
  19. Grinffin, M. A. & Neal, A. (2000)." Perceptions of Safety at Work : A Framework for Linking Safety Climate to Safety Performance, Knowledge, and Motiv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 pp.347-358 https://doi.org/10.1037/1076-8998.5.3.347
  20. Oliver, A., Cheyne, A., Tomas, J. M., and Cox, S. (2002).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factors on occupational accident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5, pp.473-488 https://doi.org/10.1348/096317902321119691
  21. Rasep, T., Kallasmaa, T., Pulver, A., & Gross-Paju, K. (2000)." Personality as a predictor of copongefforts in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Multiple Sclerosis, 6, pp.397-402 https://doi.org/10.1177/135245850000600607
  22. Sharon, G., & Langan-Fox, J. (2006). "Occupational stress, coping and strain: The combined/ interactive effect of the Big Five trai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41, pp.719-732 https://doi.org/10.1016/j.paid.2006.03.008
  23. Warson, D., & Hubbard, B. (1996)." Adaptational style and dispositional structure; Coping in the context of the five-factor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64, pp. 737-774 https://doi.org/10.1111/j.1467-6494.1996.tb00943.x
  24. Zohar, D. (1980). "Safety climate in industrial organizations: Theoretical and applied implications", Journal of Appled Psychology, 65(1), pp.96-101 https://doi.org/10.1037/0021-9010.65.1.96

피인용 문헌

  1. The Analysis on the Unsafe Acts of Laborers at Domestic Construction Sites vol.29, pp.4, 2014, https://doi.org/10.14346/JKOSOS.2014.29.4.132
  2. Decision Making Method Based on Importance-Dangerousness Analysis for the Potential Risk Behavior of Construction Laborers vol.2015, 2015, https://doi.org/10.1155/2015/502121
  3. An Unsafe Practice Analysis considering Potential Risk to Foreign Construction Laborers in Korea vol.15, pp.4, 2015, https://doi.org/10.5345/JKIBC.2015.15.4.441
  4. A Comparison of Income Level and Work-Related Fatalities for Finding Causes and Measures for Construction Sector vol.15, pp.4,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4.003
  5. A Qualitative Study on Safety Rule Violation Motives at Manufacturing Plants vol.31, pp.2, 2016, https://doi.org/10.14346/JKOSOS.2016.31.2.133